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3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한자 최초의 시집 『시경』을 새로 읽어 나가는 젊은 한문학자 최다정의 산문집 『시가 된 미래에서』가 출간되었다. 첫 산문집 『한자 줍기』를 통해 한자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아름다움과 다정한 의미를 웅숭깊게 구사했던 작가는 이번 산문집을 통해 『시경』의 행간을 경유하며 자신만의 새로운 독법으로 『시경』의 광활하고 찬란한 시적 세계를 횡단한다.3천 년의 시간 동안 애독되어 온 『시경』의 시간을 넘나들며 지금 자신 앞에 놓여 있는 물음에 답을 하나씩 찾아가는 발자취의 산문들이다. 작가는 305편으로 구성된 『시경』의 주옥같은 작품 중 마흔 편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자기만의 시선과 태도를 새로이 입혀 나간다. 단순히 작품 감상에만 지나지 않고, 작품과 함께 품어왔던 삶에 대한 여러 궁리들이 지금의 호흡으로 갱신되어 미래를 그려보게 한다.
출판사 리뷰
3천 년의 시간을 품은 『시경』의 세계에서
사랑을 일구어 미래로 나아가기3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한자 최초의 시집 『시경』을 새로 읽어 나가는 젊은 한문학자 최다정의 산문집 『시가 된 미래에서』가 출간되었다. 첫 산문집 『한자 줍기』를 통해 한자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아름다움과 다정한 의미를 웅숭깊게 구사했던 작가는 이번 산문집을 통해 『시경』의 행간을 경유하며 자신만의 새로운 독법으로 『시경』의 광활하고 찬란한 시적 세계를 횡단한다. 3천 년의 시간 동안 애독되어 온 『시경』의 시간을 넘나들며 지금 자신 앞에 놓여 있는 물음에 답을 하나씩 찾아가는 발자취의 산문들이다. 작가는 305편으로 구성된 『시경』의 주옥같은 작품 중 마흔 편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자기만의 시선과 태도를 새로이 입혀 나간다. 단순히 작품 감상에만 지나지 않고, 작품과 함께 품어왔던 삶에 대한 여러 궁리들이 지금의 호흡으로 갱신되어 미래를 그려보게 한다.
그동안 국내에는 『시경』에 관한 주해서들은 여럿 있었지만, 우리 앞에 주어진 삶과 생활이라는 책무를 성실히 해나가는 젊은 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책은 드물었다. 시에 대한 순수하고 열렬한 마음으로 읽어낸 『시경』의 새로운 해석이 한자와 시를 사랑하는 한 사람의 삶과 만나 새로운 결실로 맺게 되는 여정이다. 이 정갈한 산문들 속에는 삶을 지탱해온 자연과 시, 사랑이라는 거대한 테마를 둘러싸고 『시경』 속 작품이 어떻게 남겨져 전해져 왔는지, 마침내 우리는 그 작품을 읽으며 어디로 나아갈 수 있는지 새로운 방향을 함께 가늠해볼 수 있게 된다. “내딛고 있는 곳이 어디든 둘의 포개진 걸음, 나란한 마음이라면 우리의 비애는 시가 될 수 있었다”라고 말하는 작가의 이야기처럼, 비애에 굴하지 않고 한 편의 시로 선연히 맺힐 미래를, 이 책을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우리의 비애는 시가 될 수 있었다”
젊은 한문학자 최다정이 건네는 찬란한 시경의 세계여기에 있다. 홀로 시간을 머금던 고서 속으로 들어가 책을 통하여 옛사람을 벗으로 삼는(尙友) 사람. 배운 것이 무젖을 때까지 가라앉은 그대로 오래 지켜보는(潛心) 끈기 있는 사람. 마주한 시간이 까마득해질 때마다 주워온 한자를 어루만지며 빛을 켜고 어둠을 걸어온 사람. 첫 산문집 『한자 줍기』로 다정한 한자의 세계를 열었던 젊은 한문학자 최다정의 이야기다. 그의 두 번째 산문집 『시가 된 미래에서』가 아침달에서 출간되었다. 3천 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한자문화권을 비롯해 많은 이들에게 열렬히 애독되고 있는 『시경』의 마흔 편의 시를 징검돌 삼아 새로운 독법으로 소개한다. 동시에 현재와 미래를 궁리하는 작가의 출렁이는 마음들이 산문으로 그려져 있다.
해석에 머물러 있지 않고 현재의 감각을 동원해 『시경』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고, 나아가 자연과 사랑과 시라는 삼각형으로 지탱되어온 『시경』의 토대 위로 우리가 세워봄 직한 미래의 전경을 그려나간다. 그동안 선배 학자들이 지켜온 『시경』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감상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독법을 통해 『시경』이 간직한 드넓은 세계로 나아가려는 최다정 작가의 고심이 이번 산문에 켜켜이 돋아나 있다. 침착하면서도 마음을 횡단한 것 같은 이야기들과, 『시가 된 미래에서』를 집필하는 동안 머물렀던 북경 생활의 장면들, 우리 모두가 함께 쥐고 있는 미래를 향한 크고 작은 질문들이 『시경』의 작품들과 함께 드리워진다.
