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일본의 저명한 한류 연구자 마스부치 토시유키와 오카다 사치노부는 한류 현상을 심층 분석한 책, 《한류, 세계인을 사로잡다 : K-콘텐츠의 성공 전략》을 통해 한국 콘텐츠의 성공 비결을 새롭게 조명한다.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일본 학자의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한류를 바라본다는 점이다. 마스부치 교수와 오카다 사치노부는 한국의 문화산업을 현지 조사와 글로벌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한류가 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는지에 대해 객관적인 시선으로 치밀하게 분석한다.
출판사 리뷰
"세계를 사로잡은 K-콘텐츠, 그 놀라운 성공 이야기"
_우리가 궁금했던, 그러나 미처 알지 못한 한류의 성공 비결!
_객관적인 시선으로 한류의 성공 전략을 이해하고, 그 매력의 핵심을 파헤쳐보자!2020년, 전 세계가 팬데믹으로 일상 생활이 멈춘 시점에 넷플릭스를 통한 한류 드라마들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쓰>, <오징어 게임>이 있었다. 이 드라마들은 각 나라의 다양한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서, 글로벌 시청자들로부터 뜨거운 사랑을 받으며 한국 대중문화의 힘을 증명했다. 특히 <오징어 게임>은 전 세계 90개국에서 1위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리즈 중 하나로 자리잡았고, 경제적.문화적 영향력을 극대화시켰다. 또한, K-팝은 이미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 같은 그룹을 통해 북미와 유럽 시장까지 석권하며 음악 산업에서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으며, 이는 한류 콘텐츠의 세계적인 인기를 더욱 가속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한류의 세계적 성공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한국 문화와 창의력이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현상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류 콘텐츠가 가져온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 글로벌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판도를 재편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시청을 넘어 팬덤 문화, 크로스미디어 전략 등을 통해 경제적,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일본의 저명한 한류 연구자 마스부치 토시유키와 오카다 사치노부는 한류 현상을 심층 분석한 책, 《한류, 세계인을 사로잡다: K-콘텐츠의 성공 전략》을 통해 한국 콘텐츠의 성공 비결을 새롭게 조명한다.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일본 학자의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한류를 바라본다는 점이다. 마스부치 교수와 오카다 사치노부는 한국의 문화산업을 현지 조사와 글로벌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한류가 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는지에 대해 객관적인 시선으로 치밀하게 분석한다.
‘한류는 어떻게 세계의 중심에 자리잡은 것일까?’ 모두가 궁금했던 물음에 대해, 이 책이 신선하고 날카로운 통찰을 제시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출판사 서평최근의 K-콘텐츠 열풍은 단순히 한국 문화가 유행하는 수준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문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문화 분석을 넘어, 한국이 어떻게 문화강국으로 도약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전 세계에서 한류가 강력한 팬덤을 형성한 이유와 그 속에 숨겨진 전략을 알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필독서가 될 것이다. 한류의 매력을 학문적으로 이해하고 싶거나, 그 실무적 측면에서의 성공 전략을 배우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마스부치 토시유키
일본 호세이대학 대학원 정책창조연구과 교수.1957년 삿포로 출생. 도쿄대학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전공은 문화지리학이다. 콘텐츠투어리즘학회장, 문화경제학회 <일본> 특별이사 등을 역임했다. 이와테시 문화대사, 오다와라시 정책전략 자문 등으로 지역협력 사업에 다방면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은이 : 오카다 사치노부
니혼TV 프로듀서.1966년 도쿄 출생. 와세다대학 졸업 후 출판, 신문, 방송, 배급 등 미디어 분야의 다양한 경력을 쌓아가고 있다. 현재 콘텐츠 투어리즘, 지역재생, 미디어 문화론 등의 연구를 진행 중이다.
목차
옮긴이의 글
들어가며
제1장 일본 드라마는 왜 한류에 뒤처지는가?
1. 히트 작품이 계속 만들어지는 한류 드라마
모든 것은 <겨울연가>에서 시작되었다
일본 아웃바운드 관광의 급증
한류 열풍을 떠받치는 K-POP의 등장
국가적 전략으로 제2차 한류 붐을 일으키다
제3차 한류 붐으로 이어진 한국 화장품과 식품의 인기
2. 제4차 한류 붐
팬데믹의 영향으로 다시 붐이 일고 있다
드라마와 K-POP의 크로스미디어화: 한류가 국가브랜드로
3. 한류 드라마의 글로벌 시장 인지도 확대
<오징어 게임>의 세계적인 성공
팬데믹, 신자유주의, 인터넷의 발전
4. 넷플릭스를 겨냥한 적극적인 콘텐츠 공급
높아진 넷플릭스 의존도와 지적재산권 확보 문제
넷플릭스 아시아 최초 진출국 일본, 지위 회복이 가능할까?
