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개정증보판) 이미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개정증보판)
웅진지식하우스 | 부모님 | 2013.03.22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0,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035P (5% 적립)
  • 상세정보
  • 16.5x24 | 0.600Kg | 500p
  • ISBN
  • 978890115419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한국 현대사 최고 권위자 서중석 교수가 집필한
가장 객관적이고 신뢰받는 현대사 개설서


한국 현대사 분야 최초의 박사학위 수여자이자, 관련 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룬 성균관대학교 서중석 교수가 집필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는 2005년 출간되어 ‘시민을 위한 최고의 현대사 개설서’로 독자들에게 올바른 역사 읽기의 방향을 제시하며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이번에 8년 만에 선보인 개정증보판에서는 2000년 6·15남북정상회담 이후부터 최근 18대 대통령 선거와 박근혜 정부 출범까지의 내용을 추가했다. 그리고 친일파 문제, 이승만과 건국절 문제, 유신체제의 성격과 말로 및 경제발전과의 관계, 제헌헌법의 탄생과 수난의 헌법 변천사 등 바로 알아야 할 현대사의 쟁점들을 새롭게 서술하는 데 힘을 쏟았다. 또한 우리 현대사 마디마디의 결정적이고 중요한 장면을 사진과 그림, 지도, 인포그래픽 등 생생한 시각 자료와 함께 구성해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역사 읽기를 시도한다.

  출판사 리뷰

'현대사 바로 알기의 첫걸음'
균형 잡힌 시각과 쉬운 해설, 풍부한 시각 자료로
다큐를 보듯 생생하게 읽는 현대사의 참모습

독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현대사 책,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8년 만에 개정증보판 출간!


한국 현대사 분야 최초의 박사학위 수여자이자, 관련 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온 성균관대 서중석 교수가 집필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의 개정증보판이 출간된다. 이 책은 2005년 출간되어 \'시민을 위한 최고의 현대사 개설서\'라는 호평을 받으며 지금까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해방 이후 반세기 동안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해서 나아가는 과정을 살피면서, 정치사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도 경제, 교육, 문화 등의 각 분야를 종합적으로 아우르고자 했다. 또한 반공, 냉전 이데올로기에 짓눌린 역사를 바로잡으려는 일관된 시각으로 사실을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좌우의 대결, 중도파의 활동을 고르게 반영하고, 민주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의 역동적인 힘을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기존의 책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고, 2000년 6ㆍ15남북정상회담 이후부터 최근 18대 대통령 선거와 박근혜 정부 출범까지의 내용을 추가했다. 그리고 친일파 문제, 단정운동과 \'건국\', 건국절 문제, 유신체제의 성립과 성격, 말로 및 유신체제와 경제와의 관계 등 바로 알아야 할 현대사의 쟁점들을 새롭게 서술하는 데 힘을 쏟았다. 또한 각 장의 끝에 특집 원고를 통해 깊이 있게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500여 컷의 사진 자료와 그림, 지도, 인포그래픽 등을 통해 다양한 역사 읽기를 시도했다.
현대사는 \'지금 이곳\'의 역사이자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역사다. 이 책을 통해 올바른 역사관으로 현대사 바로 알기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저자 : 서중석
서중석은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사 관련 저술활동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그는 1948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79년부터 1988년까지 동아일보사 기자로 재직했으며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역사비평」편집주간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교수 활동과 동시에 역사문제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80년대 민중의 삶과 투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1 ·2』, 『조봉암과 1950년대 상 ·하』,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시민을 위한 한국역사』,『한국현대사 60년』, 『이승만과 제1공화국』 등이 있다.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 왜 지금 현대사인가
초판 추천사 : 시민을 위한 최고의 현대사 개설서
초판 서문 : 역사 바로 알기의 계기가 되기를

1. 통일민족국가 건설을 위하여(1945~1948)
101 꿈같이 찾아온 해방을 맞아
102 깊어지는 좌우 대립과 갈등
103 반탁의 소용돌이 속에서
104 좌우합작을 추진하다
105 멀고도 험한 남북협상의 길
106 새 세상 건설의 노력

