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신영산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인천의 부평여자중학교와 계산고등학교, 서운고등학교를 거쳐 현재 부평여자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다. 《옛 노래에서 찾은 우리들의 삶과 꿈》(평민사, 2001), 《글쓰는 호모루덴스》(네오씽크, 2007), 고등학교 문학교과서(금성출판사, 2010)를 펴냈다. 수능출제위원 및 전국연합학력고사 출제위원을 지냈다.
들머리로
옛 노래에서 찾아내는 삶의 지혜
아름답게 살아가기 위하여
정철의 시조와 세한도와 여백의 아름다움
사설시조 ‘각시님-’과 사랑하는 연상의 여인
황진이의 시조와 박찬호 장가보내기
허난설헌의 ‘규원가’와 우리 시대의 사랑 표현법
월명의 ‘제망매가’와 번호표와 아름다운 기다림
‘봉선화가’와 아름다운 사람들의 아름다운 모습들
정철의 ‘장진주사’와 죽을 때까지 술 마시기
남구만의 시조와 가끔은 편하게 게을러지기
장군들의 시조와 지루하게 영광스러운 민방위교육
정극인의 ‘상춘곡’과 고단한 상춘의 길로 떠나기
깨끗하게 살아가기 위하여
‘쌍화점’과 오양, 백양의 비디오 훔쳐보기
삿갓의 한시와 욕으로 세상 비웃기
‘정석가’와 해리포터의 마법 읽기
사설시조 ‘놈은-’ 과 어이없는 역설의 시대
사설시조 ‘동난지이-’와 낯선 문자로 세상에 벽을 쌓기
‘한림별곡’과 닫힌 지식인들의 삶
사육신들의 시조와 원칙이 아름다운 사회
어무적의 ‘유민탄’과 배부른 나랏님이 외면한 배고픈 들풀들
‘유산가’와 화사한 봄날의 색깔 즐기기 또는 유치한 색깔론 싫도록 듣기
이황의 ‘도산십이곡’과 나의 사랑하는 제자들을 위하여
나누며 살아가기 위하여
‘처용가’와 바보처럼 어리석은 소유욕
‘구지가’와 민주적으로 지도자 모시기
정약용의 ‘애절양’과 공산주의자의 비애
‘청산별곡’과 춥고 배고픈 사람들의 이상향
예종의 ‘도이장가’와 드라마 태조 왕건의 조역들
‘서동요’와 행복하게 속이면서 속아주기
박인로의 ‘누항사’와 당당하게 가난해지기
농자천하지대본의 시조와 아침밥 먹기 운동
송순의 시조와 집 한 칸 겨우 마련하기
임금들의 시조와 아랫사람 부리기 또는 윗분 모시기
뒷 말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