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주태
학력1989년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졸(문학사)1992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행정학 석사)2005년 미국 Duke University 대학원 정책학과 졸(Master of Arts)2013년 북한대학원대학교 졸(북한학 박사)공직 경력1991년 행정고시 합격(35회)2007년 청와대 행정관2013년 통일부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사무처장2014년 청와대 선임행정관2017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회담기획부장2017∼2019년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평창동계패럴림픽 남북실무회담 수석대표, 남북철도협력 분과회담 대표, 남북도로협력 분과회담 대표, 남북체육협력 분과회담 대표2019년 통일부 기획조정실장2020년 통일부 하나원장2022∼2023년 통일부 통일정책실장2023년 남북하나재단 사무총장2025년 2월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직무대행연구 및 출판『 김정일시기 북한위기조성전략 연구』(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코로나시기 시편 묵상』 기획 편집(남서울은혜교회, 2023, 비매품)『통사연 10년 백서』, 편저(2025, 비매품)
책을 펴내면서
제1장 | 여는 글
제2장 | 이론적 논의 및 분석 틀
제1절 이론적 논의
제2절 북한 위기 조성의 유형
1. 의도적 위기 조성과 대응적 위기 조성
2. 공개적 위기 조성과 비공개 위기 조성
3. 고강도 위기 조성과 저강도 위기 조성
4. 비대칭 전력을 통한 위기 조성과 군사 도발을 통한 위기 조성
5. 프로그램적 위기 조성과 단발적 위기 조성
제3절 분석 틀 검토
1. 북한의 대내외 정세 인식
1) 북한의 대미 인식
2) 북한의 대남 인식
3) 북한의 대중 인식
4) 북한의 대내 인식
2. 북한식 「기회의 창」
3. 표적과 청중
4. 북한 위기 조성의 기제
제3장 | 비대칭전력을 통한 위기 조성 사례 분석
제1절 대포동 미사일 발사
1. 북한 미사일 개발과 발사의 파장
2. 북한의 대내외 정세 인식
1) 미북 관계
2) 북한 내부 상황
3) 남북 관계
4) 북중 관계
3. 표적과 청중, 기회의 창
제2절 핵보유 선언
1. 제2차 북핵 위기의 전개와 핵보유 선언
2. 북한의 대내외 정세 인식
1) 미북 관계
2) 북한 내부 상황
3) 남북 관계
4) 북중 관계
3. 표적과 청중, 기회의 창 / 95
제3절 1차 핵실험
1. 9.19 공동성명 이후 상황
2. 북한의 대내외 정세 인식
1) 미북 관계
2) 북한 내부 상황
3) 남북 관계
4) 북중 관계
3. 표적과 청중, 기회의 창
제4절 2차 핵실험
1. 10.3 합의 이후 정세 흐름
2. 북한의 대내외 정세 인식
1) 미북 관계
2) 북한 내부 상황
3) 남북 관계
4) 북중 관계
3. 표적과 청중, 기회의 창
제4장 | 군사 도발을 통한 위기 조성 사례 분석
제1절 제1·제2 연평해전
1. 남북간 해전 배경과 상황
2. 북한의 대내외 인식
3. 표적과 청중, 기회의 창
제2절 연평도 포격
1. 연평도 포격 전후 상황
2. 북한의 대내외 인식
3. 표적과 청중, 기회의 창
제5장 | 김정은 시기 위기 조성 전략
제1절 2013년 3차 핵실험
제2절 핵 무력 완성 선포
제3절 2018∼2019 대미·대남 협상 추진 /
제4절 2020년 이후 북한의 자가 봉쇄 및 도발 / 217
제6장 | 닫는 글 … 221
참고문헌 / 23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