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리아
저자는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성해석을 주제로 박사학위(Ph. D.)를 받았으며, 서울신학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 가르쳤다. 그녀의 관심은 영성을 일상의 삶에서 누리고 실현하도록 가르치고 돕는 일, 영성적 교육과 문화를 결합하여 복음의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다. 현재 나다공동체의 대표로, 복음과 영성을 다양한 장르의 저술로 표현하며 새로운 시대의 대안적 교육의 장을 준비하고 있다.지은 책으로는 『영성, 삶으로 풀어내기』(우수학위논문상), 『비극을 견디고 주체로 농담하기』(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 『내일의 종교를 모색하다』(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 『자유의 영성』(문화진흥원 이북지원), 『광야에서 부르는 노래』(사순절 묵상집), 『영원의 사랑이 시작되다』, 『욥, 모든 질문이 사라지던 날』, 『우리의 크레도』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사랑의 신학』(제디스 맥그리거), 『뇌와 종교교육』(제리 라슨)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통합적 영성의 현상과 과정에 대한 연구」, 「무의 몸-되기를 통한 신학과 과학의 연대: 신비의 근원과 탈 영토화된 몸 안에서 만나다」, 「침묵하는 자에서 코레의 복원가로」 등 다수가 있다.
Prologue : 프롤로그
《삶은 어떻게 차원을 달리하는가》
Confession : 고백
1. 끝없이 샘솟는 현재와 만나다
2. 유력의 카르마를 넘어서다
3. 이토록 선명한 관찰자 - 갇힌 세계를 바라보다
4. 승복 - 자기애의 내러티브가 죽다
5. 나는 우리다
Preface : 서설
1장. 심드렁한 삶을 깨우다
1. 무한 자기 회로 - 에코 챔버에 갇힌 사람들
2. 생생함의 실상 - 보이지 않는 룰과 파동 에너지
3. 갇힌 상을 넘어서 - 개 상(像)을 벗다
4. 자유를 기다리며
2장. 삶에 ‘숨은’ 보석을 발견하다
1. 길목의 재발견 - 타지만 타지 않는
2. 욕구의 재발견 - 심연의 좌표
3. 자기부정의 재발견 - 정직한 숭고
4. 성장의 재발견 - 중력의 견인적 돌파
5. 수동성의 재발견 - 차원 다른 부등호
6. 이분법의 재발견 - 생명의 법 vs 사망의 법
[네 힘, 마당, 차원]
Part 1. 유, 던져진 세계의 불안과 주름
1장. 유와 은폐된 마당
1. 유, 유력이 작동하는 평면 마당에 던져지다
2. 주름이 잡히던 날 - 입체 마당을 감지/모방하다
3. 제국을 지탱하는 우상신들
4. 현대 유력 시스템의 설계
5. 욕망을 질량화하는 초감각 시뮬라시옹
2장. 유력의 희망
1. 유력, 그럼에도 불구하고
2. 탄원이 시작되다
3. 두 차원의 경계에 예언자가 준비되다
Part 2. 무, 모든 것의 기원이자 분기점
[태초의 무, 만물의 움브]
1장. 이토록 위대한 무
1. 마당의 낯선 얼굴 - 납작한 평면이 아니었다고?
