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여덟 명의 국어 교사가 오랜 기간 머리를 맞대고 함께 써내려 간, 역사와 문학을 아우르는 콘텐츠이다. ‘역사’와 ‘문학’이라는 두 축으로 구성된 이 책은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를 10년 단위로 나누어 우리 현대사의 각 시기별 주요 장면들을 짚어 보고, 그러한 시대상이 잘 드러나는 소설들을 소개한다. 한국 현대사의 주요한 순간순간과 작가의 눈으로 포착한 당대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들여다봄으로써 시대와 문학이 어떻게 소통하는지, 시대적 상황이 우리 삶에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필 수 있다.
이 책은 ‘문학은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이며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명제에서 비롯한다. 소설은 우리 삶을 바탕으로 하고, 소설 속 인물들은 특정한 시공간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는 소설 속 인물들의 삶을 통해 역사에서 미처 읽지 못한 생생한 시대적 상황과 인간적 고뇌를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소설을 읽는 것은 시대와 무관하지 않은 소설 속 인물들과 대화하고 그들의 행동을 이해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실을 한 번쯤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출판사 리뷰
《소설, 시대를 읽다》는 여덟 명의 국어 교사가 오랜 기간 머리를 맞대고 함께 써내려 간, 역사와 문학을 아우르는 콘텐츠이다. ‘역사’와 ‘문학’이라는 두 축으로 구성된 이 책은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를 10년 단위로 나누어 우리 현대사의 각 시기별 주요 장면들을 짚어 보고, 그러한 시대상이 잘 드러나는 소설들을 소개한다. 일제 강점기, 광복과 좌우 대립, 625 전쟁과 남북 분단, 이승만 정권과 419 혁명, 유신 정권과 군사 독재 정권,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6월 항쟁, 산업화와 신자유주의……. 이러한 한국 현대사의 주요한 순간순간과 작가의 눈으로 포착한 당대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들여다봄으로써 시대와 문학이 어떻게 소통하는지, 시대적 상황이 우리 삶에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필 수 있다. <운수 좋은 날>의 김 첨지는 왜 그렇게 가난했는지, <곡두 운동회>의 마을 사람들은 왜 그렇게 어이없이 죽어 갔는지, <하루의 축>과 <유리 방패>의 주인공들은 왜 그렇게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는지…….
이 책은 ‘문학은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이며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명제에서 비롯한다. 소설은 우리 삶을 바탕으로 하고, 소설 속 인물들은 특정한 시공간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는 소설 속 인물들의 삶을 통해 역사에서 미처 읽지 못한 생생한 시대적 상황과 인간적 고뇌를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소설을 읽는 것은 시대와 무관하지 않은 소설 속 인물들과 대화하고 그들의 행동을 이해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실을 한 번쯤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작가 소개
저자 : 충북국어교사모임
올바른 국어 교육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야무진 꿈을 갖고 충북 지역의 국어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만든 모임입니다. 1988년에 전국국어교사모임과 함께 출발한 충북국어교사모임은 국어 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면서 올바른 국어 수업의 방향을 탐색해 왔습니다. 또한 다양한 소모임 활동과 교사와 학생이 함께 가는 문학 기행.문학 캠프, 중·고등학생 이야기대회와 같은 행사를 통해 교사들에게는 전문성 향상의 기회를, 학생들에게는 색다른 문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독서 교육을 위해 《국어시간에 생각 키우기》,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 《(선생님과 함께 읽는) 치숙》, 《(선생님과 함께 읽는) 모래톱 이야기》 등을 펴냈습니다.
목차
1920년대 - 가난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독립 의지
시대상 살펴보기
홍염 _최서해
운수 좋은 날 _현진건
1930년대 - 무너지는 농촌, 절망과 환상의 도시
시대상 살펴보기
만무방 _김유정
천변 풍경 _박태원
1940년대 - 광복의 기쁨과 분단의 비극
시대상 살펴보기
미스터 방 _채만식
어둠의 혼 _김원일
1950년대 - 씻을 수 없는 상처, 한국 전쟁
시대상 살펴보기
곡두 운동회 _임철우
후조 _오영수
1960년대 - 스러져 간 자유의 외침
시대상 살펴보기
서울, 1964년 겨울 _김승옥
왕릉과 주둔군 _하근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