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온정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미국 The University of Iowa(교육과정 전공) 박사(Ph,D.)『이해중심 교육과정』, 『역량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교실 속 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성취기준의 이해』 공저 『맞춤형 수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Ⅱ』,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 『생각하는 교실을 위한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수업』 공역
지은이 : 정제영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 소장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부가 지정한 미래교육연구소장과 창의교육거점센터장을 맡고 있다. 이화여대에서 기획처장, AI융합교육연구지원센터장, 호크마교양대학장, THE인재평가지원실장, 기획처부처장, 교육학과장과 도덕윤리연계전공 주임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 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 예방 정책, 학업중단 위기 학생에 대한 정책, 교원의 역량 개발과 학교교육의 개선 정책 등의 영역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시스템 개발 연구,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하고 개입하는 Early Warning System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AI 교육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AI융합교육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론》,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한국의 교사교육》,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의 시대》, 《교육과 행정》,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괴롭힘 예방》, 《교육행정학 핸드북》, 《사교육 : 현상과 대응》, 《한국교육 60년》 등이 있다. 제44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교육부에서 10여 년간 근무하여 사무관과 서기관으로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두루 경험한 바 있다. 교육정책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9월 학기제 도입 등 학제개편 정책, 외고 등 특목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정책’ 등을 담당하여 추진한 바 있다.
지은이 : 박기현
테크빌교육(주) 에듀테크부문 대표 #에듀테크 요소 간 관계와 AI 디지털 교과서
지은이 : 송석리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공교육(public education)을 찾기 위해 항해하는 해적왕이 될 선생님입니다. 선린인터넷고, 한성과학고에서 근무했고 현재는 서울고등학교에서 데이터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을 위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 수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이 : 조기성
계성초등학교 교사 #디지털 교육 환경구축
지은이 : 정훈
러닝스파크(주)대표AskEdTech.com #Bett Show
지은이 : 김수환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 #디지털 교육 내용, 디지털 리터러시
지은이 :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저서: 『소프트웨어 교육론』(공저), 『AI 교육혁명』(공저), 『디지털 교육 트렌드 2024』(공저) 등
지은이 : 송은정
동국대학교 AI융합교육전공 교수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
지은이 : 조용상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 #데이터 표준
지은이 : 이동국
충북청운중학교 교사 #학교 공간 확장
지은이 : 이은상
서울성동광진교육지원청 장학사 #새로운 교사상 학교상
지은이 : 김지혜
테크빌교육(주)티처빌플랫폼사업부문 대표 #ISTE
추천사
발행인의 글 디지털 교육혁신 원년에 부쳐 __ 이형세
머리말 교육의 본질을 흔들림 없이 가리키는 디지털 교육 나침반을 찾는 분들께 __ 김수환
Part 1.
디지털 교육의 기본, 에듀테크 중점 요소 간 관계와 구조 : AI 디지털 교과서 살펴보기
__ 박기현 (테크빌교육(주) 에듀테크부문 대표)
Part 2.
한국 디지털 교육 트렌드 3대 주제, 10대 키워드
[주제 1] 교육을 어디에 도달시킬 것인가 : 교육 디지털화의 지향점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디지털 교육
__ 온정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개인별 맞춤형 교육
개인별 맞춤형 교육의 두 가지 필수 요소 : 인공지능과 학습 데이터
__ 정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데이터 표준
개인 맞춤형 교육의 필요조건 : 데이터 표준
__ 조용상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
[주제 2]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디지털 교육의 내용과 방법
#디지털 교육 내용
디지털 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__ 김수환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
#SW·AI 교육
SW·AI 교육, 교육 현장 핵심이슈 4
__ 송석리 (서울고등학교 교사)
#디지털 교육 방법
디지털 교육,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__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
생성형 AI로 시작된 교육의 변화와 혁신 : 챗GPT를 중심으로
__ 송은정 (동국대학교 AI융합교육전공 교수)
[주제 3] 어떤 학교에서 가르칠 것인가 : 에듀테크 기반 교육 환경 구축
#교육환경 구축
디지털 학교, 디지털 교실의 환경 구축 : 클라우드부터 디바이스까지
__ 조기성 (계성초등학교 교사)
#학교 공간 확장
확장되는 학교 공간 : 메타버스와 지능형 교실을 중심으로
__ 이동국 (충북청운중학교 교사)
#새로운 교사상 학교상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학교 그리고 교사
__ 이은상 (서울성동광진교육지원청 장학사)
Part 3.
해외 에듀테크 박람회로 보는 한국 디지털 교육 시사점
해외 에듀테크 박람회를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
__ 김지혜 (테크빌교육(주) 티처빌플랫폼사업부문 대표)
ISTE(2022)의 한국 디지털 교육 시사점
__ 김지혜 (테크빌교육(주) 티처빌플랫폼사업부문 대표)
Bett show(2023)의 한국 디지털 교육 시사점
__ 정훈 (러닝스파크(주) 대표)
Part 4.
지역교육 디지털 전환 로드맵 Q&A
: 지역 교육감 5인 5색 인터뷰
서울특별시교육청 조희연 교육감
대구광역시교육청 강은희 교육감
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교육감
경상남도교육청 박종훈 교육감
전라남도교육청 김대중 교육감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