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미지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과 실천이 만나다
살림터 | 부모님 | 2018.11.30
  • 정가
  • 13,000원
  • 판매가
  • 11,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50P (5% 적립)
  • 상세정보
  • 22.4x15.3 | 0.426Kg | 224p
  • ISBN
  • 979115930081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교육과정의 구조와 무늬를 느끼게 해주는 이 책은 ‘이해’를 중심으로 교실 속 수업과 교육과정의 만남을 실현시켰다. 저자는 현장교사라면 누구나 자기 연찬이 가능하면서 학생의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풀어나간다.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전문성을 발휘하는 데 필독해야 할 교육과정 자료이며, 대학교수-리더교사-현장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집필한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모범적인 사례로 기억될 것이다.

일상적인 수업에서의 변화와 혁신을 실천하고 싶은 선생님, 삶의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힘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싶은 선생님, 교실 속에서 아이들과 함께 행복한 성장을 꿈꾸는 선생님들에게 추천한다. 이 책이 선생님들을 교육과정 설계의 지름길로 안내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지금 교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해’를 중심으로 교실 속 수업과 교육과정이 만나다



집필 도중에 만난 변영임 선생님은 이론과 실천의 접점 찾기가 매우 어렵다고 고충을 털어놓곤 하였다.
교육과정과 수업처럼 이론과 실천 간의 간극이 크게 느껴지는 영역도 드물다는 뜻일 것이다.
적지 않은 현장의 선생님들은 이 틈에서 당황하고, 좌절하며, 때로는 교실에서 용기를 잃는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에서 언급된 이후 교사들은 학교와 교실에서 그 철학을 어떻게 펼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
이 책은 그 고민 해결의 열쇠와 같다.
_박승열, 경기도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교사를 세우는 교육과정』 저자

일상적인 수업에서의 변화와 혁신을 실천하고 싶은 선생님, 삶의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힘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싶은 선생님,
교실 속에서 아이들과 함께 행복한 성장을 꿈꾸는 선생님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이 책이 선생님들을 교육과정 설계의 지름길로 안내할 것입니다.
_이수현,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정책과 교육과정 담당 장학사

이제야 길이 보인다. 앎과 삶이 만나는 지점, 교육과정과 수업이 하나 되는 경로, 배움이 역량으로 연결되는 지도,
나 있지 않은 길에서 지도를 만들어가는 일에 선생님들을 초대하고 싶다. _정기효, 경북 구미 황상초등학교 교감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역량을 기르는 최적의 수업설계라고 생각하지만 현장에서 실천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래서 누구보다 이 책의 출판을 기다려 왔다. 원고를 읽고 이 책이 현장 교사들에게 좋은 친구가 될 것이란 확신이 든다.
_송귀화, 울산 명촌초 수석교사

교육과정의 구조와 무늬를 느끼게 해주는 이 책은 ‘이해’를 중심으로 교실 속 수업과 교육과정의 만남을 실현시켰다.
저자는 현장교사라면 누구나 자기 연찬이 가능하면서 학생의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풀어나간다.
이 책은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전문성을 발휘하는 데 필독해야 할 교육과정 자료이며, 대학교수-리더교사-현장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집필한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모범적인 사례로 기억될 것이다.
_임재일, 경기 용인 백봉초 교사, 『교사학습공동체』 저자

  작가 소개

지은이 : 온정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미국 James Madison University 조교수 역임University of Iowa(교육과정/초등교육, Ph.D.)『이해중심 교육과정』, 『역량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공저『맞춤형 수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Ⅱ』,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 공역변영임(용인 모현초 교사)경인교대 대학원에서 초등교육방법을 전공했고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에 대한 실행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대학원 졸업 즈음에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회’를 만들어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고 경기도 교수평 정책실행 연구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경기도 교육과정 선도요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해를 위한 수업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으며 연수원과 지역교육청 및 단위학교 연수를 통해 현장교사와의 즐거운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지금은 연계형 혁신학교 혁신부장으로 근무하면서 학교급간 연계교육과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안나(화성 제암초 교사)경인교대 대학원에서 초등교육방법을 전공했고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회’에서 선생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 「교과 통합적 접근을 통한 범교과 학습 적용 방안」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봄(BOM) 융합예술활동을 통한 꽃씨들의 예술인성 꽃 피우기』연구 보고서로 전국 현장연구대회 1등급 푸른기장과 대통령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지금은 화성에서 초록을 꿈꾸는 연두 마을을 가꾸면서 모두가 꽃이 되는 행복한 교실 꽃밭을 키워가고 있습니다.유수정(안산 학현초 교사)경인교대 대학원에서 초등교육방법을 전공했고 『교사학습공동체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지금은 혁신학교 교무부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회’‘이해중심 수업탐구공동체’ 등에 참여하면서 꾸준히 이해를 위한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또한 2017년부터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안산소나기팜) 꿈지기 교사로 활동하면서 학생이 주도하는 마을기반 ‘학교 밖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회 온라인 공간 https://cafe.naver.com/2016ubd

