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한국 민중·민주화 운동의 한가운데서  이미지

한국 민중·민주화 운동의 한가운데서
YMCA 활동가 5인의 증언과 기록
한국학술정보 | 부모님 | 2025.11.01
  • 정가
  • 26,000원
  • 판매가
  • 23,4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3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467Kg | 359p
  • ISBN
  • 979117457264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70년대 독재정권의 억압 속에서 학생운동으로 첫발을 내디딘 다섯 명의 YMCA 활동가들이 있다. 이들은 노동·농민 운동, 지역 민주화 운동, 환경 운동, 그리고 국제 협력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달려왔다. 감옥과 고문, 탄압의 현장을 통과하면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이들의 발걸음은 곧 한국 민주주의의 성장 과정과 맞닿아 있다. 각 지역 YMCA에서 뿌리내린 시민운동은 민중의 복지 향상과 생활 공동체의 형성으로 이어졌고, 그 경험은 한국 현대사 속 풀뿌리 민주주의의 소중한 증거가 되었다.

이 책은 그들이 직접 남긴 기록과 증언을 통해, 권위주의 시대를 헤쳐 온 치열한 삶의 궤적을 담아낸다. 민주주의와 정의, 평화, 그리고 인간화를 향한 일관된 헌신은 단순한 회고를 넘어 오늘의 독자에게도 강력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어떤 사회를 만들어가야 하는가?” 다섯 활동가의 여정은, 답을 찾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살아 있는 역사이자 희망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YMCA 활동가 5인의 발자취, 민주주의의 길을 비추다
1970년대 독재정권의 억압 속에서 학생운동으로 첫발을 내디딘 다섯 명의 YMCA 활동가들이 있다. 이들은 노동·농민 운동, 지역 민주화 운동, 환경 운동, 그리고 국제 협력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달려왔다. 감옥과 고문, 탄압의 현장을 통과하면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이들의 발걸음은 곧 한국 민주주의의 성장 과정과 맞닿아 있다. 각 지역 YMCA에서 뿌리내린 시민운동은 민중의 복지 향상과 생활 공동체의 형성으로 이어졌고, 그 경험은 한국 현대사 속 풀뿌리 민주주의의 소중한 증거가 되었다.
이 책은 그들이 직접 남긴 기록과 증언을 통해, 권위주의 시대를 헤쳐 온 치열한 삶의 궤적을 담아낸다. 민주주의와 정의, 평화, 그리고 인간화를 향한 일관된 헌신은 단순한 회고를 넘어 오늘의 독자에게도 강력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어떤 사회를 만들어가야 하는가?” 다섯 활동가의 여정은, 답을 찾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살아 있는 역사이자 희망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민중의 길 위에서 민주주의를 세운 사람들
-
1970년대 유신 독재의 억압 아래에서 한국 민주화운동의 맨 앞자리를 지킨 다섯 명의 YMCA 활동가들이 있었다. 김준식, 박병종, 전점석, 이상점, 정찬용. 이들은 학생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기독교 사회운동, 국제협력운동에 이르기까지 한국 시민사회의 초석을 다져온 세대이다. 감옥과 고문, 해직과 낙인 속에서도 “사람이 인간답게 사는 사회”를 향한 열정 하나로 나아갔다.

《한국 민중·민주화 운동의 한가운데서》는 이 다섯 사람이 각자의 지역과 현장에서 쌓아 올린 시민운동의 발자취를 통해, 한국 현대사의 또 다른 기록을 남긴다. 산업화와 민주화의 파고 속에서 YMCA라는 이름 아래 펼쳐진 민중교육, 빈민운동, 청년운동, 환경운동의 현장은 곧 ‘풀뿌리 민주주의’의 살아 있는 증거였다.

