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레코드 맨  이미지

레코드 맨
음반 산업의 장대한 역사
그래서음악(somusic) | 부모님 | 2025.03.20
  • 정가
  • 25,000원
  • 판매가
  • 22,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2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551Kg | 424p
  • ISBN
  • 9791193978641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사운드 기록기로 출발해 축음기, 턴테이블로 이어지는 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음반 산업의 기반을 형성했는지, 사운드 기록물인 레코드가 원통형 실린더 레코드로 시작해 지금 우리가 열광하는 ‘측면 커팅’ 레코드로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토마스 에디슨,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에밀 베를리너 등의 위대한 발명가가 이 이야기 속에서 차례로 등장한다. 그중 컬럼비아 레코드와 LP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는 특히 흥미롭다.모든 위대한 뮤지션의 뒤에는 그만큼이나 위대했던 음반 프로듀서가 존재했다. 이 책은 음반 산업의 계보를 형성한 50명 내외의 선구자의 삶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엘비스 프레슬리, 밥 딜런, 비틀스, 도어스, 마이클 잭슨, 마돈나, U2 등이 드리운 성공의 커튼 뒤에는 그들의 재능을 그 누구보다 확신했던 전설적인 프로듀서와 음반사 대표, 매니저가 존재했다. 존 해먼드, 퀸시 존스, 크리스 블랙웰, 필 스펙터, 조지 마틴, 브라이언 엡스타인, 앤드루 루그 올덤 등이 들려주는 날것의 이야기를 통해 독자는 지금껏 국내에 한 번도 소개되지 않았던 에피소드를 만날 수 있다.

  출판사 리뷰

지난 130년간 지속되어 온 음반 산업의 역사를 다룬 책
<레코드 맨: 음반 산업의 장대한 역사>


책의 초반에는 사운드 기록기로 출발해 축음기, 턴테이블로 이어지는 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음반 산업의 기반을 형성했는지, 사운드 기록물인 레코드가 원통형 실린더 레코드로 시작해 지금 우리가 열광하는 ‘측면 커팅’ 레코드로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토마스 에디슨,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에밀 베를리너 등의 위대한 발명가가 이 이야기 속에서 차례로 등장한다. 그중 컬럼비아 레코드와 LP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는 특히 흥미롭다.

모든 위대한 뮤지션의 뒤에는 그만큼이나 위대했던 음반 프로듀서가 존재했다. 이 책은 음반 산업의 계보를 형성한 50명 내외의 선구자의 삶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엘비스 프레슬리, 밥 딜런, 비틀스, 도어스, 마이클 잭슨, 마돈나, U2 등이 드리운 성공의 커튼 뒤에는 그들의 재능을 그 누구보다 확신했던 전설적인 프로듀서와 음반사 대표, 매니저가 존재했다. 존 해먼드, 퀸시 존스, 크리스 블랙웰, 필 스펙터, 조지 마틴, 브라이언 엡스타인, 앤드루 루그 올덤 등이 들려주는 날것의 이야기를 통해 독자는 지금껏 국내에 한 번도 소개되지 않았던 에피소드를 만날 수 있다. 이들이 없었다면 저 위대한 음악가들의 성공 역시 없었거나, 꽤나 소박했을 것이다. 저자가 쓴 것처럼 자신의 운명에 대해 확고한 의식을 가진 위대한 아티스트는 자신의 산파를 직접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레코드 맨: 음반 산업의 장대한 역사>는 2010년대, 즉 스트리밍이 지배하고 있는 현재의 음악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로 마무리된다. 그러면서 왜 인디 레이블 모델이 현재 대중음악계 전반에서 다시금 각광받고 있는지에 대해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인디는 1950년대부터 언제나 존재했다. 예를 들어 1950년대 엘비스 프레슬리를 발굴한 샘 필립스의 선 레코드야말로 당대의 인디였다. 마돈나를 세상에 소개한 위대한 레코드 맨 시모어 스타인은 이렇게 말한다. “인디에게 신의 축복이 있기를! 그들은 로큰롤 이후, 심지어 그 이전에도 모든 새로운 트렌드를 소개해왔어요. 그 밖에 무엇이든, 모든 게 인디로부터 비롯됐죠.” 비스티 보이스와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프로듀서 릭 루빈 역시 “오늘날 메이저 음반사 내부에서 더욱 인디적인 모델로 돌아가야 한다는 인식이 분명히 존재해요.”라고 강조한다. 그 와중에 인디 커뮤니티의 정점에 있는 레코드 맨 마틴 밀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인디 협력체인 베거스 그룹을 통해 게리 누먼, 픽시스, 프로디지, 화이트 스트라이프스, 본 이베어, 캣 파워, 리버틴스 등을 발굴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2010년대 이후 그 누구보다 앨범을 많이 판 아티스트 아델이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 소개된 음악 번역서는 뮤지션 중심으로 서술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레코드 맨: 음반 산업의 장대한 역사>는 뮤지션과 프로듀서/음반사 양쪽을 모두 다루면서 독자에게 훨씬 더 폭넓은 시각과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책의 끝에 다다르면 독자는 마치 한 편의 거대한 대서사시를 본 것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다. 저자도 서문에서 “우리는 대항해를 떠날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특히 마지막 문장이 주는 감동은 그 어떤 음악 관련 서적에 비할 바가 아니라고 확신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가레스 머피
<COWBOYS AND INDIES: The Epic History of the Record Industry>의 저자. 저널리즘 분야에서의 업적으로 2017년 PPA 독립 출판사 시상식(영국)에서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었다. 아내, 아들과 함께 파리에 살고 있다.

  목차

한국의 독자 여러분에게 4
서문 10

1장. 말하는 기계 16
2장. 발명가들의 황금기와 법적 공방 28
3장. 주인님의 목소리 36
4장. 엑소더스 47
5장. 보이지 않는 파도, 라디오의 등장 58
6장. 생존자들 65
7장. 사해(死海) 건너기 77
8장. 세계 대전과 LP의 등장 96
9장. 로큰롤, 선 레코드, 엘비스 프레슬리 108
10장. 존 해먼드의 어리석음, 밥 딜런 125

11장. 모타운 레코드와 베리 고디 3세 138
12장. 영국의 침공 150
13장. 앤드루 루스 올덤과 롤링 스톤스 162
14장. 영광의 퇴색 175
15장. 동부에서 서부로 188
16장. 검은색 캔버스 204
17장. 금단의 열매 216
18장. 다윗과 골리앗 230
19장. 레코드 비즈니스의 왕들 242
20장. 디스코의 등장 254

21장. 아일랜드 레코드 271
22장. 미래의 소리 283
23장. 버진 레코드와 러프 트레이드 299
24장. 소돔과 고모라 315
25장. 성공의 이면(裏面) 327
26장. 마이클 잭슨과 CD, 그리고 MTV 341
27장. 밥 말리라는 전설 348
28장. 막을 내린 황금기 366
29장. 폐허가 된 신전 380
30장. 버블검 숲 394
31장. 계시 404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