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허웅
20세기 후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언어학자이자 국어학자였으며, 한편으로는 국어 운동가였다. 생전에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와 한글학회 회장을 오랫동안 지냈다. 1918년에 태어나 2004년 86세에 돌아가셨다. 허웅 선생의 국어 연구는 민족 문화를 잇고 가꾸는 데서 시작했다. 청년 시절 최현배 선생의 ≪우리말본≫을 처음 대하면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앞길을 결정한다. 그래서 ‘한 나라의 말은 그 나라의 정신이며, 그 겨레의 문화 창조의 원동력이다’라는 생각을 일찍이 마음에 간직했다. 이러한 생각은 허웅 선생 학문의 바탕이 되었으며, 평생을 일관되게 지닌 학문적 태도였다. 그래서 허웅 선생 학문의 성격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연구’와 ‘실천’, 둘의 조화라고 하겠다. 선생의 학문은 국어 연구를 언어과학으로 승화시켰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를 지키고 가꾸는 실천 운동을 전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15세기 국어 형태론은 앞에 든 ≪우리 옛말본≫에 집대성되어 있다. 15세기 국어 문법에 대한 공시적 연구에 이어, 선생은 국어 문법사 연구에 착수했다. 우선 범주별 연구에 들어가, 때매김법의 변화를 추적했다. 각 시기별 때매김법을 공시적으로 기술함과 동시에 시기별로 변화해 움직이는 모습을 연구했다. 그 결과는 15세기에서 지금에 이르는 때매김법사 연구인 ≪국어 때매김법의 변천사≫(1987)에 정리되어 있다. 그 이후 선생은 국어 문법사 연구의 방법을 수정하여, 세기별로 공시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의 모습을 추적했는데, 그 첫 결실은 16세기 국어 문법의 공시적 기술과 그 15세기로부터의 변화를 다룬 ≪16세기 우리 옛말본≫(1989)과 ≪15·16세기 우리 옛말본의 역사≫(1991)로 나타났다.
지은이 : 권재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동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역임,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 국어심의회 위원, 남북공동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장, 국립국어원 원장, 한글학회 회장 역임.저서로 <한국어 문법론>,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사강의>, <세계언어의 이모저모>, <남북언어의 문법 표준화> 등이 있다.
말이란?
1. 말의 정의
2. 언어기호의 성격
3. 말의 개별성과 사회성
언어의 정태와 진화
1. 정태와 진화
2. 정태와 진화의 연구
3. 정태와 진화 연구의 의존성과 독자성
말의 소리 1 (음성학)
1. 음성과 음성학
2. 음성기관
3. 자음
4. 모음
5. 소리의 세기, 높이, 길이
6. 음절
말의 소리 2 (음운론)
1. 음성과 음운
2. 음성학과 음운론
3. 음운의 대립 관계와 결합 관계
4. 음운 분석
5. 운율음운
의미 (의미론)
1. 의미와 의미론
2. 단의, 유연성과 무연성
3. 복의
4. 반대어
5. 어휘의 구조
문법
1. 문법과 문법학
2. 문법학의 두 부문
3. 형태론
4. 통사론
5. 문법범주
문자
1. 문자의 발생
2. 중국 문자
3. 한자의 표음문자화
4. 이집트 문자의 표음문자화
5. 훈민정음
말의 변함 1 (소리의 변함)
1. 통합적 관계로 일어나는 변화
2. 연합적 관계로 일어나는 변화
3. 그 밖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변화
말의 변함 2 (의미의 변화)
1. sense 사이의 관련성으로 일어나는 의미 변화
2. name 사이의 관련성으로 일어나는 의미 변화
3. name과 sense의 동시적 관련 의미 변화
언어의 비교
1. 언어의 친족관계
2. 친족관계의 증명-대응의 통칙
3. 공통조어의 복원
4. 언어의 계통적 분류
방언
1. 방언
2. 방언지리학
언어학의 발자취
1. 18세기까지의 언어 연구
2. 19세기의 역사-비교언어학
3. 20세기의 언어 연구
해설
엮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