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발 간 사|004
- 일러두기|007
이색(李穡) / 독서(讀書) - 박승배|016
여원구(元九) / 중용을 읽다 느낌이 있어(讀中庸有感) - 여원구|018
이제(李) / 정숙에게 보내다(寄正叔) - 조종숙|020
이민구(李敏求) / 장응운에게 주다(贈張應雲) 중에서 - 정도준|022
고헌성(顧憲成) / 동림서원 주련구(東林書院 柱聯句) - 김병기|024
이존오(李存吾) / 책 읽는 학생들에게 보이다(示讀書諸生柳衛) - 남두기|026
서경덕(徐敬德) / 술회(述懷) - 박동규|028
동기창(董其昌) / 독만권서·행만리로(讀万卷書·行萬里路) - 박용설|030
박지원(朴趾源) / 원사·삼세불출문(原士·三歲不出門) - 박원규|032
기대승(奇大升) / 다시 그 운을 쓰다(再用韻) - 송현숙|034
주희(朱熹) / 사시독서락·춘(四時讀書樂·春) - 오명섭|036
최립(崔) / 별편에 차운하여 답하다(次答別篇) - 이성숙(소농)|038
이서구(李書九) / 서창·다조(書窓·茶) - 이용|040
기정진(奇正鎭) / 문규철의 원시에 차운하다(次文奎哲原韻) - 임춘식|042
이색(李穡) / 동산에 오르다(登東山) - 전병택|044
두보(杜甫) / 꿈 속에 이백을 보다(夢李白) - 정양화|046
이색(李穡) / 조용히 살다(幽居) - 정웅표|048
정태희(鄭台喜) / 독여·금파(讀餘·琴罷) - 정태희|050
순자(荀子) / 권학편(勸學篇) - 황보근|052
길재(吉再) / 본마음을 밝히다(述志) - 여성구|054
이색(李穡) / 느낌이 있어 짓다(有感) - 홍동의|056
김창협(金昌協) / 자익의 시에 차운하다(次子益韻) - 강미자|058
김시습(金時習) / 책상을 깨끗이 하고 글을 읽다(淨讀書) - 곽정우|060
김두경(金斗坰) / 책 - 김두경|062
이색(李穡) / 우중(雨中) - 김영기|064
왕성순(王性淳) / 사제 헌중에게 답하는 글(答舍弟憲仲書) - 김장호|066
이기철(李起哲) / 책 읽는 아이 - 김재승|068
김응교(金應敎) / 책 - 김진희|070
기대승(奇大升) / 학문을 권하는 짧은 시(勸學小詩) - 김현선|072
홍자성(洪自誠) / 채근담·후집(菜根譚·後集) 제113장 - 문영희|074
범립본(范立本) / 명심보감구(明心寶鑑句) - 문재평|076
장윤우(張潤宇) / 겨울 동양화(東洋畵) - 박병옥|078
황현(黃玹) / 봉정리 조인여의 집에서 묵다(宿鳳亭里趙仁汝庄) - 박신근|080
무명씨(無名氏) / 추구(推句) 중에서 - 박양준|082
두목(杜牧) / 유회조사등시(留誨曹師等詩) - 박원제|084
이색(李穡) / 자조(自嘲) - 박원해|086
두보(杜甫) / 희위육절구(戱爲六絶句) - 박정규|088
이색(李穡) / 유거(幽居) - 박철수|090
황산곡(黃山谷) / 독서설(讀書說) 중에서 - 변영애|092
이색(李穡) / 느낌이 있어 읊다(有感) - 성순인|094
윤선도(尹善道) / 앞의 운을 써서 회포를 읊다(用前韻詠懷) - 송용근|096
한유(韓愈) / 부독서성남(符讀書城南) - 신동엽|098
정철(鄭澈) / 송강가사(松江歌辭) 중에서 - 신수일|100
잔흥즈(詹宏志) / 「여행과 독서」 중에서 - 신영란|102
정약용(丁若鏞) / 박군 두채에게 주다(贈朴君斗采) - 신지훈|104