2. 신론의 논쟁과 선재성의 차원
3. 일치와 하나 그리고 무: 신비주의의 함의와 함정
4. 다시, 근원적 양가무와 삼위의 일체를 통한 창조로
5. 차원적 질서와 ‘잠재적 악’로서의 어둠
2장. 양가무로 다시 보는 태초의 기원
1. 창조, 근원적 양가무의 오케스트라
2. 빛과 어둠의 계보: 일치의 상응 각도와 불일치
3. 보시기에 좋았더라 - 빛의 경계: 공명과 공진의 상응 일치
4. 창세기 1-3장의 신정론적 재구성
5. 무의 마당에서 공명하고, 차원에서 공진하다
- 동서 사유의 양가무적 통합
3장. 과학과 양가무
1. ‘과학과 신학’의 대화: 무의 과학과 영성 신학
2. 양가무의 접속 지점: 유-무-용-영과 자기 초월적 비움의 구조
3. 폰티스 영성의 가능성
4. 통합의 중심은 관찰하는 인간 - ‘신비적 인간’이라는 통로
5. 기도와 물리적 리얼리티의 인터페이스
6. 스스로 있는 세계를 흔들다: 진짜 믿음
7. 현대 물리학에 신학적 상상력을 입히다
4장. 현상학과 양가무
1. 무를 마주하는 인간
2. 다차원의 겹친 세계와 무의 마당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3. 5인의 현상학자를 무의 마당에 초대하다
4. 무의 몸과 영의 현상학
[‘유-무-용-영’에서 ‘영-무-용-유’로]
5장. 영적 지도의 현상학
1. 영적 지도의 현대적 원리
2. 전적 신뢰, 빛과 어둠으로 조각 당하기
3. 진정한 갈망과 소명 자리 발견하기
4. 멈춤과 관찰의 힘 기르기
5. 화두 일으키기와 줄탁동시
6. 무의 공명과 기도: 침묵과 발화 사이의 존재 구조
7. 방어 기제의 특징을 분별하고 신뢰로 내려놓기
8. 무와 만나, 어둠과 빛 사이에서 조각된 영혼들
[무의 마당: 하나님의 “좋다” 하심을 향한 전환]
Part 3. 용, 공동체의 자기조직화
[용의 공동체 - 등불을 든 사람들]
1장. 용의 자기조직화 원리
1. 태초의 자기조직화: 일곱 날들의 차원과 질서의 위임 구조
2. 근원적 마당들의 등장과 (영-무)-용의 구조
3. 자기조직화의 이중 구조: 마당과 용, 바탕과 내용의 교차점
4. 일치의 구조와 자유의 타자적 긴장
5. 자기 초월적 케노시스: 존재의 생성 구조와 영적 전환의 길
2장. 용 마당의 전환과 진입 요소들
1. 예외 상태의 재정의
2. 생명 공동체의 예외 상태
3. 신성 참여: 배제된 생명이 아바드의 참여자로
4. 무유: 미드바르에서 사는 법
5. 일치 - 임재와 조화
3장. 공동체의 자기조직화 차원
1. 구약 - 율법 공동체의 자기조직화
2. 구약과 신약 공동체의 자기조직화 차이
3. 전환의 접속면 - 구약과 신약 사이의 역사적 예수 공동체
4장. 어둠의 자기조직화
1. 불완전한 창조의 이유, 인간의 자유와 책임 실현
2. 신에 대한 뒷담화, 위험한 전복: 영과 분리된 정신이 주인이 되다
3. 어둠의 분기점 - 동서양 차이
4. 차원을 품는 통합: 존재를 견인하는 은총과 자유를 존중하는 분리
5장. 내부의 정화와 외부의 전쟁
1. 내부의 정화 - 주체성의 오만과 부재 불안의 대체
2. 외부 전쟁 - 결별과 횡단, 악으로 무르익은 진들
Part 4. 영, 근원적 인간, 근원적 시대를 바라보며
[신의 정원에서 - 주의 고백 그리고 위임]
1장. 해석을 넘어 영적 조명으로
1. 거절만 않는다면, 모두를 살리는 영
2. 해석을 넘어 조명의 빛으로: 종교에서 영성으로
2장. 되기에서 존재-이기로
1. 생성적 되기에서 무를 넘어선 영으로
2. 되기와 이기 사이: 영적 존재들
3. 되기와 이기 사이: 죄와 영적 전쟁
4. 되기와 이기 사이: 죄와 우상의 세속성을 이기고
5. 되기와 이기 사이: 도강과 할례의 공동 기억
3장. 비로소 천국
1. 내면성과 공동 감각, 기도의 집
2. 근원적 예배자로
3. 진정한 시간과 공간을 살아내는 공동체
4장. 육화의 삶: ‘영-무-용-유’ 영성 공동체의 삶
1. 내재적 유토피아
2. 다양한 차원들의 조화와 다스림
3. 도시 설계와 영-무-용-유의 공간
4. 네 힘의 생명력과 리더십: 영-무-용-유의 네 힘이 조화된 인간
5. 일상의 영성과 헌신, 기쁨으로서의 일
[폰티스-나다(근원적 무)의 차원들과 독백]
1. 근원(Fontis): 나는 나다 - 유일한 자존자의 온전한 내어줌
2. 태초의 무(Todo Nada) - 근원적 움브의 양가적 시원
3. 삼위일체적 양가무(Trinitarian Nada) - 내재적 삼위일체의 공명과 공진
4. 어둠 지향의 무(Nada of Dark Intentionality) - 근본적 악의 지향성
5. 차원 경계적 양가무(Dimensional-Liminal Nada) - 다차원적 반복과 차이
6. 신의 생명이 내재한 무의 몸(Zoe Nada) - 그리스도 안
7. 영성 공동체
Epilogue : 에필로그
《신의 정원에서: 주께서 돌보시고 부르시는 밤》
찾아보기 | 주제
찾아보기 | 인명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