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태영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남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전북대학교 박물관장, 전라북도 문화재 위원 역임 국어사학회장, 국어문학회장, 한국언어문학회장 역임 전주 완판본문화관 운영위원장 전주시 민간기록물관리위원장 전북대학교 명예교수저서문학 속의 전라 방언(2010, 글누림), 전라북도 방언 연구(2011, 역락), 국어사와 방언사 연구(2012, 역락), 전주의 책, 완판본 백선(편저, 2012, 전주문화재단), 완판본 인쇄·출판의 문화사적 연구(2021, 역락),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서지와 언어(2022, 역락) 외 다수
제1부 완판본 서점의 발달과 유통
제1장 조선시대 전주 서포(출판소)의 발달
1. 서포(書)란 무엇인가?
2. 전주 ‘서계서포’(西溪書)의 역사
3. 전주 ‘문명서관’(文明書館)의 역사
4. 전주 ‘다가서포’(多佳書鋪)의 역사
5. 전주 ‘칠서방’(七書房), ‘창남서관’(昌南書館)의 역사
6. 전주 ‘완흥사서포’(完興社書鋪)의 역사
7. 전주 ‘양책방’(梁冊房)의 역사
8. 결론
제2장 완판방각본의 출판과 유통
1. 유통의 흔적
2. ‘私板’(사판)과 전주의 서점
3. 완판방각본의 유통 과정
4. 결론
제3장 비소설 완판방각본과 경판방각본의 특징
1. 방각본(坊刻本)의 가치
2. 완판방각본의 종류
3. 경판방각본의 종류와 내용
4. 완판본과 경판본의 동질성과 차별성
5. 완판방각본 사서삼경의 발달과 특징
6. 완판방각본의 쇠퇴와 경판활자본의 발달
7. 결론
제2부 완판본 인쇄와 출판의 발간지
제4장 전주의 도시구조와 완판본 출판소 유적지
1. 전북자치도 전주의 도시구조
2. 전주부·전라감영의 거리와 완판본
3. 종교와 선비의 거리
4. 시장, 서포의 거리와 옛 책
5. 일제강점기 인쇄의 거리와 옛 책
6. 교육의 거리와 옛 책
7. 결론
제5장 전북자치도의 사찰본 출판소 유적지
1. 사찰과 출판
2. 완판사찰본과 전북자치도의 유적지
3. 결론
제3부 완판본 연구와 활용
제6장 전북자치도에서 발간한 한글 문헌의 서지와 활용
1. 한글 문헌의 중요성
2. 완영본, 전주부본과 한글 문헌
3. 종교 교리서와 한글 문헌
4. 완판방각본과 국어사 자료
5.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6. 필사본, 석판본 자료
7. 결론
제7장 전라감영본 『동의보감』의 서지와 가치
1. 완영본(完營本)의 중요성
2. 『동의보감』 이본의 서지적 특징
3. 완영본 『동의보감』의 의미
4. 결론
제8장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별춘향전』의 서지(書誌)와 특징
1. 연구의 목적
2. 앞선 연구의 성과
3. 『별춘향전』 이본의 서지적 특징
4. 『별춘향전』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
5. 『별춘향전』에 나타나는 글꼴의 특징
6. 완판본 『별춘향전』의 가치와 의미
제4부 완판본 문화의 계승
제9장 완판본의 문화유산 지정과 활용
1. 옛 책과 문화유산
2. 완판본의 문화유산적 가치
3. 보존과 선양의 방향
4. 결론
제10장 완판본 문화의 복원과 디지털 전략
1. 완판본 문화란 무엇인가?
2. ‘완판본’과 실용정신
3. 완판본 문화의 복원
4. 완판본의 디지털 전략
5. 완판본 이미지의 활용
6. 결론
제11장 근·현대 전북과 전주의 출판문화
1. 완판방각본 이후, 전주
2. 석판본, 활자본, 필경본의 발달
3. 1940년대 이후 인쇄소·서점의 발달
4. 결론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