위응물(韋應物) / 전초산(全椒山)에 있는 도사에게 부침(全椒山中道士) - 염정모|106
백광훈(白光勳) / 최가운을 추억하다(憶崔嘉運) - 유백준|108
영종대왕(英宗大王) / 원량(장헌세자)에게 내린 춘첩시(賜元良春帖詩) - 윤관석|110
이상정(李象靖) / 병풍에 쓴 명 여덟 첩(屛銘八帖) - 윤대영|112
이제현(李齊賢) / 양화(楊花) - 이문기|114
기대승(奇大升) / 학문을 권하는 짧은 시(勸學小詩) - 이병남|116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 『책이라는 세계』 중에서 - 이성숙(새별)|118
왕유(王維) / 신청야망(新晴野望) - 이수희|120
황준량(黃俊良) / 영봉서원 압각정 제현들께 드리다(贈迎鳳書院鴨脚亭諸賢) - 이승우|122
서거정(徐居正) / 평안도의 서신을 부쳐서 매를 요구하다(寄書平安曹監司 求鷹) - 이월희|124
이희승(李熙昇) / 독서와 인생 - 이은설|126
황현(黃玹) / 황정유 병중의〈용동신거〉운에 차하다(次黃正宥炳中龍洞新居韻) - 이정철|128
두보(杜甫) / 별 생각 없이 짓다(漫成) - 이종선|130
김득신(金得臣) / 백이전에 제하다(題伯夷傳) - 이종훈|132
이덕무(李德懋) / 슬픔과 독서 - 이진선|134
서경덕(徐敬德) / 독서(讀書) - 이태조|136
정약용(丁若鏞) / 봄날 담재에서 글을 읽으며(春日澹齋讀書) - 임종현|138
이색(李穡) / 이생이 백단의 시를 외는 것을 듣고 흔연히 차운하다(聞李生誦伯亶詩 欣然次其韻) - 전영월|140
이색(李穡) / 종선의 글 읽는 소리를 듣다(聞種善讀書聲) - 전현숙|142
송익필(宋翼弼) / 한가함을 읊다(詠閑) - 정대병|144
노수신(盧守愼) / 내일은 백생과 작별할 예정인데, 백생이 한마디 해 주기를 청하므로, 이에 취하여 써서 주다(來日將別白生生請一語乃醉書與之) - 정도영|146
기대승(奇大升) / 다시 그 운을 쓰다(再用韻) - 정명숙|148
이이(李珥) / 생질 홍석윤에게 주는 글(贈洪甥 錫胤 說) - 정혜영|150
조성주(趙盛周) / 처서후 독서(處暑後讀書) - 조성주|152
이덕무(李德懋) / 경서·위삼절(經書·韋三絶) - 조인화|154
서경덕(徐敬德) / 책을 읽다 느낌이 있어(讀書有感) - 조현판|156
소륜위(蕭謂) / 책을 읽다 느낀 바가 있어(讀書有所見作) - 채순홍|158
성운(成運) / 유거에서 흥을 달래며(幽居遣興) - 최기동|160
김시습(金時習) / 정궤독서(淨讀書) - 최돈상|162
김좌기(金佐起) / 선비의 꿈 - 최미연|164
허균(許筠) / 독서록(讀書錄) - 하태현|166
안정복(安鼎福) / 어린 손자에게 써서 주다(書贈小孫) - 홍재범|168
한유(韓愈) / 권학편(勸學篇) 중에서 - 김재봉|170
기대승(奇大升) / 학문을 권하는 짧은 시(勸學小詩) - 강덕원|172
유흠(劉歆) / 착벽투광(鑿壁偸光) - 손창락|174
기대승(奇大升) / 학문을 권하는 짧은 시(勸學小詩) - 홍우기|176
김수항(金壽恒) / 유계(遺戒) - 유종기|178
육유(陸游) / 겨울 밤 책을 읽으며 자율에게 보이다(冬夜讀書示子聿) - 김문희|180
성혼(成渾) / 최시중 운우(雲遇)의 향포서실에 부치다(寄崔時中 雲遇 香浦書室) - 강수남|182
정약용(丁若鏞) / 장 일인의 계정에 제하다(題張逸人溪亭) - 강수진|184
