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신인섭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교수이자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일본 홋카이도대학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Women’s Mobility and Literary Ethics〉, 〈Mobility in the Work of Haruki Murakiami, Focusing on Dance Dance Dance as a Narrative of Mobility〉 등이 있으며, 저서로 《디아스포라 지형학》(공저), 《일본 근현대문학의 명암》, 옮긴 책으로 《산소리》, 《이즈의 무희·천 마리 학·호수》, 《소설론》 등이 있다.
지은이 : 김태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부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현상학, 현대 철학을 열다》(공저),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공저), 《비판적 사고와 토론》(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사물과 공간》, 《슈뢰딩거 나의 세계관》, 《소외와 가속》, 《사물과 비사물》(공역), 《헤겔의 세계》(공역), 《상상, 이미지의식, 기억》(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공역),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등이 있다.
지은이 : 김주영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덕여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공저),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공저),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 사이》(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모빌리티로 본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재해석〉,〈New Horizon for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Literature in Korea:Centered on Multicultural Imagination Shown in Son Honggyu’s Novel and Ha Jong-oh’s Poetic Literature〉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용균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모빌리티, 이주(인구), 개발, 세계지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글로벌 이주: 이동, 관계, 주변화》가 있고, 옮긴 책으로 《공간을 위하여》(공역), 《국가·경계·질서》(공역), 《이주》(공역)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진형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공저),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바흐친의 산문학》(공역), 《각색 이론의 모든 것》(공역),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혼종성 비판》 등이 있다.
지은이 : 박해리
대학에서 일어일문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는 일본어 번역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생활과 무역회사에서의 비즈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일상생활과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는 일본어 회화는 물론, 문법과 독해, 작문 등 왕초보자를 위한 일본어 학습서 집필에 열정을 쏟고 있다.저서만만하게 시작하는 히라가나 일본어 첫걸음만만하게 시작하는 왕초보 일본어 첫걸음_초급만만하게 시작하는 왕초보 일본어 첫걸음_중급만만하게 시작하는 왕초보 영어회화_기초편처음 시작하는 독학 일본어처음 시작하는 독학 일본어 회화
지은이 : 이현영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된 연구 분야는 근세 문학 중에서도 마쓰오 바쇼의 하이카이 문학과 근세 시대 명소기이다. 저서로 《가가하이단과 쇼후의 연구》, 《일본 시가 문학사》(공저), 《국제 세시기의 비교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습유와카집》(공역), 《후습유와카 집》(공역) 등이 있다.
지은이 : 양명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 고베대학 문화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재일조선인문학・디아스포라 문학을 연구했으며, 현재는 모빌리티의 관점에서 재일조선인의 ‘이동’ 문제를 다루고 있다. 논문으로 〈디아스포라 서사와 강요된 모빌리티의 재현〉 등이 있으며, 저서로 《모빌리티 텍스트학》(공저),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우연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 건국대학교 일본문화 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일본 근대문학과 일본의 ‘전후’ 문제를 비롯한 일본 현대사상을 연구하였다. 현재는 모빌리티의 텍스트 재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전후’ 일본의 상징 공간, ‘교외’〉, 〈영화 〈수상한 그녀〉의 이동과 변용 양상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 옮긴 책으로 《‘조선’표상의 문화지》 등이 있다.
지은이 : 임보미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독일 하노버대학에서 LL.M.Eur.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소수자(약자)의 인권과 동물권에 관심을 두고, 이를 제도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일본의 재판원제도》(공저),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 〈현행법상 장애(인) 개념에 기초한 장애인 이동권 문제〉, 〈형사소송법상 상소제도의 변천과정과 그 의미〉,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피해자조력인의 개념과 역할〉 등이 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