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원장쉰다섯. 돌아보면 고되고 속상한 날도 많았지만, 나는 여전히 삶이 고맙다. 그리고 옳은 것이 중요하지 않았고 어떤 경우라도 따뜻함이 삶의 원천임을 알았다. 억울했던 순간들조차 나를 여기까지 이끌어주었기에, 감사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네 살 무렵 광주로 이사했다. 치과병원, 대학병원, 어린이집, 녹십자 등 다양한 일터를 거치며 주어진 일에 항상 그랬듯이 성심을 다했다. 서른넷에 결혼해서 아들과 딸을 낳았지만, ‘엄마’라는 역할이 처음이었던 나는 아이들의 마음을 제대로 읽지 못했고, 그 무지와 후회는 몸으로 고스란히 나타났다. 공부에 대한 갈증으로 심리학이라는 거울 앞에 ‘나 자신’을 정직하게 마주할 수 있었다. 자녀를 위해 시작한 공부가 결국 자녀가 나를 공부하게 하고 성장하게 했다. 아직도 서툰 엄마이고, 여전히 삶에 적응하는 중이다. 대전대학교에서 아동상담 석사를, 평택대학교에서 심리학 전공 철학박사를 마쳤으며, 시인과 수필가로도 등단했다. 머물렀던 자리마다 남은 흔적들이 지금의 상담 현장에서 깊이 있는 공감과 통찰로 이어지고 있다. 빛은 늘 있었고, 그것을 보는 건 내 몫이었다.2015년 『혼자 견디는 나를 위해』를 시작으로 『혼자 견디는 나를 위해』, 『당신의 지문』, 『우리 아이 마음 설명서』, 『나는 무엇 때문에 힘들어 하는가 ? 역전이의 이해』, 『삶이 힘들고 지칠 때 심리학을 권합니다』, 『그림책 거꾸로 보기』, 『이젠, 괜찮다고 말하지 말아요』 7권 책을 펴냈다. 현재는 가득이심리상담센터 원장으로 심리상담에 성심을 다하고 있다.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https://blog.naver.com/ppmo2911
제1장 감정은 왜 나를 흔드는가
01. 불안은 왜 나를 괴롭힐까 - 증명 욕구가 키운 마음의 그림자
02. 분노는 두려움에서 시작되는 감정
03. 상처는 해석의 깊이만큼 남는다
04. 사과받지 못한 감정은 끝나지 않는다
05. 기대가 클수록 실망도 커진다
06. 상처를 준 사람 덕분에, 나는 나를 다시 만났다
07. 진짜 공감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08. 나는 나에게 얼마나 솔직한가
09. 고통을 이해할 때, 우리는 자란다
10. 말하지 못한 감정은 증상이 된다 - 감정에 이름을 붙이다
11. 사랑받고 싶은 두 마음: 나르시시스트와 에코이스트
제2장 관계에서 나를 지키는 심리 연습
01. 엄마가 미안하다. 네 마음이 그렇게 아픈 줄 몰랐어
02. 가까워질수록 불편한 사람들 - 반사회적 성향
03. 아이와 어른의 자존감, 그 뿌리를 찾다
04. 불편한 관계에서 피하지 않고 성장하는 법
05. 불편한 사람, 그 속에 숨어 있는 내 감정
06. 신뢰를 다시 배우는 법
07. 거절 못하는 나, 약점일까 강점일까?
08. 억울함과 솔직함, 어떻게 건강하게 표현할까?
09. 진정한 자율성은 책임과 배려의 균형에서 시작된다
10. 왜 같은 실수를 반복할까? 후회에서 벗어나는 법
11. 반려동물을 잃은 마음: 멜랑콜리와 애도의 심리학
제3장 사춘기 아이와 마음으로 연결되는 부모의 심리 수업
01. 청소년기, 부모가 알아야 할 진짜 성장의 언어
02. 사춘기는 반항이 아니라 성장이다
03. 나는 감정 쓰레기통이 아니다
04. 마음이 허기질 때, 무엇을 채워야 할까요?
05. 공황은 마음과 몸이 보내는 신호
06. 결정 앞에서 흔들릴 때 배려인가, 두려움인가
07. 부모와 자녀, 감정으로 얽힌 숙명의 관계
08.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
09. 남편의 공감은 어떻게 자라는가, 감정 언어를 배우는 여정
10. 손해보고 싶지 않은 심리, 내 것을 꼭 챙기고 싶은 마음
11. 경쟁의 그림자: 반칙이라는 이름의 본능
제4장 마음을 읽는 심리 수업
01. 상담은 약한 사람의 선택이 아니라, 성장하는 사람의 용기이다
02. 지문(指紋)으로 들여다보는 나의 심리지도
03. 색안경을 벗으면, 다른 세상이 보인다
04. 오해를 넘어 이해로: 관계를 단단하게 하는 연습
05. 마음을 도형으로 보다 – ○△□S 심리 분석법
06. 성격의 틀을 넘어 관계를 회복하는 심리 수업
07. 자존감, 나를 단단하게 지키는 힘
08. 산만함 뒤에 숨겨진 마음 – ADHD를 새롭게 이해하기
09. 감정과 쾌락, 사랑을 건강하게 다루는 법
10. 감사, 불 속에서도 피어나는 마음
제5장 나로 살아가기 위한 심리적 태도
01. 정신과 약, 먹어야 할까? 마음으로 견뎌야 할까?
02. 실수를 대하는 나만의 방식 바꾸기
03. 나를 용서할 수 있을 때 진짜 자유가 시작된다
04. 함께 살아가기 위해, 나를 지키는 연습
05. 오늘 하루가, 나의 역사가 된다
06.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 앞에 선 나
07. 평범한 일상에서 발견하는 진정한 의미
08. 거울 앞에 선 나, 외모보다 마음을 마주할 때
09. 선한 마음을 가꾸는 심리적 태도
10. 그림자를 껴안을 때, 진짜 내가 보이기 시작한다
11. 진짜 관계는 외로움이 아닌 진심에서 시작된다
▪ 『나는 왜 늘 참는가』를 마치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