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국왕의 혼령과 신주 이미지

국왕의 혼령과 신주
이환기획 | 부모님 | 2025.10.01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437Kg | 312p
  • ISBN
  • 979119808158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세계문화유산 종묘의 의미와 그 속에 깃든 혼령의 세계를 탐구한다. 제사와 음악으로만 인식되던 종묘를 신주와 혼령의 안식처로 바라보며, 조선 왕실의 정신과 역사적 정통성을 되짚는다. 정조가 <매사문>에서 강조한 종묘의 굳건함은 곧 나라의 굳건함과 맞닿아 있었다.



저자는 종묘를 통해 조선 국왕과 왕비의 혼령을 추앙하며, 조상과 나 사이의 ‘그리움과 사랑’이라는 유대감을 성찰한다. 약 27개월에 걸친 상장례와 사당·묘소의 탄생을 따라가며, 종묘가 품은 질서와 아름다움을 통해 우리가 공유하는 역사적 마음을 일깨운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에 관한 글이다. 이 종묘의 주인이 국왕과 왕비의 혼령과 신주이기 때문에, 이런 책 제목이 주어졌다. 종묘를 언급할 때 우선 갖게 되는 관심은 제사와 음악이지만, 사실 치제의 대상은 신주와 그에 깃든 혼령이며 그 안식처가 종묘이다.
우리나라 역사의 정통은 조선국왕의 2대 죽음의 상징물인 종묘와 왕릉에 있다. 이 글은 종묘에 관한 것이며, 종묘를 주제로 선정한 것은 국왕의 혼령이 깃든 신주를 봉안한 장소인 종묘를 통해 우리 바로 앞의 역사를 올바르게 알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국왕의 혼령을 모신 곳이 종묘이고, 국왕의 육신을 묻은 곳이 왕릉이므로 종묘의 주인은 국왕의 혼령이 깃든 신주이다. 정조는 <매사문>을 통해 종묘의 정통이 바로 서고 유지되기를 바랐다. 종묘의 굳건함은 나라의 굳건함과 같기 때문이었다. 할아비인 영조가 같은 마음이었던 것을 이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조상과 나와의 일체감은 우리에게 무슨 영감을 주는가? 그리움과 사랑이다. 그 그리움과 사랑이 상장례 약 27개월 기간에 걸쳐 펼쳐졌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사당과 묘소이다. 그중에서 이 글은 우리 역사의 위대한 혼령을 다루고 있다. 그 혼령들은 무수하고 우리 역사에 어마어마한 흔적을 남겼다. 그 모든 공렬을 추앙할 만하지만, 나는 그 가운데 조선에서 최고의 지위를 누리던 인물들의 공통의 공간인 종묘의 혼령을 다루고자 한다. 그 공렬이 우리의 부모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바란다. 종묘속의 그 질서의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해 용기를 내보면 어떨까? 그동안 우여곡절 끝에 살아남은 문화유산이 종묘이건만, 종묘가 우리 가슴에 받아들여질 수 있는 동의구조는 한 마디로 너와 내가 한 마음이라는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임민혁
문학 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가례』를 번역해 출간하고, 관료제에 눈을 돌렸다가 미지의 무엇에 홀린 듯 다시 의례 분야를 기웃거렸다. 그러다가 우연찮게 장서각에서 의궤를 탐독할 수 있는 연구 사업에 종사하게 되었고, 지금도 의례 관련 등록들을 1차 가공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동안 예禮의 정치적 성격에 주안을 두고 조선시대 왕실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제대로 깊이 있게 그리는 작업에 몰두해왔다. 이번의 국왕 혼례를 비롯해 종묘와 신주, 국왕의 상장례인 국장, 예의 기초인 용례와 위의威儀, 왕자녀들의 삶과 문화 등 다양한 예 관련 주제를 섭렵하여 대중에게 역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보일 예정이다.저서로는 『조선의 예치와 왕권』 『영조의 정치와 예』 『영조어제 해제 2』 『왕의 이름, 묘호』 『조선시대 음관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는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 여성』 『영조어제 해제 10』 『조선의 왕·왕비·왕세자로 살아가기』 『대한제국』 『조선 왕실의 가례 1·2』 등이 있다. 역주서로는 『주자가례에서 통치이념을 배우다』 『주자가례』 『추봉책봉의궤』 등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며 _ 5

제1장 고대인의 영혼관과 신주의 등장 _ 11

1. 고대인이 숭상한 혼령 14
1) 고대 한국인의 영혼관 17
2) 고대 중국인의 영혼관 22

2. 제사와 조상 27
1) 한국 고대의 사당과 조상숭배 27
2) 중국 고대의 사당과 조상숭배 31

3. 시동尸童을 세우다 34

4. 신주의 등장과 변천 42

제2장 국왕 혼령의 상징화 _ 51
국장은 왕권의 상징조작 과정 52
1. 임금이여, 돌아오소서 - 복례復禮 53
2. 혼령을 빈전에 모시기 - 혼백魂帛과 영좌靈座 59
3. 신주 만들기 65
4. 혼백의 무덤 행차 - 우주의 봉안과 발인 67
5. 신주에 혼령이 깃들다 - 제주題主 71
6. 신주의 환궁과 첫 제사 - 반우와 우제 73
7. 신주의 별궁인 혼전과 우주의 봉안 78
8. 종묘의 주인 신주 만들기 - 연제練祭와 연주 80
9. 우주의 매안 83
10. 혼령 상징화의 완성 - 부묘廟 85

제3장 국왕 혼령과 종묘 _ 91
1. 국왕 혼령의 궁, 종묘 92
2. 종묘제도의 연원과 종법 96
3. 종묘의 건설과 구조 101
1) 종묘의 건설 101
2) 대실大室과 석실石室 107
3) 조묘廟인 영녕전의 설립 -새로운 의미의 국가 사당 110
4. 국왕이 혼령에게 베푸는 잔치, 종묘제례 116
1) 목욕재계하고 서계하다 117
2)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다 121
3) 신성한 희생과 제기의 검사 140
4) 신주를 내어 모시기 157
5) 혼령과 육신을 초청하는 신관례神禮와 삼헌 160
6) 가장 아름다운 제기를 사용하다 179
7) 귀한 음식인 희생으로 대접하다 205
8) 혼령의 환희, 종묘제례악 225
9) 신주를 들여 모시기 236
10) 칠사와 공신의 제향 237

제4장 신주에 새긴 이름과 혼령 _ 241
1. 혼령의 상징인 이름들 242
1) 어떤 글자를 썼길래 혼령이 깃든다고 할까 242
2) 시호, 존호, 휘호로 이름을 바꾸다 245
3) 신주의 공덕을 길이 전하는 어보御寶 249
4) 선악善惡을 평가하는 시호 256
2. 묘호에 담긴 왕권의 정통성 260
1) 정종의 울분과 한 260
2) 신주의 이름을 바꾸어 정통 세우기 270
3) 공덕이 높아 차마 체천하지 못하는 신주 278

제5장 신주 모시기 _ 283
1. 신주를 모신 방, 감실 284
2. 신주의 체천과 이환안移還安 287

제6장 국왕과 왕족의 신주를 모신 사당 이야기 _ 289
1. 원묘와 문소전 290
2. 육상궁 293
3. 창의궁 300

제7장 신주가 갖는 왕권의 정통성과 상징성 _ 305

|참고문헌| _ 311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