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달라진 지금의 ‘마흔’에 관한 에세이다. 사회가 인식하는 숫자와 개인 삶에서의 ‘나이’가 중첩되지 않고 겉도는 듯, 교착되는 이 시대 마흔이 겪는 혼란과 안도의 그 어디쯤에 관한 이야기다.
저자는 글, 그 자체를 사랑해 온 작가로 글쓰기 모임 자문위원, 라디오 패널, 독서회 등 글과 삶을 실타래처럼 엮어 살고 있다. 그 안에서 한 인간이 일평생 함께 해 온 여러 감정들, 행복과 사랑, 외로움과 불안이 깃든 무르익은 여인으로 복잡한 마흔을 이 책에 정리했다.
‘그 나이쯤 되면 안정돼 있을 거야’의 마지노선을 마흔쯤으로 미뤄두고 혼잡한 30대를 보냈지만 막상 도착한 마흔은 평화의 땅이 아니다. 경력, 스펙, 직업, 경제적 안정을 쟁취하던 이전 시간의 연장선에 있을 뿐인 마흔은, 그래서 더 어렵다.
책은 이 복잡하고 조금은 불편한 마흔의 세계로 곧장 들어간다. 설렘과 기회를 품고 펄떡이는 서른, 유연함과 강인함 그리고 받아들임이 묻어 있는 듯한 오십. 그 사이 마흔이라는 단어를 우리는 어떻게 표현하고 정의해 나갈 것인가?
출판사 리뷰
마흔이라는 나이엔 수많은 질문을 마주하게 된다. 내 인생은 어떻게 흘러가는가, 나는 행복한 사람인가, 사랑의 의미는 무엇인가, 성숙한 어른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에선 그 의미를 끝까지 따라가 본다. 일상의 흔들림과 불안, 사랑과 성숙에 대한 고찰을 깊이 있게 성찰하며 인생을 되짚어 본다. 우리는 과연 틀리지 않은 삶을 살아왔는가?
이 책은 마흔이라는 나이를 통과하며 느끼는 불안과 성장 그리고 행복의 본질을 풀어낸 에세이다. 저자 김현주는 오랫동안 ‘행복’과 ‘만족’을 주제로 글을 써온 작가로, 인생의 중간 지점에서 겪는 혼란과 회복의 과정을 기록하며 삶의 중간에 선 독자에게 ‘행복과 만족을 쉽게 느끼며 살아가는 법’을 알려준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행복’의 의미를 되짚으며, 타인의 시선이 아닌 스스로의 기준으로 만족을 찾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2부는 ‘사랑’이라는 감정이 나이를 먹으며 어떻게 변하고 깊어지는지를 고찰하고 관계 속에서 자신을 지키는 법을 말한다. 3부에서는 ‘성숙’이란 무엇인가를 묻는다. 완벽하지 않은 어른에 대해, 불완전함 속에서도 나답게 살아가는 태도를 얘기한다. 마지막 4부는 ‘기록’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세상과 연결되는 과정을 담았다. 글을 쓰는 일이 결국 ‘나와의 대화’이며 나를 알아가는 일임을 보여준다.
벌써 아니, 겨우 마흔이 됐다. 아직 인생의 절반밖에 오지 않았다. 혼란스럽고 불안한 것은 당연하다. 보채지 말고 삶의 위로 천천히 올라가자. 혹 누가 알겠는가. 아직 당신에게 기적이 일어날 날들이 많이 남아 있을지.
삶의 중간쯤에 와 있는 나의 마흔은 거북이처럼 천천히 우상향하는 중이다. 이 정도면 충분하다. 그리고 계속 더 오래 살다 보면 누가 알겠는가. 아직 내게도 기적이 일어날 날들이 많이 남아 있을지.
현실에 만족하는 사람들이 만드는 다정한 세상. 성공해서 잘 사는 사람이 아니라 잘 행복해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나를 위해 최선을 다해 사는 삶. 있는 그대로의 나를 품어내고 지금의 내 모습을 만족하는 행복. 그것들을 위해 매일매일 노력하다 보면 세상이 발전하는 만큼 우리의 행복도 사랑도 기쁨도 고민도 추억도 그 자체로 소중해질 것이다.
마흔이 되고 보니 이제 조금 알 것 같다. 행복을 찾으려면 지금의 내 모습에 만족하고 나답게 살아야 한다. 시작은 언제나 준비 없이 맞이하게 되어 조금씩 틀어지기도 했고 그 안에서 예측할 수 없는 나를 알아갔다. 그리고 조금 알 것 같을 때 새로운 삶은 시작됐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현주
마음대로 살다 보니 에세이에 최적화된 마흔이 되었다. 행복을 고찰하는 작가로 삶을 돌아보고 만족하는 방법을 대중에게 알리고 있다. 글쓰기모임W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글쓰기 수업과 강연을 한다. 청년정책위원직과 칼럼 활동을 하며 문화재단 문화전환PD와 함께 지역 사회와 소통하고 있다. 라디오 패널, 독서회, 정신건강센터 글쓰기 수업 등 글과 사람을 활발히 잇고 있다. 글쓰기로 행복을 발견하고 만족이 주는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을 전하는 그녀의 글은 치열한 삶을 사는 보통의 어른에게 ‘충분히 잘 살고 있다’는 안도감을 건네며 지금 이 자리에서의 행복을 돌아보게 한다.
목차
저자와 책 소개
서문
프롤로그: 마흔, 익숙함에 속기 좋은 나이
1부. ‘행복’은 별 게 아니야
- 삶에 꼭 필요한 것은
- 세상에 공짜란 없다
- 쉬이 행복해져라
- 유일하게 만만한 것
- 또 다른 대안
- 지금이 좋다
- 행복의 척도
- 내가 선택한 무기력
- 기적 따위 없어도 괜찮아
- 다정함이 만든 세상
- 과함의 조율
- 소소한 일상
2부. ‘사랑’에 대한 몇 가지 훼방
- 사랑 없이 살 수 있나
- 책임감이란 마음
- 철없던 사랑
- 고집과 아집
- 혼자서도 잘 살 수 있지만
- 자발적 독립
- 당당하게 마음 아파해 보길
- 어디에서 사랑을 찾나
- 그래서 결혼을 할까요
- 마흔의 이상형
3부. ‘미숙’한 어른의 세상살이
- 마흔 같지 않은 마흔
- 0층에서 40층으로
- 정말 중요한 건 변하지 않는다
- 내가 선택한 삶으로 살고 있나
- 부족함은 까먹어 주기
- 어른이 되어 만족하는 삶
- 나를 닮은 나의 삶
- 철이 든다는 것은
- 기분의 기본값
- 나이가 주는 자존감
- 외로움을 즐기는 어른
- 대한민국 마흔 적응기
- 좋은 어른이 되는 건 어려워
- 세상에서 유일한 것
4부. ‘기록’이 가르쳐 준 마음
- 기록의 이유
- 하찮은 평화
- 자기소개
- 내향인의 침묵
- 루틴
- 말을 아끼는 사람이 되어
- 성공의 존재
- 깔끔한 삶은 없다
- 행복과 작가의 상생
- 찌질한 이야기
에필로그: 행복을 꿈꾸며 산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