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민수기·신명기 이미지

민수기·신명기
성서와함께 | 부모님 | 2025.10.23
  • 정가
  • 21,000원
  • 판매가
  • 18,9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10P (1%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286Kg | 220p
  • ISBN
  • 978897635458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민수기는 모세오경 중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지만, 이스라엘의 광야 여정 40년의 이유와 모세의 죽음, 죄의 기억을 통한 신앙 성찰 등을 담은 중요한 책이다. 저자 데일 론더빌은 본문을 종합적으로 해설하면서, 그 형성 과정과 신학적 메시지, 특히 “광야에서 오직 야훼를 향한 절대적 신뢰만이 생명의 길”이라는 주제를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한다.

신명기는 구약의 중심으로, ‘하느님의 백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구약과 신약을 잇는 핵심 신학을 제시한다. 저자 돈 C. 벤저민은 성서학뿐만 아니라 고대근동학과 문화사적 접근을 결합한 폭넓은 시각으로 신명기를 접근한다. 그의 해석은 다소 낯설지만, 기존의 성경 주해 위에 새로운 통찰을 더하는 창의적 접근으로, 열린 마음으로 읽으면 신명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길이 열릴 것이다.

  출판사 리뷰

* 개요

‘온 세상 땅끝까지’ 하느님 말씀을 충실히 전해 온
‘성서와함께’의 50주년 기념 프로젝트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시리즈 제06권

《민수기·신명기》가 독자 여러분과 만납니다!

● 기획 의도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으로, 총 33권(성경 입문 3권, 구약성경 14권, 신약성경 11권, 주제별 논문 5권)으로 나누어 출간됩니다.
‘성서와함께’의 희년을 맞아 한국 교회에 내놓는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를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가까이하고, 그 말씀을 바르게 알아듣고 마음에 새겨, 진정한 하느님의 백성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의 새로움
첫째, 가톨릭교회의 성서학자들이 교회의 성경 해석 전통을 존중하며 쓴 책입니다.
둘째, 가톨릭교회의 성경 73권 전체의 주해와 관련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담았습니다.
셋째, 성경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교회 구성원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습니다.
넷째, 성경 각 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성서학의 최근 연구 결과가 반영된 최신판입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제06권은 ‘민수기’와 ‘신명기’로 구성됩니다.

민수기 입문과 주해

민수기는 모세오경 중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지만, 이스라엘의 광야 여정 40년의 이유와 모세의 죽음, 죄의 기억을 통한 신앙 성찰 등을 담은 중요한 책입니다. 저자 데일 론더빌은 본문을 종합적으로 해설하면서, 그 형성 과정과 신학적 메시지, 특히 “광야에서 오직 야훼를 향한 절대적 신뢰만이 생명의 길”이라는 주제를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합니다.

신명기 입문과 주해
신명기는 구약의 중심으로, ‘하느님의 백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구약과 신약을 잇는 핵심 신학을 제시합니다. 저자 돈 C. 벤저민은 성서학뿐만 아니라 고대근동학과 문화사적 접근을 결합한 폭넓은 시각으로 신명기를 접근합니다. 그의 해석은 다소 낯설지만, 기존의 성경 주해 위에 새로운 통찰을 더하는 창의적 접근으로, 열린 마음으로 읽으면 신명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길이 열릴 것입니다.

통시적 차원에서는 오경에 속하는 책들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는 주장이 줄곧 제기되어 왔다. 이는 문헌 가설이 주장하듯이 이 다섯 권의 바탕을 이루는 기본 출전들이 있다는 견해에 근거한다. 어느 부분이 사제계 문헌(P)에 속하고 어느 부분이 비사제계 문헌(non-P)에 속하는지를 두고 이제는 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수준의 합의에 이르렀다.