(史+)
친일 문화인들의 해방맞이 표정 - 채만식과 이광수
해방 직후 첫 여론조사 - 반다시 우리를 지도하야 줄 인물은?
미소공위와 임시정부 수립 - 반탁의 소용돌이 속에 숨은 미·소의 암투
우익의 거두, 김규식 - “나무 위에 올려놓고 흔들지 마시오”
단선 반대와 김구 - “38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월북 예술인의 비애 - 잊힌 천재 작곡가 김순남

2. 분단정부 수립과 전쟁의 참화(1948~1959)
201 민주주의 헌법의 탄생
202 김구, 암살당하다
203 민족의 비극 한국전쟁
204 전쟁의 와중에도 권력 쟁탈전이
205 역풍의 정치가 조봉암

(史+)
대한민국의 탄생 - 광복절인가 건국절인가
유권자 의식 보여준 5·30선거 - 통일세력과 분단세력의 대결
한국전쟁과 평화운동 - 살벌한 전쟁터의 평화운동가, 최능진
개헌의 역사 - 수난의 헌법 변천사
이승만 vs 조봉암 - 북진통일론과 평화통일론

3. 새로운 사회의 출현(1945~1959)
301 한글세대의 대거 등장
302 폐허 위에 경제 건설이
303 변화하는 여성
304 노동자는 굶주리고, 노조 간부는 마카오 양복 걸치고
305 전쟁 속에 꽃핀 휴머니즘

(史+)
국대안 파동 - 국립대학 설립을 반대합니다?
미국 원조의 속셈 - 원조는 공짜가 아니다
바야흐로 나일론 시대 - 새로운 유행, 새로운 패션
정치깡패의 등장 - 주먹들의 전성시대
독립운동가와 친일파 세상 - 독립운동 하면 3대가 망한다는데...
좌절과 퇴폐의 문화 - ‘흥겨운 절망’ 기타부기

4.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1960~1961)
401 ‘피의 화요일’에서 ‘승리의 화요일’로
402 허정 과도정부와 내각책임제 개헌
403 경제 제일주의 내세운 장면 정권
404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史+)
4월혁명의 주인공들 - “썩어빠진 어제와 결별하자”
정치인의 억울한 죽음과 집단 학살 사건 - 의혹사건 진실 밝히기
장면 내각 평가 - 4월혁명기는 혼란기였나
혁신세력의 계보 - 다양한 정치세력의 탄생

5. ‘근대화’와 정보·철권 정치 18년(1961~1979)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503 영구 집권을 향해
504 초강권체제의 등장과 민주세력의 저항
505 총성에 무너진 유신독재

(史+)
대한민국 국군의 탄생 - 국군의 뿌리는 어디에 있는가
한일회담의 이면 - ‘독도밀약은 유령문서로 원천 무효’
김대중·김영삼 시대 개막 - 보수 야당의 세대교체론, 40대 기수론
국가보안법과 일상생활 - 막걸리반공법, 막걸리보안법
김대중 납치사건 - 최대 정적을 제거하라!
박정희 체제의 통치방식 - 정보·공작 정치의 최고봉

6. 경제 발전의 빛과 어둠(1960~1979)
601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602 흔들리는 성장제일주의
603 극단적인 반공·국가주의 교육
604 대중문화 없는 대중사회

(史+)
지역불균형 발전을 초래한 경부고속도로 건설 - ‘단군 이래 최대의 토목공사’
대학생과 지식인의 양심을 강타한 전태일 -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김지하와 「오적」- 칼보다 강한 붓
유신체제와 가요 대학살 - 피지도 못하고 된서리 맞은 청년문화

7. 민주주의를 위하여, 통일을 위하여(1979~)
701 현대사의 새 이정표, 광주항쟁
702 신군부와 민주화 세력의 격돌
703 민주주의의 위대한 승리, 6월항쟁
704 전진하는 민주주의
705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향해

(史+)
5월의 광주 - 한 특전사 병사가 겪은 광주
보도지침 - 신군부의 언론 길들이기
삼청교육대 - 군홧발에 짓밟힌 인권
광주 청문회 스타 등장 - 청문회 시대 막을 연 광주?5공비리 특위
21세기 한반도 미래 - 평화와 긴장이 교차한 남북관계

글을 마치며 : 미래를 여는 역동적 참여
찾아보기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