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전통 정형시 시조의 형태와 기사 방법의 다양성을 반영한 작품집이다. 현대 시조 형태의 다양성과 기사 방법의 다양성을 반영한 단시조, 연시조, 연작 시조, 사설시조 등을 다양한 내용으로 창작한 작품을 하나의 작품집에 녹여 넣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전승탁
경남 진주에서 태어남제13회 역동시조문학 신인상제40회 성파시조문학 작가상이호우·이영도 오누이 시조문학 신인상『월간문학』 신인 작품상제5회 문예창작 문학상 시 부문 본상(2025)계간 『시창작』, 『문예창작』 편집 위원.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봄빛으로 신은 신발
봄빛으로 신은 신발
꽃 양산 접어들고 ― 보험 아지매
등짐
깡통 불
미로
이방인의 꿈 찾기
오월
이별가
아내의 밥상
뚜엔의 눈물
그리움
소낙비
바느질
하늘 안부
개인 정보 유출
마른 젖 줄기
물수제비
그리움 서곡
제2부 물빛 채색한 두레박
물빛 채색한 두레박 ― 우수(雨水)
좌선(坐禪)
오월에 만난 사람
솔뫼 비가(悲歌)
헛도는 저녁
사노라고
만추
빈자리
삶의 소회(所懷)
무당개구리
이방인의 하루
나들목을 지나며
섬진강 진뫼에서
혓바닥
승부역
무상한 날에
새발뜨기 가름솔
추봉도
제3부 꽃별 옷자락
꽃별 옷자락
옹기
봄 나래
항아리
종이컵 유감
달팽이
입춘
한식
청명
춘분
경칩
유산
정선 안도전 마을
오월의 비
거울 앞에서
멀미
내곡리(內谷里)
산곡(山谷)
제4부 꽃무늬 편지
꽃무늬 편지
고등어
씨방 항아리
괭이갈매기의 비상
땀의 무게
휴면기(休眠期)
충익(忠翊)을 만나다
층간소음
벽 ― 잡론(雜論)
가락국 구형왕을 알현하다 ― 왕릉에서
빈집
첫눈
뒷기미 옛 나루터
해바라기 눈물
부활 ― 수로왕릉에서
모래톱에 쓰는 편지
그림자의 시간
삶의 일탈(逸脫)
목수의 내일
제5부 쑥부쟁이의 계절
쑥부쟁이의 계절
대동 나루에서
촉석루에 앉아
수곡 무실장터 ― 진주민란
시월 아침
석양
산책
늦게나마
월촌리 연지에서
휴일
별집
삶터 찾기 ― 이직을 생각한다
그리운 봄날
묵상(默想)
대숲에서
길의 매듭을 풀고
내 사랑 孤
둘레길을 걷다
영천강 ― 겨울 강둑길을 걷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