사제계의 사상적 핵심은 야훼의 거룩함이다. 생명의 원천이신 이 하느님의 거룩함을 공경하려면 야훼가 공동체 안에 상징적으로 머무시는 장소에 죽음과 부패의 부정한 기운이 범접할 수 없게 해야 한다. 누구든 경계를 넘어 거룩함의 영역에 들어간다면, 그러한 건너감이 거룩한 공간의 온전함에 누가 되지 않도록 특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야훼가 이스라엘 백성의 공동체 가운데에 머무르며 백성을 축복하고 공동체를 유지하시게 하려면, 이런 식으로 성물과 거룩한 장소의 질서(위계)를 세우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17-20절에서 이 정찰대에 주어진 임무는 땅을 “정찰”하는 것이다. 정탐이 임무였다면 rgl 어근이 그러한 활동을 더 정확히 명시했을 것이고(민수 21,32; 여호 7,2; 판관 18,2 참조). 아마도 모세는 열둘이 아니라 한두 사람을 보냈을 것이다. 그보다 이 파견의 목적은 야훼께서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실 것을 확신하는지 지파의 수장들을 시험하는 데 있었던 것 같다. 그러한 시험을 위해서는 각 지파의 대표자들을 보내는 것이 중요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돈 C. 벤저민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에서 성서학과 고대근동학을 가르친다. 저서로 Social World of Ancient Israel 1250-587 B.C.E.(2005), Old Testament Parallels, laws and stories from the ancient Near East(2007) 등이 있다.

지은이 : 데일 론더빌
세인트 존스 신학교 및 신학대학원에서 구약성경을 가르친다. NAB 개정판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저서로 Celibacy in the Ancient World: Its Ideal and Practice in Pre-Hellenistic Israel, Meso-potamia, and Greece(2010), Spirit and Reason: The Embodied Character of Ezekiel’s Symbolic Thinking(2007) 등이 있다.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 / 약어 _027

민수기 입문
책의 이름 _039
문학적 특징 _040
편집사 _044
연대 _048
개요 _048

민수기 주해
시나이에서 약속의 땅으로 이동 준비 1,1–10,10 _051
거룩한 공간의 유지 1,1–6,27 _051
열두 지파의 인구조사와 배치 1,1–2,34 _053
레위인들의 인구조사와 배치 3,1–4,49 _056
진영 밖에서 삶과 죽음의 현실을 조정함 5,1–6,27 _059
시나이를 떠나기 전에 성막 봉헌을 마침 7,1–10,10 _064
열두 지파가 성막과 제단에 예물을 봉헌함 7,1-89 _065
등잔대 8,1-4 _067
레위인들의 봉헌식 8,5-26 _067
야훼의 때에 복종함 9,1–10,10 _068
광야를 거쳐 요르단강 동쪽으로 이동 10,11–21,35 _071
시나이에서 출발 10,11-28 _072
광야의 길잡이와 하느님의 인도 10,29-36 _073
타브에라에서 백성이 불만을 품고 부당하게 불평함 11,1-3 _074
반역과 권한 위임 11,4-35 _074
모세의 예언자적 지도권을 하느님께서 옳다고 하심 12,1-16 _077
정찰대의 보고와 약속의 땅 점령 실패 13,1–14,45 _079
약속의 땅에서 살면서 지켜야 할 법규들 15,1-41 _085
모세와 아론에 대한 반역 16,1–17,15 _088
아론의 지팡이 17,16-26 _092
사제와 레위인의 직무와 특권 17,27–18,32 _092
주검 때문에 부정하게 되었을 때 정화하는 법 19,1-22 _094
카데스에서 모압 벌판으로 20,1–21,35 _096
모압 벌판에서 약속의 땅으로 이동 준비 22,1–36,13 _102
발라암 이야기 22,1–24,25 _102
바알 프오르에서 저질러진 우상숭배 25,1-18 _107
두 번째 인구조사 25,19–26,65 _108
츨롭핫의 딸들의 땅 상속 27,1-11; 36,1-12 _110
여호수아의 승계 27,12-23 _111
정해진 때에 바치는 제물들 28,1–29,39 _111
자발적으로 하는 서원과 서약 30,1-17 _113
미디안과 전쟁 31,1-54 _114
가드 지파와 르우벤 지파가 제시한 중재안 32,1-42 _116
탈출 1세대의 이동 기록 33,1-56 _117
가나안 땅의 경계 34,1-29 _119
레위인들의 성읍과 도피 성읍 35,1-34 _119
맺음말 36,13 _121
참고 문헌 _122

