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동아시아의 한자  이미지

동아시아의 한자
중국 문자의 차용과 변용
역락 | 부모님 | 2025.06.30
  • 판매가
  • 50,000원
  • S포인트
  • 1,500P (3% 적립)
  • 상세정보
  • 15.3x22.5 | 0.778Kg | 556p
  • ISBN
  • 979117396175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중국 주변국에서 한자를 차용하고 변용하여 중국어 외의 언어를 표기하는 방식이 각 언어의 유형론적 특징에 깊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담고 있다. 거시적 관점을 요구하는 이 작업은 한자권 전역의 한자 표기 방식에 깊은 지식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전부 9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장에서 논의에 필요한 기본 개념을 정리한 다음에 제2장에서 우선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징과 중국의 한자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제2장은 한자의 초기 역사와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는데, 이는 한자 그 자체에 대한 설명이면서 동시에 그다음에 논의할 주변국의 한자 차용과 변용을 설명하기 위한 준비적 성격을 띠고 있기도 하다.

제3, 4, 5장에서는 각각 한국, 베트남, 일본의 한자 차용과 변용에 대해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이 여세를 몰아 제7장에서는 좡 문자, 거란 문자, 여진 문자를 아울러 다루고,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수메르어와 아카드어를 표기했던 설형문자를 살펴보고 있다. 제9장은 결론이다.

각 장은 독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기본 개념을 논의하고 있는 제1장, 결론인 제9장, 그리고 본격적으로 비교 분석을 시도하고 있는 제6장을 제외하고는 각 장이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그 나라의 한자 도입과 관련 역사, 각 언어의 역사와 유형론적 특징을 다룬 뒤에, 이들 지역에서 중국 한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용되고 변용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초기 역사부터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제프 핸델
워싱턴대학교 아시아어문학과 교수.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중국어학 전공 박사 졸업(1998)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동아시아어학 전공 석사 졸업(1992)하버드대학교 수학 전공 학사 졸업(1988)저서: Old Chinese Medials and Their Sino-Tibetan Origins: A Comparative Study(2009), Sinography: The borrowing and adaptation of the Chinese script(2019), Chinese Characters across Asia: How the Chinese Script Came to Write Japanese, Korean, and Vietnamese(2025)

  목차

제1장 개관
1.1. 범위 및 목적
1.2. 문자의 정의 및 문자 체계의 유형 분류
1.3. 한문, 한자권, 중국 외 한자어 및 한자음
1.4. 한자의 자형(字形)
1.5. 변용의 기본적 기법(technique)
1.6. 언어 계통과 언어 유형
1.7. 선행 연구
1.8. 본 연구의 계획
1.9. 표기 규약

제2장 중국 문자
2.1. 중국어 역사 언어 유형론
2.2. 중국 문자 체계의 발달
2.3. 주류 문자 체계의 안정성
2.4. 중고 중국어와 중국 밖 한자음
2.5. 구어 및 방언 표기를 위한 중국 문자 체계의 지속적인 발전
2.6. 요약 및 문자 차용에 대한 함의

제3장 한국
3.1. 한국의 한자 도입 및 관련 역사
3.2. 한국어의 역사와 유형론적 특징
3.3. 한국한자어와 한자음
3.4. 글로싱 전통과 자언어 표기의 발달
3.5. 자언어 표기의 구조와 기능
3.6. 한자 사용 방식의 분류
3.7. 이후의 문자 발달
3.8. 분석
3.9. 제3장에 대한 부록

제4장 베트남
4.1. 베트남의 한자 도입과 관련 역사
4.2. 베트남어의 역사 언어 유형론
4.3. 베트남 한자어와 한자음
4.4. 글로싱 전통과 자언어 표기의 발달
4.5. 쯔놈의 구조와 기능
4.6. 베트남 한자: 사용 방식에 따른 분류
4.7. 후대의 문자 발전
4.8. 분석

제5장 일본
5.1. 한자의 일본 전래와 관련 역사
5.2. 일본어 역사 언어 유형론
5.3. 일본 한자어와 한자음
5.4. 자언어 표기의 발달과 글로싱 전통
5.5. 자언어 표기의 구조와 기능
5.6. 일본의 한자 사용: 방법의 분류
5.7. 이후의 문자 발달
5.8. 분석
5.9. 제5장에 대한 부록

제6장 비교 분석
6.1. 잠정적 결론
6.2. 예측

제7장 기타: 좡, 거란, 여진
7.1. 좡어
7.2. 좡족의 한자 도입과 관련된 역사
7.3. 좡어 언어 유형론
7.4. 좡 한자어와 한자음
7.5. 글로싱 전통과 자언어 표기의 발전
7.6. 좡어의 한자 표기: 방법에 따른 분류
7.7. 지역적 변이 패턴의 중요성
7.8. 고립어 모형에 대한 분석과 그 함의
7.9. 거란 문자와 여진 문자
7.10. 거란어와 여진어의 언어 유형론
7.11. 거란 문자와 여진 문자의 역사
7.12. 문자의 구조와 기능: 변용과 개신의 방법
7.13. 교착어 모형에 대한 분석과 함의
7.14. 결론: 모형의 수정

제8장 한자권을 넘어서: 수메르와 아카드
8.1. 수메르문자와 아카드문자: 한자 표기와의 불완전한 평행성
8.2.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유형론
8.3. 수메르 설형문자
8.4. 아카드 설형문자
8.5. 분석
8.6. 요약 및 결론

제9장 결론: 문자 변용, 언어 유형론, 인지적 보편성

부록: 영어 한자 차자표기 활동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