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함께 읽는 고전 시리즈. 신의를 지키다가 끝내 토사구팽을 당한 「한신」을 사마천의 원문과 학생들의 대화로 읽는 독특한 동양 고전이다. 원문을 흐름상 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을 세 명의 학생들과 선생님이 '대화'를 통해 재해석하였다.
사마천 「사기(史記)」의 열전과 세가를 골라 짧지만 하나의 완결성을 갖춘 원문을 통으로 읽게 하였다. 또한 대화를 통하여 글쓴이가 원문에 펼쳐 놓은 앞뒤 맥락을 꼼꼼히 따져 제대로 읽게 하였다. 이 책의 이런 장점은 독서 동아리에서 나눌 이야기 소재들을 발견할 뿐만 아니라, 세 학생의 의견을 미리 경험함으로서 자기 의견을 갖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출판사 리뷰
고전은 여럿이 함께 읽어야 제대로 깊게 안다!신의를 지키다가 끝내 토사구팽을 당한 「한신」을 사마천의 원문과 학생들의 대화로 읽는 독특한 동양 고전 시리즈. 고전은 여럿이 함께 읽어야 제대로 깊게 안다. 특히 고전을 처음 접하는 청소년은 고전 전문가의 안내를 따라서 읽은 내용을 서로 토론함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정확하게 고전을 이해하게 된다. 이 「함께 읽는 고전」 시리즈는 함께 읽는 장점을 살려서, 혼자 읽어도 마치 여럿이 함께 읽는 효과를 맛보도록 구성하였다.
진시황이 세운 진나라가 망하고 유방과 항우의 일전이 마무리되자마자 당대 최고의 전략가였던
한신은 토사구팽을 당한다. 흔히들 이렇게 읽는다. 과연 그럴까? 항우, 유방과 함께 천하를 세 발 달린 솥처럼 정립할 수 있었음에도 한신은 왜 그러질 않았을까? 천하가 안정된 후 반역을 도모했기 때문에 비판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는 사마천의 평가는 과연 정당한가? 책은 「회음후(한신) 열전」을 빠짐없이 번역하고 세 명의 학생과 한 명의 선생을 등장시켜 한신의 생애를 되짚으며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이 책의 구성」- 사마천의 『사기(史記)』「회음후(한신) 열전」을 번역하여 「원문」으로 실었다.
- 이 「원문」을 흐름상 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을 세 명의 학생들과 선생님이 「대화」를 통해 재해석한다.
- 학생들은 「원문」의 맥락을 따라 사건과 등장인물을 나름의 시각으로 분석하고 해석한다.
- 선생님은 인물과 사건의 역사적 배경을 좀 더 자세히 살펴서 이해를 돕는다. 또한 역사 속의 여러 관련 일화를 소개한다.
- 「원문」과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구성하였다.
- 삽화와 지도로 주요 장면의 이해를 도왔다.
나 홀로 읽어도, 여럿이 함께 읽는 것 같다고전 원문을 혼자서 읽어내기란 쉽지 않다. 특히 모바일과 이미지 정보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동양 고전은 더 그렇다. 우선 어려운 한자말을 익혀야 하고, 인물이나 시대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소년 독서 운동을 오래 해 온 교사들은 독서 동아리 활동을 통한 ‘함께 읽기’를 권한다. ‘함께 읽기’는 책 읽기에 대한 동기 부여뿐 아니라 한 권의 책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마주할 수 있고, 혼자서 읽었을 때 잘못 이해하거나 놓친 부분을 점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함께 읽기’의 장점을 이 책에 구현하고자 하였다. 대화 부분에서 세 친구가 등장한다.
엉뚱한 질문으로 사람들을 당황하게 하지만 요즘의 감수성을 잘 보여 주는 뭉술이, 두루두루 해박하여 생각이 사방팔방으로 번지는 범식이, 깨알 같은 질문을 쏟아내 등장인물들의 꿍꿍이를 풀어헤치는 캐물이, 이 세 친구의 중구난방 대화를 따라가다 보면, 혼자 읽어도 여럿이 함께 읽는 듯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원문 그대로 읽지만, 발췌하지 않고 통으로 읽는다원문을 있는 그대로 읽어 보아야 고전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많은 고전들을 원문 그대로 언제 다 읽을 것인가. 학교 현장에서는 필수 고전의 핵심 구절을 발췌하여 보여 주는 원문 읽기가 다급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앞뒤를 자른 원문 읽기는 고전을 수박 겉핥기로 머물게 할 우려가 크고, 학생들에게 고전이 어렵다는 생각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책은 사마천 『사기(史記)』의 열전과 세가를 골라 짧지만 하나의 완결성을 갖춘 원문을 통으로 읽게 하였다. 또한 대화를 통하여 글쓴이가 원문에 펼쳐 놓은 앞뒤 맥락을 꼼꼼히 따져 제대로 읽게 하였다.독서 동아리가 딱 찾는 고전 텍스트「함께 읽는 고전」 시리즈는 ‘독서 동아리’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무엇을 이야기할까’ 고심할 때 분명한 답이 될 수 있다. 「대화」 부분을 살펴보면, 원전에 대한 세 학생의 개성 넘치고 날카로운 분석을 만날 수 있다. “사마천은 왜 이렇게 배치했을까?” “이런 상황은 무엇을 상징할까?” 이런 의심을 전제로 글 구조를 파악해 가면서 읽고, 때로 관련 지식과 정보를 모아 역사적 배경을 종합해서 파악하고 있다. 이 책의 이런 장점은 독서 동아리에서 나눌 이야기 소재들을 발견할 뿐만 아니라, 세 학생의 의견을 미리 경험함으로서 자기 의견을 갖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학생들은 생각나는 대로 묻고,
선생님은 풍부한 배경 지식으로 답한다2015년 고등학교 국어 교과에 고전 과목이 신설되어, 인문 고전 읽기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고전 읽기에는 그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춘 선생님의 안내가 중요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고전 지식을 풍부하게 전할 선생님들이 많지 않은 게 현재의 우리 학교 실정이다. 이 책에 고전 안내자로 등장하는
이샘은 영웅들이 살았던 시대의 배경 지식, 후대의 역사 논쟁들, 동서양의 비슷한 사례 등을 열거해 학생들이 원문을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샘의 답을 살펴보면 학생들 눈높이에 맞춰져 있는데, 이는 실제로 오랫동안 청소년들 고전 교육에 힘써 온 저자의 경험을 잘 보여 주는 대목이다.