크로스미디어 전략을 토대로 해외로 진출하는 한국
5. 성공적인 제작사들의 등장
한국의 대표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삼성’과 같은 뿌리를 갖고 있는 CJ ENM
새로운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 제작업계
6. 독자적인 플랫폼 구축
공공-민간 모두 콘텐츠 비즈니스에 적극적
OTT 자체 플랫폼의 검토
넷플릭스에서 얻은 노하우를 독자적인 플랫폼에 활용
7. 드라마 원작의 변화
웹툰의 드라마화
드라마와 NFT의 연동
제2장 콘텐츠대국을 목표로 하는 한국
1. 한국의 콘텐츠산업 정책의 현재
소프트파워에 바탕에 둔 문화콘텐츠 전략
일본 ‘쿨 재팬 정책’과의 차이점
2. IMF 위기를 계기로 한 전략 전환의 성공
외환위기가 국가적 전환의 계기가 되다
3. 정보도시-디지털미디어시티
정보미디어산업의 집적: 도시의 건설
미디어, IT기업 중심 자체 완결형 첨단 업무단지로 특화
4.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설립
한류 열풍을 이끄는 정부기관
일본이 참고해야 할 정부 주도의 원스톱 관리시스템
제3장 K-POP의 해외 전략
1. K-POP과 한류 드라마의 밀접한 관계
세계를 무대로 급성장하는 K-POP
기획사 주도의 자유로운 전략이 성공 요인
드라마 OST와 음악 구독서비스의 시너지 효과
2. 드라마보다 앞서가는 K-POP의 해외 전략
아시아시장을 이끌어가는 K-POP
<강남스타일>에서 시작된 북미시장에서의 성공
3. J-POP의 벤치마킹과 독자적인 전략의 수립
일본 스타일의 벤치마킹
독자적인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발전
4. K-POP을 성공으로 이끈 발전 과정
‘V Live’, ‘ARMY(아미)’를 통해 보는 독자적인 전략
일본과는 차별화된 한국 음악계의 고급화 전략
제4장 한국 드라마 ‘성지순례’의 활성화
1. 콘텐츠 투어리즘의 시작
콘텐츠 투어리즘이란?
음악과 드라마 중심 한국의 콘텐츠 투어리즘
2. 팬데믹 이후의 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증가가 예상되는 해외여행
팬데믹 이후 가고 싶은 나라: 한국의 높아진 존재감
3. 대표적인 촬영지 사례
<태양의 후예> / <사랑의 불시착> / <이태원 클라쓰> / <도깨비> / <나의 아저씨> / <동백꽃 필 무렵> / <봄밤> / <청춘기록> / <슬기로운 의사생활> / <빈센조> / <오징어 게임> / <그 해 우리는> / <스물다섯 스물하나>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4. 촬영지 관광을 통해 살펴보는 서울의 매력
한국 드라마의 성지를 찾아서
드라마/영화 촬영에 적합한 서울의 매력
제5장 한류 열풍을 이끄는 SNS와 동영상 공유사이트
1. 멘트가 없는 거리 걷기 동영상
‘서울 워커’의 인기
한국의 새로운 매력 발산 도구
2. 생활 동영상과 한류 채널
주한 일본인들의 콘텐츠 소개
한류 드라마 정보를 송출하는 미디어의 변화
3. 도쿄에 비해 뛰어난 서울의 이미지 형성
관광은 미디어가 만든 도시 이미지를 확인하는 작업
제약이 많은 일본에서의 촬영
국가지원으로 해외 촬영지로 인기있는 한국
4. 한국 콘텐츠산업의 새로운 발전
디지털 뉴딜 2.0
‘메타버스-콘텐츠-관광’의 삼위일체 전략
제6장 한국 드라마가 일본인을 사로잡는 이유
1. 변해가는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한류 열풍, 중장년층에서 젊은층, 그리고 다시 중장년층으로
상호이해의 도구로서의 콘텐츠
2. 일본 드라마에는 없는 것
일본보다 가족드라마의 인기가 높은 한국
한류 드라마로 보는 한국의 사회 양극화
드라마에 선명하게 반영된 학벌사회
드라마에서 사회정의를 추구
일본에는 없는 현실적인 군사드라마
3. 엔터테인먼트 속의 감동
이야기를 소비하는 시대
이야기가 만들어내는 감동의 공유
4. 지금, 일본은 한국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
OTT에 대한 국가적 지원 체계: 한국의 경우
5. 일본 드라마가 잊고 있던 디테일에 대한 고집
다양한 로케이션이 드라마의 치밀함을 만든다
카메오 출연이라는 팬서비스와 제작비 문제
6. 관광지로서 도시의 매력을 강조
일본의 필름커미션 문제
일본 영화 촬영지 관광의 현실
7. 일본 콘텐츠산업은 글로벌 시장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과거 작품의 아카이브화가 급선무
일본의 독창성을 어떻게 강조할 수 있느냐가 관건
제7장 일본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바라본 한국 드라마의 강점
1. 한류 5.0
2. 한류 드라마의 성장기
3. 일본에는 없는 다양한 드라마 장르
4. 드라마의 새로운 흐름
5.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의 탄생
6. 스튜디오드래곤의 빠른 발전
7. 중소 제작사가 만든 <오징어 게임>
8. 뛰어난 기획과 각본
9. ‘PD 주도 제작 스타일’의 기획 개발
참고: 스튜디오드래곤의 성과
10. 스튜디오N의 등장과 웹툰
참고: 웹툰 원작 드라마
11. 일본 창작자들이 나아갈 길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