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메이청 쑨
북경어언대학교 北京语言大学 국제정치와 커뮤니케이션 스쿨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싱가포르의 난양공과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녀의 연구 관심은 대중문화의 초국적 흐름과 아시아 문화산업이며, 중국에서의 케이팝과 스트리트 댄스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주요 저작으로 “K-pop fan labor and an alternative creative industry: A case study of GOT7 Chinese fans”, “Analog Hallyu: Historicizing K-pop formations in China” 등이 있다.
지은이 : 웨이시엔 판
캐나다 퀸즈대학교Queen’s University에서 영화 및 미디어학과의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녀는 몬트리올의 콩코르디아 대학교Concordia University에서 영화 및 영상 연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녀의 연구 관심사는 시각성의 정치, 비판적 미디어 인프라, 환경 미디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녀의 현재 저서 프로젝트인 『경계 비전: 중국 국경지대를 봄의 지정학Frontier Vision: The Geopolitics of Seeing China’s Borderlands』은 20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중국의 지정학적 열망이 국경 형성의 논리와 어떻게 과매개되고 얽혀왔는지 고찰한다.
지은이 : 누룰 아크미 바드룰 히샴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민족연구소Institut Kajian Etnik,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의 연구원이다. 그녀는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학문적 성취를 인정받아 권위 있는 하디아 삼수딘 A. 라힘Hadiah Samsudin A. Rahim 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그녀는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매개화와 디지털 문화, 스크린 연구, 그리고 청년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다.
지은이 : 압둘 라티프 아흐마드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사회과학 및 인문학부의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센터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국제교류센터 소장, 2023년부터 2024년까지 말레이시아 대학교 국제교류처장 네트워크 의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고등교육 기관의 국제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온라인 국제 공동학습 등 다양한 연구 및 컨설팅 과제의 팀장 또는 팀원으로 활동해왔다.
지은이 : 푸 기옥 훈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민족연구소의 연구원이다. 인류학과 사회학을 전공한 그녀는 말레이시아 내 소수 민족 공동체의 민족 정체성 형성과 협상 과정을 연구하며, 혼종성과 변화하는 정체성의 역동성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그녀의 연구는 고전적 소수 집단과 새롭게 등장한 소수 집단 모두를 다루는데, 오랜 문화적 융합의 역사를 가진 켈란탄Kelantan과 테렝가누Terengganu의 페라나칸 중국인Peranakan Chinese 공동체와,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그 존재가 형성되고 있는 말레이시아 내 한인 디아스포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은이 : 나즈라 알리프 나즈리
말레이시아 술탄자이날아비딘 대학교Universiti Sultan Zainal Abidin 언어 및 커뮤니케이션 학부의 현대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센터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2021년 국립 말레이시아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커뮤니케이션 및 문화연구 분야에서 훈련을 받은 그는 디지털 미디어, 청년 문화, 말레이시아의 대중문화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해 연구하며, 특히 게임, 소셜 미디어, 한류의 커뮤니케이션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지은이 : 파테마 바이스헤브
인도의 마하라자 사이야지라오 대학교 The Maharaja Sayajirao University에서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학사와 석사를 취득했다. 그녀는 현재 린데 엔지니어링의 기업 커뮤니케이션 이사로 일하고 있다.
지은이 : 니디 셴두르니카르
인도의 독립연구자이다. 그녀는 마하라자 사이야지라오 대학에서 정치과학 박사를 취득했고, 이후 10여 년 동안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연구하고 가르쳐 왔다. 그녀의 연구 관심은 정치 커뮤니케이션, 인권, 인도 종교의 재현 등이다.
지은이 : 시쥔 셴
호주 커틴대학Curtin University의 인플루언서민족지연구랩the Influencer Ethnography Research Lab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그녀는 호주 모나시 대학Monash University에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디지털 미디어와 민족지 연구에 전문성을 지녔고,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과 인터넷 산업에 대한 중국의 통치성, 하이퍼소비주의, 횡적 감시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Mukbang Streamers in China: Wanghong as Industry, Laborer, and Exemplar of Social Transformation,” “Banning “braingasm”: an investigation of misogynistic politics in 8Chan’s, U.S. platforms’ and CCP’s regulation of ASMR”(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토마스 보디네트
호주 매쿼리대학교Macquarie University 국제학대학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호주 모나시대학교Monash University에서 일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문화인류학자로서, 일본, 중국 본토, 태국, 필리핀의 퀴어 커뮤니티 내에서 대중문화의 소비를 연구해왔다. 그는 최근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대중문화의 교차점, 특히 범아시아적 “아이돌” 셀러브리티와 관련한 팬 문화의 발전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Towards a queer theory of the Korean Wave: potentiality and paradox,” “Mobilizing idol celebrity in queer affective advertising: exploring the impacts of 'Boys Love' media and fandom in Thailand” 등이 있다.
지은이 : 루이스 주리엘 P. 도밍고
필리핀대학 바기오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Baguio 역사학 및 철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필리핀 산토토마스대학University of Santo Tomas에서 역사학 학사와 석사를 취득했다. 그의 연구 관심은 동남아시아 민족주의의 역사, 혁명운동, 냉전 등이다. 최근 저작으로 “‘They Shall Not Prevail’: Claro M. Recto’s Nationalist Crusade, 1952-1960”가 있다.
지은이 : 김도온
일리노이 대학 시카고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커뮤니케이션 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녀는 남가주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 및 저널리즘 스쿨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 and Journalism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녀의 연구 관심은 기술연구, 문화연구, 그리고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인간-기계 커뮤니케이션(HMC)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 그녀의 주요 저작으로는 “Remapping visibility: Layerability of gay dating apps and hybrid placemaking in Seoul, Korea,” ““Pay for your choices”: Deconstructing neoliberal choice through free-to-play mobile interactive fiction games” 등이 있다.
지은이 : 팡우
상하이교통대학上海交通大學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스쿨의 부교수다. 그녀는 홍콩중문대학香港中文大學대학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스쿨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녀의 연구 관심은 뉴미디어, 디지털 문화, 기업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적 함의 등에 걸쳐 있다. 그녀의 주요 저작으로는 “Participate in Philanthropy for Idols or Society? Fans’ Social Media Practices, Dual Identity, and Civic Engagement in Chinese Online Fandom,” “Internet-Based Media as Information Sources in Risk Communication: Comparing Three Media Sources During COVID-19 Pandemic” 등이 있다.
서장 아시아 일상문화로 한류를 재조명하다
1장 이동매체와 중국 케이팝 팬덤
2장 필리핀에 불시착하다 - 초국적 한국 드라마와 인터넷 인프라에 대한 욕망
3장 미디어화, 문화적 협상, 그리고 말레이시아 청년들의 일상적 한류 실천
4장 케이팝 팬덤과 뷰티 트렌드: 인도 젊은 도시여성의 BTS 팬덤 연구
5장 상이한 미디어 관리의 핵심 요소로서의 상업화 잠재성 - 중국의 먹방 규제와 온라인 섭식장애 커뮤니티에 관한 문화구획 연구
6장 한류를 통한 한-일 관계의 성찰 - 팬 욕망, 국민적 공포, 초문화적 팬덤
7장 한국 대중음악은 현대 필리핀 정체성에 대한 위협인가? - 지구화, 국민, 그리고 필리민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탐구
8장 의미있게 재미있게 - 한국과 중국 팬덤 문화에서의 젠더, 섹슈얼리티, 시민적 상상력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