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제프 핸델
워싱턴대학교 아시아어문학과 교수.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중국어학 전공 박사 졸업(1998)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동아시아어학 전공 석사 졸업(1992)하버드대학교 수학 전공 학사 졸업(1988)저서: Old Chinese Medials and Their Sino-Tibetan Origins: A Comparative Study(2009), Sinography: The borrowing and adaptation of the Chinese script(2019), Chinese Characters across Asia: How the Chinese Script Came to Write Japanese, Korean, and Vietnamese(2025)
제1장 개관
1.1. 범위 및 목적
1.2. 문자의 정의 및 문자 체계의 유형 분류
1.3. 한문, 한자권, 중국 외 한자어 및 한자음
1.4. 한자의 자형(字形)
1.5. 변용의 기본적 기법(technique)
1.6. 언어 계통과 언어 유형
1.7. 선행 연구
1.8. 본 연구의 계획
1.9. 표기 규약
제2장 중국 문자
2.1. 중국어 역사 언어 유형론
2.2. 중국 문자 체계의 발달
2.3. 주류 문자 체계의 안정성
2.4. 중고 중국어와 중국 밖 한자음
2.5. 구어 및 방언 표기를 위한 중국 문자 체계의 지속적인 발전
2.6. 요약 및 문자 차용에 대한 함의
제3장 한국
3.1. 한국의 한자 도입 및 관련 역사
3.2. 한국어의 역사와 유형론적 특징
3.3. 한국한자어와 한자음
3.4. 글로싱 전통과 자언어 표기의 발달
3.5. 자언어 표기의 구조와 기능
3.6. 한자 사용 방식의 분류
3.7. 이후의 문자 발달
3.8. 분석
3.9. 제3장에 대한 부록
제4장 베트남
4.1. 베트남의 한자 도입과 관련 역사
4.2. 베트남어의 역사 언어 유형론
4.3. 베트남 한자어와 한자음
4.4. 글로싱 전통과 자언어 표기의 발달
4.5. 쯔놈의 구조와 기능
4.6. 베트남 한자: 사용 방식에 따른 분류
4.7. 후대의 문자 발전
4.8. 분석
제5장 일본
5.1. 한자의 일본 전래와 관련 역사
5.2. 일본어 역사 언어 유형론
5.3. 일본 한자어와 한자음
5.4. 자언어 표기의 발달과 글로싱 전통
5.5. 자언어 표기의 구조와 기능
5.6. 일본의 한자 사용: 방법의 분류
5.7. 이후의 문자 발달
5.8. 분석
5.9. 제5장에 대한 부록
제6장 비교 분석
6.1. 잠정적 결론
6.2. 예측
제7장 기타: 좡, 거란, 여진
7.1. 좡어
7.2. 좡족의 한자 도입과 관련된 역사
7.3. 좡어 언어 유형론
7.4. 좡 한자어와 한자음
7.5. 글로싱 전통과 자언어 표기의 발전
7.6. 좡어의 한자 표기: 방법에 따른 분류
7.7. 지역적 변이 패턴의 중요성
7.8. 고립어 모형에 대한 분석과 그 함의
7.9. 거란 문자와 여진 문자
7.10. 거란어와 여진어의 언어 유형론
7.11. 거란 문자와 여진 문자의 역사
7.12. 문자의 구조와 기능: 변용과 개신의 방법
7.13. 교착어 모형에 대한 분석과 함의
7.14. 결론: 모형의 수정
제8장 한자권을 넘어서: 수메르와 아카드
8.1. 수메르문자와 아카드문자: 한자 표기와의 불완전한 평행성
8.2.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유형론
8.3. 수메르 설형문자
8.4. 아카드 설형문자
8.5. 분석
8.6. 요약 및 결론
제9장 결론: 문자 변용, 언어 유형론, 인지적 보편성
부록: 영어 한자 차자표기 활동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