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수많은 사회문제의 복합적인 구조와 전문가들이 분석한 통계, 끊임없이 쏟아지는 보도자료를 꼼꼼히 읽어내며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책을 따라가다 보면 그동안 모호했던 생각들이 점차 명확해지는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복잡한 고리들을 하나씩 쉽게 풀어가는 서술을 통해, 우리는 한국 사회를 새롭게 이해하고, 우리가 어디에 서 있으며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 명확한 방향을 발견하게 된다. 복잡한 사회를 더 쉽게, 쉽지만 깊이 있게 이해하는 길이다.
사회 변화를 이끄는 일은 관계자들만의 몫이 아니다.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과 태도가 바뀔 때 비로소 변화의 가능성도 열린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자신만의 진단을 더해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출판사 리뷰
정치적 혼란, 불평등, 인구구조 변화, 환경 위기, 혐오와 분열, 삶의 질 저하…
대한민국을 뒤흔들어 놓은 사회변동
오늘날 우리 사회를 진단한다면?
최근 뉴스를 시청했을 때, 당신 앞에서 누군가 어려워하는 모습을 봤을 때, 실패와 압박을 느꼈을 때, 우리는 이런 일들을 단편적인 현상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 뒤이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라는 질문이 떠오를 수 있다. 하지만 질문으로만 끝난다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고통만 쌓일 뿐이다.
오늘날 우리가 현실에서 마주하는 현상들은 사실 복잡한 사회문제다. 그 이면에는 얽히고설킨 원인과 결과, 과거와 미래를 잇는 복잡한 구조가 숨어 있다.
이 책은 수많은 사회문제의 복합적인 구조와 전문가들이 분석한 통계, 끊임없이 쏟아지는 보도자료를 꼼꼼히 읽어내며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책을 따라가다 보면 그동안 모호했던 생각들이 점차 명확해지는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복잡한 고리들을 하나씩 쉽게 풀어가는 서술을 통해, 우리는 한국 사회를 새롭게 이해하고, 우리가 어디에 서 있으며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 명확한 방향을 발견하게 된다. 복잡한 사회를 더 쉽게, 쉽지만 깊이 있게 이해하는 길이다.
사회 변화를 이끄는 일은 관계자들만의 몫이 아니다.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과 태도가 바뀔 때 비로소 변화의 가능성도 열린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자신만의 진단을 더해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기에 공감하지만 막상 어렵게 느껴진다면, 이 책으로 시작해 보자.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필요한 힘과 지혜를 키워, 혼란과 불확실성 속에서 민주시민으로서 첫걸음을 내딛는 길이 될 것이다.

최근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갈등 사례를 보면, 각 집단이 자기 입장을 고수하면서 타협을 거부하고, 오히려 강경한 주장이 받아들여지는 방식이 반복된다. 이로 인해 ‘목소리 큰 쪽이 이긴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공익은 뒷전으로 밀리고 힘의 대결과 여론전에 의존하는 왜곡된 의사결정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
— <1장 집단 이기주의와 그 폐해> 중에서
오늘날 포퓰리즘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시민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포퓰리즘은 단지 정치 지도자들의 문제만이 아니라, 시민 개개인의 정치적 태도와 참여 방식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민주주의를 지키려면 시민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 <2장 포퓰리즘의 확산과 민주주의 위기> 중에서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 문제는 그대로 방치할 경우 국민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계층 간 위화감을 조장하여 정치적 불안과 사회적 갈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 <3장 소득과 자산의 양극>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모경환
버클리대학교에서 청소년 시민교육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센터장과 한국사회과교육학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사회 교수방법론》(2025), 《사회과 교육론》(2024), 《다문화교육론》(2021), 《청소년문제와 보호》(2020) 등이 있다.
지은이 : 은지용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사회과교육학회 교육과정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사회 교수방법론》(2025),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론과 실제》(2021), 《민주시민교육의 이해와 적용》(2020) 등이 있다.
지은이 : 황미영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사회과 교육, 시민교육, 청소년 교육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부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
1장 집단 이기주의와 그 폐해
2장 포퓰리즘의 확산과 민주주의 위기
3장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
4장 성 불평등 문제
2부 건강과 삶의 질
5장 건강 격차와 삶의 질 저하
6장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
7장 기후 위기와 환경문제
3부 사회변동에 따른 위기와 도전
8장 저출산과 고령화의 도전과 미래
9장 이방인 혐오와 다문화 사회의 위기
10장 디지털 사회의 명과 암
인용 자료 출처
삽화와 이미지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