이창신(李昌臣) / 독서를 좋아하는 벗에게 주는 글(贈讀書友人) - 강승일|186
정약용(丁若鏞) / 산 북쪽의 글 읽는 소리에 대하여 짓다(賦得山北讀書聲) - 강영화|188
사공도(司空圖) / 『二十四詩品』 중 전아(典雅) - 고범도|190
두목(杜牧) / 두보와 한유의 시를 읽다(讀韓杜集) - 길도현|192
이덕무(李德懋) / 독서(讀書) - 김성덕|194
이생진(李生珍) / 산은 책이다 - 김성자|196
이상정(李象靖) / 서관(書館) - 김승민|198
이이(李珥) / 격몽요결·독서(擊蒙要訣·讀書) 중에서 - 김영분|200
홍자성(洪自誠) / 채근담전집(菜根譚·前集) 56章 - 김윤숙|202
윤선도(尹善道) / 옛 시구를 모아 이명원에게 부치다(寄李明遠集古) - 김율의|204
윤증(尹拯) / 아우와 두 생질 및 사위에게 보이다(示舍弟兼示二姪及壻) - 김은숙|206
이기철(李起哲) / 따뜻한 책 - 김인순(새눌)|208
이색(李穡) / 신거(新居) - 김인순(유란)|210
서경덕(徐敬德) / 독서유감(讀書有感) - 김지훈|212
황현(黃玹) / 시골집에서 저문 봄에(村居暮春) - 김진권|214
한점숙 / 책 - 김해정|216
윤휴(尹) / 이조연 시에 차운하다(次李祖然韻) - 김희정|218
홍대용(洪大容) / 매헌에게 준 글(與梅軒書) 중에서 - 노재준|220
허균(許筠) / 야좌(夜坐) - 문광희|222
안정복(安鼎福) / 성오가 와 몇십 일 묵고 있다가 돌아가려 하기에 오언 단율 두 수를 지어주다(省吾來留數旬及歸口號五言短律二首以贈) - 민경부|224
박덕준(朴德俊) / 그들의 철학적 시간 - 박덕준|226
채제공(蔡濟恭) / 준희루십육영·서곤만송(畯喜樓十六詠·西崑晩松) - 박숙자|228
이색(李穡) / 즉사(卽事) - 박종권|230
이규보(李奎報) / 하중랑 천단이 화답해 온 것에 차운하다(次韻河郞中千旦見和) - 방기욱|232
정조(正祖) / 춘(春)자를 뽑아 읊다(拈春字) - 배종남|234
구양수(歐陽修) / 학자에게 주다(贈學者) - 백계완|236
기대승(奇大升) / 글을 읽으면서(讀書) - 변희문|238
소식(蘇軾) / 안돈이 낙제하여 돌아가는 길을 전송하다(送安惇落第) - 빈정심|240
인종황제(仁宗皇帝) / 권학문(勸學文) 중에서 - 선점숙|242
이해인(李海仁) / 책을 읽는 기쁨 - 손미숙|244
정몽주(鄭夢周) / 급제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 수재를 치하하며(賀李秀才就登第還鄕) - 송인도|246
토마스 바트린 / 책 - 신명숙|248
기대승(奇大升) / 다시 그 운을 쓰다(再用韻) - 신현경|250
이상정(李象靖) / 맹휴, 중칙, 중휴 몽정이 고운사를 유람하며 지은 시들에 차운하다(次韻孟休仲則仲休夢靖遊孤雲寺諸作) - 신현숙|252
서형수(徐瀅修) / 전우산의 시 〈참새그물〉과 〈나비 꿈〉에 차운하여(偶讀錢虞山詩 有與王述文侍御罷官里居之作 用雀羅蝶夢二題 相與贈答 遂次其韻) - 심소연|254
김이안(金履安) / 강계승 정환을 이별하며 주다(贈別姜季昇 鼎煥) - 양기언|256
최립(崔) / 봉은사(奉恩寺) 주지(住持)의 시권에 차운하다(次韻奉恩寺住持卷) - 양영|258
박은(朴誾) / 용재에게 옻칠한 책상을 보내며(以烏机遣容齋) - 염광선|260
이어령(李御) / 향기로운 꽃다발 - 오명순|262
법식선(法式善) / 독서(讀書) - 오영숙|264
