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999년 《시안》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한 오창렬 시인의 세 번째 시집 『그러니까 나는 지금 사랑하는 사람일까요』가 시인동네 시인선 260으로 출간되었다. 오창렬 시인에게 시는 자기 안에 침묵하고 있는 이방인, 즉 자기 본성을 ‘겨우’ 고백하는 예술이다. 하여 오창렬 시인의 시는 ‘나’로 살아가는 긴 여정의 계곡을 휘돌아 낭떠러지를 마주하는 순간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응시하고, 그 물음에 스스로 응답하려는 침묵의 고행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고행이 언제 끝날지, 그 끝에서 발견한 ‘나’의 모습이 어떨지 지금으로서는 확언할 수 없다. 그렇지만 오창렬 시인이 침묵의 시 쓰기를 멈추지 않는 한 그 고행의 끝을 볼 것이고, 반드시 득우의 순간이 찾아올 거라고 믿는다.
출판사 리뷰
[해설 엿보기]
오창렬 시인의 시집 <그러니까 나는 지금 사랑하는 사람일까요>를 앞에 두고 나는 ‘나’와 ‘사랑하는 사람’ 사이의 부조리함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사랑하는 사람’은 ‘나 자신에게는 영원히 이방인’이자, ‘나’의 정체성을 서술해 줄 수 있는 존재다. 이방인을 향한 의식은 ‘나’에게 몸이 있다는 감각만큼이나 명징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나’는 언제나 이방인의 시선을 의식할 수밖에 없고, 그러한 시선의 탐색적 대상인 ‘나’는 때때로 경건해지거나 왜소해지기도 한다. 언제 어디에서든, ‘나’를 향한 이방인의 시선 속에서 ‘나’는 존재한다는 것. 그렇다면 이방인으로서의 자기 응시 윤리가 오창렬 시인의 시에서 자주 목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점심도 한참 지났는데 가슴 한구석이 몽글거린다
누르면 천 원이 기부된다는 버튼 앞에서
마음을 내려다 거두었던 아침 일이 잊히지 않는다
줄기에 박힌 옹이를 본 적 있다
꽃을 피우고 싶던 꿈과
이파리도 피우지 못한 절망이
함부로 뭉개진 상처를 본 적 있다
봄나무가 마음을 보내는 가지마다
노랑으로 분홍으로 또 연두로 세상 푸지게 흐드러지는데
버튼 너머로 흘러가지 못한 마음이 휘돌다
내 가슴 한구석에서 소용돌이쳤던가
흐르는 마음 젖이 되고 꿀도 되어
꽃송이 송이마다 향기도 마알간 봄날
나는 겨우 옹이를 위무하던 목수의 대패질을 떠올렸다
몽글거리던 후회를 어루만져 무늬가 될 무렵
저녁이 와서 헐렁한 내 삶을 조이는 옹이를 꿈꾸었다
― 「옹이」 전문
이 시에서 “누르면 천 원이 기부된다는 버튼 앞에” 놓였던 ‘나’와 그 사실을 뒤늦게 떠올리는 ‘나’는 부조리한 관계를 형성한다. 부조리함의 발견은 “점심도 한참 지났는데 가슴 한구석이 몽글거”리는 자기 응시를 통해 이루어지고, 그럴 때 이상하게도 기부 버튼 앞에서 “마음을 내려다 거두었던 아침 일”은 스스로에게 낯선 상황으로 다가온다. 아침의 ‘나’는 점심 무렵이 되면 벌써 이방인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절연의 순간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이 부조리한 상황과 맞서는 우리의 상상적 화해 의지인데, 그러한 의지를 실현하는 활동이 예술이라는 건 앞서 언급한 바 있다. 그러니까 시적 창조의 순간은 자기 절연의 부조리를 발견함으로써 발생한다는 것.
