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임민혁
문학 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가례』를 번역해 출간하고, 관료제에 눈을 돌렸다가 미지의 무엇에 홀린 듯 다시 의례 분야를 기웃거렸다. 그러다가 우연찮게 장서각에서 의궤를 탐독할 수 있는 연구 사업에 종사하게 되었고, 지금도 의례 관련 등록들을 1차 가공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동안 예禮의 정치적 성격에 주안을 두고 조선시대 왕실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제대로 깊이 있게 그리는 작업에 몰두해왔다. 이번의 국왕 혼례를 비롯해 종묘와 신주, 국왕의 상장례인 국장, 예의 기초인 용례와 위의威儀, 왕자녀들의 삶과 문화 등 다양한 예 관련 주제를 섭렵하여 대중에게 역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보일 예정이다.저서로는 『조선의 예치와 왕권』 『영조의 정치와 예』 『영조어제 해제 2』 『왕의 이름, 묘호』 『조선시대 음관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는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 여성』 『영조어제 해제 10』 『조선의 왕·왕비·왕세자로 살아가기』 『대한제국』 『조선 왕실의 가례 1·2』 등이 있다. 역주서로는 『주자가례에서 통치이념을 배우다』 『주자가례』 『추봉책봉의궤』 등이 있다.
책을 내며 _ 5
제1장 고대인의 영혼관과 신주의 등장 _ 11
1. 고대인이 숭상한 혼령 14
1) 고대 한국인의 영혼관 17
2) 고대 중국인의 영혼관 22
2. 제사와 조상 27
1) 한국 고대의 사당과 조상숭배 27
2) 중국 고대의 사당과 조상숭배 31
3. 시동尸童을 세우다 34
4. 신주의 등장과 변천 42
제2장 국왕 혼령의 상징화 _ 51
국장은 왕권의 상징조작 과정 52
1. 임금이여, 돌아오소서 - 복례復禮 53
2. 혼령을 빈전에 모시기 - 혼백魂帛과 영좌靈座 59
3. 신주 만들기 65
4. 혼백의 무덤 행차 - 우주의 봉안과 발인 67
5. 신주에 혼령이 깃들다 - 제주題主 71
6. 신주의 환궁과 첫 제사 - 반우와 우제 73
7. 신주의 별궁인 혼전과 우주의 봉안 78
8. 종묘의 주인 신주 만들기 - 연제練祭와 연주 80
9. 우주의 매안 83
10. 혼령 상징화의 완성 - 부묘廟 85
제3장 국왕 혼령과 종묘 _ 91
1. 국왕 혼령의 궁, 종묘 92
2. 종묘제도의 연원과 종법 96
3. 종묘의 건설과 구조 101
1) 종묘의 건설 101
2) 대실大室과 석실石室 107
3) 조묘廟인 영녕전의 설립 -새로운 의미의 국가 사당 110
4. 국왕이 혼령에게 베푸는 잔치, 종묘제례 116
1) 목욕재계하고 서계하다 117
2)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다 121
3) 신성한 희생과 제기의 검사 140
4) 신주를 내어 모시기 157
5) 혼령과 육신을 초청하는 신관례神禮와 삼헌 160
6) 가장 아름다운 제기를 사용하다 179
7) 귀한 음식인 희생으로 대접하다 205
8) 혼령의 환희, 종묘제례악 225
9) 신주를 들여 모시기 236
10) 칠사와 공신의 제향 237
제4장 신주에 새긴 이름과 혼령 _ 241
1. 혼령의 상징인 이름들 242
1) 어떤 글자를 썼길래 혼령이 깃든다고 할까 242
2) 시호, 존호, 휘호로 이름을 바꾸다 245
3) 신주의 공덕을 길이 전하는 어보御寶 249
4) 선악善惡을 평가하는 시호 256
2. 묘호에 담긴 왕권의 정통성 260
1) 정종의 울분과 한 260
2) 신주의 이름을 바꾸어 정통 세우기 270
3) 공덕이 높아 차마 체천하지 못하는 신주 278
제5장 신주 모시기 _ 283
1. 신주를 모신 방, 감실 284
2. 신주의 체천과 이환안移還安 287
제6장 국왕과 왕족의 신주를 모신 사당 이야기 _ 289
1. 원묘와 문소전 290
2. 육상궁 293
3. 창의궁 300
제7장 신주가 갖는 왕권의 정통성과 상징성 _ 305
|참고문헌| _ 311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