이 책은 회고록이자 증언록이다. 각자의 생애는 다르지만, 저자들을 하나로 잇는 공통의 신념은 분명하다. “사랑과 정의, 평화의 실현”이라는 YMCA의 목적문처럼, 이들은 평생 그 정신을 붙들고 한국 사회의 변화를 만들어왔다. 다섯 활동가의 이야기는 민주주의의 뿌리를 기억하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살아 있는 역사 수업이자 미래를 향한 희망의 좌표가 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정찬용
광주 YMCA 사무총장 노무현 대통령실 인사수석 (사)인재육성 아카데미 이사장

지은이 : 전점석
우산(愚山). 1951년 대구 출생. 31년간 몸담았던 YMCA를 퇴직한 후에 2011년 8월부터 경남일보 칼럼 「경일포럼」을 매월 게재하고 있으며 2018년 수필 「이름짓기」가 한국작가 제55회 신인작품상을 수상했다. 2020년 5월 뉴스통신진흥회가 주최한 제2회 탐사·심층·르포 취재물 공모에 「친일·반공·독재, 그 계보의 변신을 추적한다」가 가작으로 입선했다. 「인물추적 이은상」을 《피플파워》 2017년 12월호부터 2019년 12월호까지 2년간 게재했다.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을 《거창한들신문》에 2019년 6월 20일부터 6회, 제주4·3학살의 박진경 대령에 대해 《남해시대》에 2020년 5월 21일부터 3회 연재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의 《기억과 기록》 2019년 12월호에 「5·18 앞에서 느끼는 부끄러움」을, 광주전남작가회의의 《작가》 2020년 제26호에 「1980년의 광주 상무대와 대구 50사단 헌병대」를,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회보』 2020년 1월 통권 606호에 「80년대 신문을 오려 붙여서 복사하는 교회 청년들」을, 《샘》지 2020년 4월호에 「돌들이 일어나 꽃씨를 뿌리고」를, 경남도민일보 2022년 2월 8일자에 「해안의용군과 해상인민군사건」을 게재했다. 2017년 8월 칼럼 분야 회원으로 경남작가회의에, 2019년 4월 한국작가회의에, 2019년 11월 진해문인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2020년 10월 10일 아름나라가 시행하는 세 번째 아름나라문화상, 2021년 경남민예총 공로상 받았다.지은 책은 『일할 때도 주인, 일하고 나서도 주인』(1988년), 『진주에서 지역운동하기』(2002년), 『창원에서 지역운동하기 1, 2』(2011년), 『친환경 건축이 지구를 살린다』(2013년), 『지속가능한 지역사회』(2015년), 『진해근대문화유산의 재발견』(2018년). 엮은 책은 『인간답게 살자』(1985년), 『자유 상상의 나래를 펴라』(2017년).

지은이 : 김준식
대전, 성남, 광명, 안양, 경기도 YMCA 사무총장(사)아시안프렌즈 이사장(설립자)한국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

지은이 : 박병종
김천, 경주,영천,울산YMCA 사무총장 경북대학교 기독학생회(SCF)회장 더불어민주당 영천청도지역 위원장

지은이 : 이상점
세종YMCA 사무총장 한국기독학생총연맹(KSCF) 경북지역협의회장 동북아생명누리협동조합 총무이사

  목차

추천사 _안재웅, 이학영
서문 _김준식

제1장 내 삶의 화두는 ‘인간화’였다 _김준식
1. 내가 태어났을 때, 그곳은 전쟁터였다 20
2. 청소년기에 나는 하늘을 날고 싶었다 26
3. 1971년 4월 베트남 전쟁 중 나는 군대에 갔다 32
4. 성남교회 대학생부 활동은 나에게 역사의식을 깨우쳤다 37
5. 하나님의 선교(Missio-dei) 일선에 나서다 41
6. 반도상사 노동조합 장현자 지부장을 만나다 50
7. 성남교회 사회관이 YH사건의 대책본부가 되다 53
8. 한국YMCA와 함께 민중의 복지향상과 새문화 창조의 역군으로 55
9. 미8군 대전이전 반대운동으로 대전YMCA일을 시작하다 66
10. 광명YMCA 회원들과 IMF 실업자 구제에 나서다 75
11. 안양YMCA와 지속가능한 경기도 만들기에 참여하다 79
12. 세계선린회에서 아시아 지역 빈곤퇴치 운동을 시작하다 85
13. 국제개발협력 NGO (사)아시안프렌즈를 창립하다 93
14. 퇴직 후 나는 또 하나의 소수자인 노인들을 사랑하다 105

