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목간학회가 출간한 한국목간학회 총서 28번째 책이다. 현직에서 목간을 연구하는 연구원과 교수들의 목간연구 논문들이 수록되었다. 목간으로 동아시아세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목간들에 대한 연구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출판사 리뷰
한국목간학회가 출간한 한국목간학회 총서 28번째 책이다. 현직에서 목간을 연구하는 연구원과 교수들의 목간연구 논문들이 수록되었다. 목간으로 동아시아세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목간들에 대한 연구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번호 특집은 ‘고대 목간의 명칭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주제로 〈한반도 발견 목간의 형태 용어 검토〉 이재환(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20세기 이래의 秦漢 관문서 간독 형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李迎春(西北師範大學 簡牘硏究院 교수), 〈일본 고대목간의 형식 분류와 기능적 분류〉 三上 喜孝(日本 立史民俗博物館 敎授) 글을, 논문으로는 〈변한·가야의 문자 관련 고고 자료와 그 의의〉 김도영(日本 立史民俗博物館 敎授), 〈고구려 卷雲紋 명문 와당 연구〉 고광의(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사비시대 백제의 자연촌〉 김수태(충남대학교 명예교수), 〈삼국시대 신라의 압량군 경영과 군현지배 -소월리 목간과 경산 임당동 고비를 중심으로-〉 이용현(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경산 소월리 목간의 성격에 대한 기초적 검토 -신라 촌락문서와의 비교 및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하시모토 시게루(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의 글을, ‘문자자료 및 금석문 다시 읽기’로는 〈「王溫 墓誌銘」 교감과 역주〉 나유정(한국외대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평양 정백동·정오동 출토 낙랑 문자자료〉 오택현(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국사학과 강사)의 글을, ‘신출토 문자 자료’로는 〈파주 紺岳山 古碑에 남은 銘文〉 박홍국(위덕대학교 연구교수)의 글을 소개하는 등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목간연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 저자 소개
<집필순>
이재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李迎春 (西北師範大學 簡牘硏究院 교수)
三上 喜孝 (日本 立史民俗博物館 敎授)
김도영 (日本 立史民俗博物館 敎授)
고광의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김수태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이용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하시모토 시게루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나유정 (한국외대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오택현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국사학과 강사)
박홍국 (위덕대학교 연구교수)
작가 소개
지은이 : 한국목간학회
<집필순>李成市 (日本 早?田大? 교수)寧鎭疆 (中國 上海大?文?院 ?授)陳侃理 (中國 北京大學 中?古代史?究中心 ?授)戴衛紅 (中國社會科學院 古代史?究所 硏究員)하시모토 시게루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채미하 (경희사이버대학교 시간강사)김대영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이병호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조교수)방국화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 연구교수)김도영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최연식 (동국대학교(서울) 사학과 교수)拜根? (陝西師範大學 歷史文化學院 敎授)三上 喜孝 (日本 ?立?史民俗博物館 교수)
목차
특집 고대 목간의 명칭에 대한 종합적 검토
한반도 발견 목간의 형태 용어 검토 / 이재환
20세기 이래의 秦漢 관문서 간독 형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 李迎春
일본 고대목간의 형식 분류와 기능적 분류 / 三上 喜孝
논문
변한·가야의 문자 관련 고고 자료와 그 의의 / 김도영
고구려 卷雲紋 명문 와당 연구 / 고광의
사비시대 백제의 자연촌 / 김수태
삼국시대 신라의 압량군 경영과 군현지배 -소월리 목간과 경산 임당동 고비를 중심으로- / 이용현
경산 소월리 목간의 성격에 대한 기초적 검토 -신라 촌락문서와의 비교 및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 하시모토 시게루
문자자료 및 금석문 다시 읽기
「王溫 墓誌銘」 교감과 역주 / 나유정
평양 정백동·정오동 출토 낙랑 문자자료 / 오택현
신출토 문자 자료
파주 紺岳山 古碑에 남은 銘文 / 박홍국
휘보
학술대회, 자료교환
부록
학회 회칙, 간행예규, 연구윤리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