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남경란
경북 울릉 출생대구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상임연구원(역임)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전문연구교수(역임)대구가톨릭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현재)▒ 주요 논저<국어사 연구를 위한 국어정보처리법>(2003)<여말선초 음독 입[구결]의 종합적 고찰>(2005)<여말선초 음독 입[구결] 자형과 기능의 통시적 고찰>(2009)<한글 창제 전후의 입[구결] 연구>(2016)「중세한국어 연구를 위한 전산 처리 방안」(2003)「사회방언 자료의 전산 처리에 대하여」(2003)「국어의 시간적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2004)「동해안 어촌 지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2004)「중세국어 음운현상의 교육 방안」(2009)「15세기 문헌자료의 전산화-연구자 중심 말뭉치 구축 및 활용」(2014) 등 50여 편
머리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내용 및 방법
1.4. 선행 연구 검토
2. 연구 자료
2.1. 『최승왕경』
2.2. 『법화경』
2.3. 『사분율장』
2.4. 『아비달마대비바사론』
2.5. 『아비달마식신족론』
2.6. 초조본 『유가사지론』
2.7. 그 외 초조본
3. 표점 부호의 양상
3.1. 『최승왕경』
3.1.1. 경전 해석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1.2. 범음 선율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2. 『법화경』
3.2.1. 경전 해석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2.2. 범음 선율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3. 『사분율장』
3.3.1. 경전 해석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3.2. 범음 선율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4. 『대비바사론』
3.4.1. 범음 선율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5. 『식신족론』
3.5.1. 경전 해석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5.2. 범음 선율 표점 부호의 형태와 양상
3.6. 『유가사지론』
3.6.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71
3.6.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3.6.3.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7
4. 표점 부호의 기능
4.1. 경전 해석 보조
4.1.1. 『최승왕경』
4.1.2. 『법화경』
4.1.3. 『사분율장』
4.2. 범음 선율 표시
4.2.1. 『최승왕경』
4.2.2. 『법화경』
4.2.3. 『사분율장』
4.2.4. 『대비바사론』
4.2.5. 『식신족론』
4.2.6. 『유가사지론』
5. 표점 부호의 특징
5.1. 경전별 특징
5.1.1. 『최승왕경』
5.1.2. 『법화경』
5.1.3. 『사분율장』
5.1.4. 『대비바사론』
5.1.5. 『식신족론』
5.1.6. 『유가사지론』
5.2. 표점 부호별 특징
5.2.1. 장선 무늬
5.2.2. 호 무늬
5.2.3. 물결S 무늬
5.2.4. 물결3 무늬
5.2.5. 물결 파동형
5.2.6. 문자 무늬
5.2.7. 원 무늬
6. 표점 부호와 구결의 상관성
6.1. 경전 해독 보조 부호
6.1.1. 부호의 특징
6.1.2. 경전별 상관성
6.2. 범음 선율 정보 부호
6.2.1. 경전별 좌표 검토
6.2.2. 사성의 경전별 상관성
6.3. 표점 부호와 구결의 상관성
7. 결론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