신의를 지켜야 할까?
아니면, 변화하는 형세에 따라야 할까?우리는 한신을 지략이 뛰어난 장수였지만 유방에게 토사구팽 당한 인물로 기억한다. 그렇다면 과연 사마천은 ‘한신’을 어떻게 서술했을까? 이 책은 사마천이 묘사하였지만 ‘한신’의 입장에서 책을 읽어 보고자 하였다. 사마천이 쓴 사기 열전의 「회음후」 편에는 겁쟁이에서 대장군으로, 제나라 왕으로 승승장구하지만 천하 통일 이후 유방에게 내처져 암살될 때까지 한신의 일대기가 펼쳐진다. 이 책을 쓴 이양호 저자는 ‘한신’이 유방이나 소하와의 신의에 연연해하여 당시 형세와 세력의 변화를 간과했다고 지적한다. 「대화」에서는 원문 전체에 펼쳐져 있는 ‘한신과 유방 간 신뢰의 변화’에 주목한다. 이미 유방이 군대를 빼 가며 형세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바꾸고 있는데도, 한신은 여전히 ‘차마, 신의를 저버리지’ 못하고 있다. 한신은 유방에게 군권을 빼앗기고 속수무책인 상황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자신의 처지를 깨닫고 반역을 꾀하지만, 이마저도 소하를 믿고 부름에 응했다가 암살당하게 된다. 「원문」을 읽어서는 놓치기 쉬운 한신의 심사를 「대화」를 통하여 해석해 냄으로써 전략가이자 희대의 영웅이었던 한신이 왜 그렇게 한순간에 팽을 당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고증으로 복원해낸 중국 고전 인물화풍 삽화책을 펼치면, 엄마나 아버지 세대에 읽었던 「삼국지」의 삽화를 보게 된다. 중국에는 흑백의 삽화와 짧은 글로 보는 고전 그림 시리즈가 많다. 심양노신미술대학에서 중국화를 전공한 리 화백은 진시황릉에서 출토된 전사, 전차, 말, 장교의 복장 등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고, 중국에서 오랫동안 내려온 고전 인물화의 전통을 반영하여 삽화를 그려냈다고 한다. 이 책을 통하여 요즘 우리 청소년들이 흔히 보지 못하는 중국 고전 인물화의 진수를 맛보는 재미도 쏠쏠할 것이다.
* 평사리 출판사의 「함께 읽는 고전」 시리즈는 「사기(史記)」에 나오는 영웅들의 삶을 계속해서 책으로 발간할 예정입니다. 우리 청소년들이 앞으로 살아갈 인생살이에 귀한 지혜를 이 고전들에서 찾기를 바란다.




작가 소개
저자 : 이양호
나주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에 들어가 3년 동안 청명 임창순 선생에게 배웠다. 이후 학생들에게 고전 읽기를 10여 년간 가르치다 독일로 건너가 만하임에 있는 발도르프 사범대학을 졸업했다. 중고등 고전대안학교인 ‘다산서원’을 설립하여 동서양 고전을 강의했고, EBS 라디오 [순수의 시대]에서 신화와 민담을 해설했다. 현재는 다산독서클럽과 삼봉서원에서 물음이 있고 자기 형성이 있는 고전 읽기와 글쓰기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소크라테스는 한번도 죽지 않았다- '변론' 단단히 읽기》, 《삼국유사, 역사의 뜻을 묻다》, 《공부를 잘해서 도덕적 인간에 이르는 길》, 《신데렐라는 재투성이다》, 《백설공주는 공주가 아니다》, 《한신》, 《장량》 등이 있다.
목차
천하에 나아가 천하를 받들다
천자의 용기, 천자의 인자함이 계책이다
적군은 물론, 아군까지 간파하는 전쟁의 신
정예 군사를 빼앗고 허명을 받들라 한다
망설이며, 차마 배반하지 못하니
은덕을 베풀다가 그만두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