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저자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미래전략연구센터(원장/센터장 이광형)국내 최초의 미래학 연구 및 교육기관이다.과학적인 미래학 연구를 바탕으로 국가 발전과 인류 행복에 기여하는 미래전략 수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미래의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창조해가는 미래전략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미래전략 연구 교육 기관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현재 인재양성은 물론 전 지구적 미래위기와 시대변화에 선도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발간사
머리글
1부 미래 목격자, 인구 전쟁을 이야기하다
01 미래는 어떻게 변해가는가?
인구 변화의 역사
한국에는 몇 명의 인구가 필요할까?
4차 산업혁명과 인구 변화
02 인구 변화 미래 시나리오
인구 절벽 시대가 온다
미래 인구 전쟁 시나리오 2045
미래, 그 가능성의 공간
03 얼마나 많은 사람이 필요한가?
지구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
위기에 빠진 대한민국 인구 지도
추락하는 출산율, 날개는 있다
04 또 다른 미래를 찾아서
미래 예측은 미래 그 자체가 아니다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숨은 변수들
2부 인구 위기와 정부 정책
01 대한민국의 출산 정책
출산, 억제와 장려 사이
출산 장려 정책
전쟁의 끝을 위한 미래의 출산 정책
02 대한민국의 고령화 정책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정책
잃어버린 10년을 위한 로드맵
03 세계의 출산 정책
유럽의 출산 장려 정책
일본의 출산 장려 정책
정부 정책과 출산율의 관계
04 세계의 고령화 대응 정책
전 세계가 고령화로 가고 있다
유럽의 고령화 대책
일본의 고령화 대책
05 인구 정책, 혁신이 필요하다
‘저출산의 덫’에 빠진 위기의 대한민국
인구 정책, 무엇을 바꿔야 할까?
3부 무엇이 인구 지도를 바꿀 것인가_ 사회편
01 인구 전쟁의 시작
저출산이라는 용어의 딜레마
한국은 어쩌다 인구 절벽을 맞이했나
02 결혼제도의 문제와 청년들의 결혼 기피
결혼을 어렵게 만드는 것들
결혼은 청년들의 생존전략이 될 수 없다
우리에겐 화해가 필요하다
03 한국의 학벌주의와 인구 감소
과도한 교육열에 빠진 한국
학벌주의가 가져오는 문제들
교육 개혁으로 저출산 국가 탈출하기
04 초장생 사회가 온다
초고령 사회가 아닌 초장생 사회
초장생 사회,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나
4부 무엇이 인구 지도를 바꿨는가_ 개인편
01 가치관의 변화
신념과 세계관, 그리고 출산율
출산율 증가 국가의 신념과 믿음
한국의 신념 변화와 저출산
02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어른이라는 권위의 해체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상
지금 행복할 것
혼자 사는 삶의 즐거움
03 경제·사회·개인적 심리 변화
‘저출산의 덫’이란 무엇인가?
‘저출산의 덫’에 걸린 한국의 출산율
출산을 결정하는 심리적 요인
04 엔트로피 관점에서 본 저출산 심리
저출산이라는 부메랑이 된 경제 성장
저출산을 가져온 생각의 변화
청년의 고민 들여다보기
05 인간다운 죽음을 꿈꾸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한국인에게 죽음이란?
좋은 죽음에 관하여
5부 인구 전쟁에서 이기기 위한 대안과 정책
01 주거 지원 확대
거미줄처럼 얽힌 저출산의 원인
현실적 주거 지원 확대
02 양성평등 실현
청년세대는 가족을 이룰 수 있을까?
가족 개념의 변화
저출산과 양성평등의 관계
03 교육 시스템 개혁
저출산과 미래의 취업
지식 반감기의 단축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04 고령 기준 재검토
지금의 노인은 미래의 노인이 아니다
노인의 기준이 바뀌고 있다
호모 헌드레드 시대
고령 기준 상향이 가져올 변화
05 개방적 이민 정책
시나리오 하나: 다민족 주도권 분쟁사회
시나리오 둘: 실패한 다문화 사회
시나리오 셋: 저활력 사회
시나리오 넷: 매력 코리아 2050
06 다양한 파트너십의 인정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
시대 변화에 뒤처진 결혼제도
제도권 밖의 다양한 관계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