신명기 입문
저술 배경, 신학적 주제 _127
개요 _133

신명기 주해
모세에 관한 전승 1,1–4,43 _139
머리말 1,1-5 _140
땅의 수여 1,6-8 _140
우두머리 임명 1,9-18 _141
광야 세대에 대한 심판 1,19–2,1 _141
땅의 수여 2,2–3,22 _142
모세에 대한 심판 3,23-29 _142
지침 4,1-43 _143
오직 야훼 4,1-40 _143
도피 성읍 4,41-43 _144
야훼와 이스라엘의 계약 4,44–31,29 _145
머리말 4,44-49 _145
계약 자격 5,1-6 _146
계약 규정 5,7–25,19 _147
십계명 5,7-21 _147
야훼의 백성으로 살기 시작함 5,23-33 _153
지침 6,4–11,30 _154
오직 야훼 6,4-25 _154
이민족 7,1-26 _155
주님의 은혜 8,1-20 _156
광야 세대에 대한 심판 9,1–10,11 _157
야훼와 이스라엘의 계약 10,12–11,30 _158
신명기 법전 11,31–25,19 _161
표제 11,31–12,1 _162
성소 12,2-28 _163
우상숭배 12,29–13,19 _164
장례 풍습 14,1-2 _165
음식 14,3-21 _165
십일조 14,22-29 _167
빚 탕감 15,1-18 _168
맏배 15,19-23 _168
순례 16,1-17 _169
판관 16,18–17,13 _170
임금 17,14-20 _170
레위 집안 18,1-8 _172
예언자 18,9-22 _172
도피 성읍 19,1-13 _174
경계 존중 19,14 _174
거짓 증언 19,15-21 _175
전쟁 20,1-9 _175
이방인들의 성읍 20,10-20 _176
증인의 부재 21,1-9 _177
여성 포로 21,10-14 _177
상속인 지정 21,15-17 _178
상속 권리 종료 21,18-21 _178
사형수의 매장 21,22-23 _179
농사와 제조업 22,1-12 _179
사기 22,13-21 _181
강간 22,22–23,1 _182
이스라엘 회중이 될 자격 23,2-9 _182
진영의 청결 23,10-15 _183
피신해 온 종 23,16-17 _184
신전 매음 23,18-19 _186
이자 23,20-21 _186
서원 23,22-24 _187
남의 포도나 곡식 채집 23,25-26 _188
이혼과 재혼 24,1-4 _188
혼인과 병역 면제 24,5 _189
담보물 24,6 _190
납치 24,7 _191
악성 피부병 24,8-9 _191
품팔이꾼 24,10-16 _192
과부 24,17-22 _194
매질 25,1-3 _194
보상 25,4 _195
법적 보호자 권리의 종료 25,5-10 _196
싸움 25,11-12 _198
도량형 25,13-16 _199
환대 25,17-19 _199
계약의 역사 26,1-15 _201
계약 선포 26,16–27,10 _201
계약의 저주와 축복 27,11–28,68 _202
계약의 증인 29,1–31,29 _205
모세에 관한 전승 31,30–34,12 _206
모세의 노래 31,30-32,52 _206
모세의 축복 33,1-29 _209
모세의 죽음 34,1-12 _209
맺음말 _212
감사의 말 _214
참고 문헌 _215
옮긴이의 말 _216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