동시대의 호흡법으로 나누는 『시경』
미래에 먼저 도착한 시에게 보내는 안부이번 책을 집필하는 동안 북경에서 공부했던 작가는, 『시경』의 근원지에서의 생활을 설레하면서도 동시에 낯선 타지 생활에 적응하는 일이 쉽지 않음을 느낀다. 그러나 『시경』에 기대어 견디고 서 있던 자리에서 일어나 『시경』이 품고 있던 마음과 화합하며 살아갈 긍지를 다시금 채워 나간다. 생활의 요령이나 비법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수긍하면서 자신을 돌보려고 노력한다. 또한 이번 책은 작가가 3천 년 전의 『시경』을 돌아보는 일처럼, 사랑을 구성하는 다채로운 얼굴을 뒤돌아 바라봐주며 ‘함께’하는 감각을 일으킨다.
『시가 된 미래에서』는 『시경』 속에서 작가의 마음을 울린 마흔 편의 작품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작가의 번역이 첨가되어 그 감상의 풍성함을 더한다. 작품마다 작가가 기대었던 생각이나 변주되어온 삶의 이야기들이 파장을 일으키며 과거와 현재, 미래의 꼭짓점을 이어 시간의 입체를 구현하기도 한다. 시에 대한 말간 마음으로 3천 년 전에 적힌 작품을 초월하여 지금의 이야기로 변주하는 합주는 ‘한자’에 대한 숭고한 마음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또한 책 중간에 수록된 ‘시와 나’를 통해 시와 인연이 되었던 작은 순간들을 돌이키며, 시가 간직해온 말간 마음에 비추어 보는 자신의 오랜 시절들도 등장한다. 시 읽기를 가까이에 둔 독자들에게도 아름다운 돌아봄을 선사하는 대목이 될 것이다. 부록으로는 ‘시경 모아 읽기’를 구성하여, 별도의 해석 없이 한자로 적힌 시의 원문을 있는 그대로 만나볼 수 있는 생경한 자리를 마련해 이 책의 근원적인 지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긴 시간 동안 다변하는 세계와 합중주를 이루었던 『시경』이 다정한 한문학자를 만나 동시대의 호흡으로 재탄생하는 『시가 된 미래에서』에 우리가 다가설 미래가 머지않아 도착해 있다.
공기가 포화(飽和)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는 엉겨 붙어 이슬이 된다. 이슬은 맺힌 자리에 있는 다른 사물을 적신다. 버티다가 끝끝내 터져 나온 것들은 반드시 상흔을 남긴다. 생활에도 포화도(飽和度)가 있어서, 이슬이 맺히고 진흙이 생긴다.
죽음을 상정하고도 사랑에 기대어 삶을 희망하는 것처럼, 가까운 온기는 먼 불행을 덮어주었다. 내딛고 있는 곳이 어디든 둘의 포개진 걸음, 나란한 마음이라면 우리의 비애는 시가 될 수 있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최다정
선택의 순간이 찾아올 때마다 매번 아름다움에 가까운 쪽을 택했다. 덕분에 지금은 한자와 만주문자로 쓰인 먼 과거의 기록을 연구하는 행운을 누리며 산다. 선조들이 남겨둔 옛글을 공부하는 이 길의 미래에 나는 나와 조금 더 화해했으리라 믿는다. 고려대학교 고전번역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한자 줍기』를 지었다.
목차
여는 글_아주 오래된 시심
「關雎관저」 물수리새의 이중주
「汝墳여분」 방어의 꼬리가 붉어졌다
「甘棠감당」 사물의 장소
「小星소성」 별 아래서 숙연히
「柏舟백주」 말아둘 수 없는 마음이지만
「綠衣녹의」 도반
「日月일월」 사랑의 속성
「終風종풍」 단장취의
「式微식미」 진흙을 만드는 이슬
「北風북풍」 봄에 내린 함박눈
시와 나 1_내가 읽은 시
「牆有茨장유자」 하지 말았어야 하는 말
「定之方中정지방중」 거북의 대답
「河廣하광」 별안간
「木瓜목과」 열매 한 알을 선물로 줄게요
「黍離서리」 시광
「君子陽陽군자양양」 우리 같이 춤을 추자
「兎爰토원」 그물에 걸린 슬픔 수집가
「緇衣치의」 검정에 대한 곡해
「蘀兮탁혜」 바람에 호응한 나무
「東門之墠동문지선」 사랑하는 두 사람은 같은 보폭으로 걷는다
시와 나 2_내가 기댄 시
「子衿자금」 과거에서 떨어져나온 편린
「野有蔓草야유만초」 우정
「東方未明동방미명」 옷을 거꾸로 입은 이유
「園有桃원유도」 복숭아나무가 일으킨 시
「山有樞산유추」 Still Life
「綢繆주무」 삼성별 뜬 밤에 해후하자
「葛生갈생」 겨울의 긴 밤 여름의 긴 낮
「蒹葭겸가」 그 사람이 모래섬에 있다
「權輿권여」 처음의 다음
「東門之楊동문지양」 동쪽 창문 앞에 백양나무 한 그루
시와 나 3_내가 지은 시
「月出월출」 시어 줍기
「隰有萇楚습유장초」 마음 없는 식물
「蜉蝣부유」 겨울을 꿈꾸는 하루살이
「鹿鳴녹명」 기쁨만 기억하는 시
「常棣상체」 동생
「庭燎정료」 촛농이 끓어 넘치는 동안에
「谷風곡풍」 쓰레기통에서 피어난 사랑
「蓼莪육아」 부모
「四月사월」 시 짓는 사람
「苕之華초지화」 능소화가 떨어진 뒤에 우리는
시와 나 4_내가 숨은 시
닫는 글_시가 된 미래에서
부록_시경 모아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