제2장 빛ㅁㆍ루에서 세상 보기 _박병종
1. 9남매의 다섯째로 출생 112
2. 시련을 신앙으로 극복한 아버지 114
3. 천사 같은 어머니 119
4. 나의 어린 시절 122
5. 사별의 아픔 130
6. 대학 생활과 동아리 활동 134
7. 육군 장교와 농업연구직 공무원 근무 139
8. 생산보다 분배를 위한 삶으로 143
9. 갑자기 이뤄진 결혼 147
10. 신학 졸업 후 짧은 목회 활동 151
11. YMCA 간사직으로 부름에 응답 154
12. 김천 YMCA와의 운명적 만남 155
13. 경주 YMCA와 함께한 12년 반 163
14. 영천 YMCA로 자원 이동 175
15. 울산으로부터 호출 182
16. 은퇴 후의 삶 186
17. 지역감정 극복과 정치발전을 위한 결단 187
18. 통일 운동 단체 활동과 대통령 표창 192
19. 역사 해설가로서의 새로운 삶 194

제3장 푯대를 향한 달음질 _이상점
1. 해방정국과 6·25 전쟁 후 대구지역 사회 202
2. 부모 형제와 소년기 206
3. 학생의거의 도시가 군사정권의 발상지로 변모 212
4. 청소년기 214
5. 기독교 신앙을 접함 218
6. 개발독재와 사회정의의 외침 222
7. 대학 시절 기독 학생운동 서클K, SCF 활동 224
8. 신학대학원 수학과 군복무 235
9. 시민사회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244
10. 결혼과 YMCA 운동 입문 247
11. 지역을 넘어 38년, YMCA 운동에 헌신 252
12. 남북 화해의 얍복강 연해주 265
13. 동북아생명누리협동조합을 통한 러시아 선교사역 266
14. 나오는 말 272

제4장 꿈이 세상을 바꾼다는 생각 _전점석
1. 달성공원 도랑가에서 태어나다 278
2. 동네 친구가 학교 친구, 학교 친구가 동네 친구 280
3. 해방 20년이 지나 입학시험 때 되살아난 ‘천인침’ 283
4. 객지에서 친구와 놀며 시작한 대학 생활 285
5. KSCF 학사단 활동의 일환으로 노동 체험 288
6. 유신정권을 정면에서 반대한 예언자의 목소리 296
7. 출소 후 서울 신촌과 금호동에서 야학을 하다 300
8. 구미 산선 활동으로 주식회사 서통 노동자 불법 해고 302
9. 1981년, 부산 YMCA 청년-Y 담당 간사로 시작하다 306
10. 시민중계실 법률상담에서 만난 노무현 변호사 310
11. 진주 YMCA 시민논단은 진주 지역운동의 산파 314
12. 창원 YMCA회관 건물을 대표적인 생태건축물로 건축 316
13. 2010년 퇴임 후에 햇빛발전협동조합,
경남협동조합협의회 활동 319
14. 60대 후반이 되어서 수필가로, 람사르재단 대표이사로 323
15. 내게 소중한 세 가지와 닫힌 마음을 열려는 노력 324

제5장 聽雨堂 정찬용의 삶 _정찬용
1. 아버지는 초등학교 선생님 332
2. 학창 시절 334
3. 문우회 활동과 학생운동 336
4. 거창 지역사회와 YMCA 활동 338
5. 광주 YMCA와 시민사회 운동 347
6. 나와 노무현과의 만남 348
7. 후진양성의 길 355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