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일영
한신대학교 교수.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경제학 박사. 《동향과 전망》 편집위원장, 《창작과비평》 편집위원. ‘한반도경제’, ‘새 공화주의’ 담론을 제기. 주요 저서로《새 공화주의 경제 체제》(2025, 공저), 《탄핵 이후, 새로운 공화국을 위하여》(2025, 공저), 《뉴노멀 시대의 한반도경제》(2019), 《혁신가 경제학》(2016), 《한국형 네트워크 국가의 모색》(2012, 공저), 《새로운 진보의 대안, 한반도경제》(2009), 《한반도경제론》(2007, 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백승욱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 동 대학원 사회학 박사. 비판사회학회 회장을 지냈다. 연구 분야는 세계체계 분석, 마르크스주의 연구, 중국 사회주의 역사 등이다. 주요 저서로 《연결된 위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한반도 핵위기까지, 얄타체제의 해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2023), 《1991년 잊힌 퇴조의 출발점: 자유주의적 전환의 실패와 촛불의 오해》(2022), 《생각하는 마르크스: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2017), 《중국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중앙문혁소조장 천보다와 조반의 시대》(2012), 《자본주의 역사 강의: 세계체계 분석으로 본 자본주의의 기원과 미래》(2006) 등이 있다.
지은이 : 유희석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연구 분야는 영문학, 사상사, 사회과학, 과학철학이다. 지은 책으로는 《자본주의근대와 세계문학》(2025), 《한국문학의 최전선과 세계문학》(2013), 《근대 극복의 이정표들》(2007) 등이 있다. 근간 논문으로 “‘오월문학’의 세계적 지평에 관하여”, “하이데거의 Ge-Stell에 관하여: 과학기술과 서사예술” 등이 있다.
지은이 :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 분야는 평화 연구, 국제정치경제, 북한 외교다. 지은 책으로는 《국제관계학 비판》(2008),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2007)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신공화주의적 평화의 길”(2025),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계보학”(2024), “평창 ‘임시평화체제’의 형성 원인과 전개”(2018), “북한 핵 담론의 국제정치”(2017),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2012) 등이 있다.
지은이 : 장은주
영산대학교 교수. 서울대 철학과 및 대학원 졸업, 독일 괴테 대학교 철학 박사. 참여사회연구소장을 맡았다. 민주적 공화주의에 입각한 한국 민주주의의 혁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공화주의자 노무현》(2024), 《공정의 배신》(2022), 《시민교육이 희망이다》(2017) 등이 있다.
지은이 : 황순식
전국비상시국회의 대외협력위원장. 서울대 해양학과 졸업. 진보정당 소속으로 과천시의원, 시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논문으로는 “한반도 지정학과 평화의 기획”(2023)이 있다.
머리말
1부 좌담 1
한국의 사상 정세와 새 공화주의
새로운 비전과 사상 논쟁을 촉발해 보자
격변하는 시국과 새 공화주의 담론
연합정치 논의의 과정
이재명 정부가 처한 조건
광장 시민과 시민운동의 향방
왜 공화주의를 논하는가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공화주의를 구성하는 요소들
한국형 공화주의의 가능성
2부 논평
01 새 공화주의를 위한 변명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02 새 공화주의와 자유주의의 관계는 무엇인가?
백승욱 (중앙대학교)
사상인가 이데올로기인가: 공화주의 문제 제기의 위상
공화주의 질문의 방식
주제별 쟁점
03 공화에 대한 단상
유희석 (전남대학교)
공화의 의미
낙관과 비관을 넘어서
새 공화주의 담론이 남긴 과제
04 빛의 혁명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개혁 방향
장은주 (영산대학교)
한국 검찰 통치 체제의 자유민주주의적 기원
민주적 공화주의와 새로운 헌정 체제의 모색
05 공화주의와 이재명 정부의 과제
황순식 (전국비상시국회의)
시대정신과 국가 목표
이재명 정부의 국정 계획
공화주의의 과제
이재명 정부의 과제
시민사회의 과제와 새로운 시대정신
부록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
한국 경제의 공화적 성장을 위한 실천적 탐색
새 공화주의 정치연합을 위하여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광장대선 연합정치 시민연대-제 정당 연석회의 공동선언문
국정기획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보도자료
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