  목차

들어가며
서문
1부 이해중심 교육과정 만나기


1장 왜 이해를 목표로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하는가?
1.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2. ‘이해’가 왜 중요한가?
2장 이해중심 교육과정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1.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칠 것인가? 내용의 우선순위 정하기
2. 어떻게 학생들의 사고와 탐구를 유도할 것인가? 핵심질문 만들기
3. 학생들이 이해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평가 계획하기
4. 어떤 활동이 학생들의 이해를 뒷받침하는가? 학습활동 계획하기
5. 교사의 사고를 조직하기 위한 틀: 단원 설계 템플릿
3장 이해를 목표로 하는 수업은 어떻게 다른가?
1.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어떻게 다른가?
-개념적으로 사고하기
-안내자 혹은 코치의 역할 하기
-학생의 사고와 오개념 드러내기
-평가 설계자처럼 생각하기
2. 블룸의 ‘이해’와 어떻게 다른가?
3. 백워드 설계 템플릿은 여러 버전이 있나?
4. 백워드 설계는 교과서 단원을 중심으로 설계하나?
5. 프로젝트 수업과 어떻게 다른가?
6. 거꾸로 수업과 어떻게 다른가?


2부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하기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흐름



1장 바람직한 학습결과 어떻게 확인할 것인가?
1. ‘교육과정 풀기’ 어떻게 할 것인가?
-‘내용 체계’ 확인하기
-성취기준 분석하기
-교육과정 자료 살펴보기
2. 중요한 교육내용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지식 추출하기
-일반화된 지식 추출하기
-핵심기능 추출하기
3. 핵심질문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역량은 어떻게 찾을 것인가?
#1단계 템플릿 완성
#백워드 설계 1단계 Q&A
2장 다양한 이해의 증거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1. 수행(평가)과제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수행(평가)과제 요소(GRASPS) 활용하기
-채점기준 작성하기
2. 그 외의 평가 방법과 자기평가 및 반성을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2단계 템플릿 완성
#백워드 설계 2단계 Q&A
3장 학습활동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1. 학습활동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이해의 6가지 측면 활용하기
-핵심질문 활용하기
2. 학습활동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WHERETO 요소 활용하기
3. 학생맞춤형 수업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준비도에 따른 맞춤형 수업 전략
-관심사 및 흥미에 따른 맞춤형 수업 전략

-학습프로파일에 따른 맞춤형 수업 전략
-복합적인 맞춤형 수업 전략
#3단계 템플릿 완성
#백워드 설계 3단계 Q&A
#이해를 위한 수업 효과 이야기


3부 시가 피어나는 교실 이야기


1장 국어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설계할까?
-시가 피어나는 교실
-가족과 함께하는 연두마을 동시 콘서트
-수다쟁이 꼬마 시인들의 시끌벅적 동시랜드
-설계안 1
-설계안 2
2장 국어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실천하는가?
1. 연두마을 동시 콘서트 이야기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공부할까?
-이해했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 사고하고 탐구할 것인가?
-자연은 어떻게 탐색할까?
-가족은 어떻게 탐색할까?
-동시와 어떻게 친해질까?
-동시 콘서트는 어떻게 준비할까?
-가족과 함께하는 동시 콘서트
-어떻게 달라졌는가?
2. 꼬마 시인들의 동시랜드 이야기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공부할까?
-이해했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시가 재미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재미있는 시는 어떻게 쓸까?
-시를 주어진 공간에 어떻게 전시할까?
-어떻게 달라졌는가?
3. 시가 피어나는 교실 프로젝트를 마치고


4부 자연이 들려주는 ‘생명’ 이야기


1장 과학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 수업에 대한 부담과 고민
-‘생명’ 단원을 개발하고 실행하게 된 이야기
-‘생명’ 단원의 이해중심 수업 설계
-설계안 1
-설계안 2
2장 과학과 이해를 위한 수업 어떻게 실천하는가?
1. 과학 수업 이야기
-이 단원을 어떻게 시작할까?
-기초탐구보고서는 어떻게 쓸까?
-우리 주변의 동물은 어떻게 조사할까?
-동물은 어떻게 분류할까?
-땅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물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하늘을 나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특이한 환경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살아갈까?
-동물원의 동물은 행복할까?
-행복한 동물원은 어떻게 설계할까?
-이 단원을 배우고 성찰은 어떻게 할까?
2. 도덕 수업 이야기
-생물은 사람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생명은 어떻게 대해야 할까?
-생명신문은 어떻게 만들까?
3. 국어 수업 이야기
-책은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할까?
-부탁하는 글은 어떻게 쓸까?
4. ‘동물원을 부탁해’를 실행하고
-과학 전담 교사 이야기
-도덕 전담 교사 이야기
-3학년 담임교사 이야기
참고 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