남상교(南尙敎) / 동지 후 서울에 들어와 자다(至後入城宿版泉) - 오정덕|266
이황(李滉) / 한서암에서 비 온 뒤의 일을 쓰다(寒棲雨後書事) - 원명환|268
이황(李滉) / 김응순 수재의 시에 차운하다(次韻金應順秀才) - 윤길주|270
송창선 / 책시 - 윤성임|272
이색(李穡) / 나 태어나(我生) - 윤혜숙|274
성운(成運) / 옮겨 살다(移居) - 이광표|276
정약용(丁若鏞) / 팔괘봉의 시를 조 정언의 산정의 편액에 제하다(八卦峯詩題趙正言山亭額) - 이규자|278
장희구(張喜久) / 늦은 가을(晩秋) - 이기영|280
이색(李穡) / 만흥(漫興) - 이기자|282
김정희(金正喜) / 강촌독서(江村讀書) - 이남진|284
윤증(尹拯) / 아우와 두 생질 및 사위에게 보이다(示舍弟兼示二姪及壻) - 이동진|286
원매(袁枚) / 『續詩品·尙識』 - 이병도|288
기대승(奇大升) / 학문을 권하는 짧은 시(勸學小詩) - 이신영|290
나태주 / 좋은 책 - 이양기|292
무명씨(無名氏) / 독서오귀(讀書悟歸) - 이옥년|294
권필(權) / 장난삼아 짓다(戱題) - 이완|296
황준량(黃俊良) / 백두에게 희롱 삼아 보내다(寄伯斗) - 이지은|298
박인로(朴仁老) / 독락당(獨樂堂) - 임분순|300
윤인구 / 헌책에 대하여 - 임성균|302
서거정(徐居正) / 복경 등이 글을 읽다(福慶輩讀書) - 장옥숙|304
서경덕(徐敬德) / 글을 읽다 느낌이 있어(讀書有感) - 전진원|306
허균(許筠) / 야좌(夜坐) - 정경희|308
정몽주(鄭夢周) / 주역을 읽다(讀易) - 정명환|310
관다산(菅茶山) / 겨울밤 책 읽기(冬夜讀書) - 정선희|312
권한공(權漢功) / 여산사 침벽루(廬山寺枕碧樓) - 정영태|314
주희(朱熹) / 사시독서락·동(四時讀書樂·冬) - 정재석|316
서헌순(徐憲淳) / 우연히 읊다(偶詠) - 정종명|318
이숭인(李崇仁) / 현성사에서 글을 읽다가(玄聖寺讀書) - 정준식|320
왕안석(王安石) / 왕형공권학문(王荊公勸學文) - 제환수|322
주희(朱熹) / 권학문(勸學文) - 조경화|324
황준량(黃俊良) / 이퇴계가〈유월란암〉시를 보내왔기에 차운하다(次李退溪遊月瀾菴見寄之作) - 조범제|326
이종학(李鍾學) / 순천에서 읊다(順天吟) - 조옥연|328
이곡(李穀) / 대서(代書)하여 중시(仲始) 사예(司藝)에게 답하다(代書答仲始司藝) - 조용연|330
한유(韓愈) / 현재에서의 독서(縣齋讀書) - 조은이|332
정철(鄭澈) / 송강가사(松江歌辭) 중에서 - 진영근|334
장유(張維) / 결혼하러 해서에 가는 장생 희직을 전송하며(送張生希稷往海西成親) - 진영신|336
장유(張維) / 장생의 서옥에 제한 시(題張生書屋) - 최경춘|338
이곡(李穀) / 게이충(揭以忠)이 화답했기에(揭以忠見和) - 최재석|340
김현승(金顯承) / 책(冊) 중에서 - 최정근|342
도연명(陶淵明) / 산해경을 읽고서(讀山海經) - 최창은|344
두보(杜甫) / 위좌승 위제(韋濟)에게 드림(贈韋左丞韋濟) - 한미숙|346
유우석(劉禹錫) / 주로유의 과거길을 전송하며(送周魯儒赴擧詩) - 홍금자|348
- 국제서예가협회 연혁|351
- 시인poet 찾아보기|352
- 작가 Artist 찾아보기(가나다 순)|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