오창렬 시인은 이 지점에서 서정시의 규율을 소환한다. ‘나’에게 주어진 부조리한 사태로부터 “줄기에 박힌 옹이” 쪽으로 시선을 옮겨 디딤으로써 객관적 상황을 만들어낸 것. 이 같은 비유적 상상력을 통해 ‘나’는 부조리와 일정한 거리를 만들어내는데, 그것은 부조리에 매몰되지 않으려는 ‘나’의 의지를 드러내는 일이다. 이제 시는 ‘나’로부터 ‘옹이’로 전환된다. 오창렬 시인에 따르면 ‘옹이’는 “꿈”과 “절망”이 “함부로 뭉개진 상처”다. 그 상처는 시의 막바지에 이르러 “몽글거리던 후회를 어루만져 무늬”가 되고, 그러한 무늬로부터 “헐렁한 내 삶을 조이는 옹이를 꿈꾸”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이렇듯 ‘나’의 사태를 ‘옹이’의 사태로 전환하고, 최종적으로 두 사태의 변증법적 통합으로 마무리하는 서정시의 규율은 ‘나’로부터 절연된 존재의 부조리를 해소하려는 상상적 실천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 문신(시인·문학평론가)
미륵사지 가는 길에 나를 만났다
나는 길목에서 마을을 기웃거리고 있었다
갈 길 바쁜 줄 모르고
눈비 몰려오는 줄도 모르고
미륵사지 다녀오는 길에도 나를 만났다
나는 집으로 가는 길을 잃고 헤매고 있었다
날은 저무는데
눈비조차 내리는데
― 「돌부처」 전문
저녁이 소를 몰러 갔을 때
골짜기에는 침묵 한 마리가 서 있었다
말뚝에 묶인 채 우두커니 서 있었다
풀을 뜯는 동안 초록의 피도 낭자했을 것이나
소란까지 모조리 뜯어먹고 침묵은
소처럼 몸집이 컸다
소를 만나러 다가갔을 때
커다란 침묵 속에서 소는 풍경 소리를 들려주었다
풍경 소리 틈으로 재빨리 손을 집어넣으며
소를 데리고 나올 때 잘하면 침묵을 만져볼 수도 있으리라
저녁은 잠시 설레기도 했으나
침묵을 만지지 못하고
소를 만나지도 못하고
숲이 거대한 짐승으로 변하기 직전에야
저녁은 겨우 고삐를 수습하여 집으로 돌아왔다
침묵 한 마리가 마당에 들어서자
집도 우두커니 서서 밤새도록 생각이 깊어졌다
― 「침묵을 몰고 오다」 전문
기다리던 책 출간 소식을 보였더니
와, 예쁘다! 산뜻한 표지 사진에 감탄하던 아내는
당신 이름이 없네~ 금세 어두워진다
내 자랑이 잠시 무안해지는 틈으로
반가움이 서운함과 실망으로 급강하한 맥락을 보니
아무개, 아무개, 하며 예닐곱의 내로라하는 시인들을
열거하고 내 이름은 등(等)자에 숨겨놓았다
등(燈)이 내 별호잖아, 되잖은 농으로 무안함을 달래두고 나는 잠겼다
저 내로라하는 이름들이 영롱한 불꽃 같으니
저 찬란의 주위를 두르는 일 또한 귀하지 않은가,
하여 나는 등 아니라 등피여도 좋겠다
불꽃을 감싸 어둠을 밝히면 등피까지가 등불 아닌가,
궁리하는 내 안에 거짓말처럼 등불 하나 켜져
무안을 자랑으로 말갛게 헹궈놓는 것이었다
― 「등」 전문
작가 소개
지은이 : 오창렬
전북 남원에서 태어나 전주에서 살고 있다. 1999년 《시안》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집 『서로 따뜻하다』 『꽃은 자길 봐주는 사람의 눈 속에서만 핀다』 미디어북 콘텐츠 『물방울의 자세』 등을 펴냈다. 짚신문학상(2008), 불꽃문학상(2018), 석정촛불시문학상(2023)을 수상했다.
목차
제1부
돌부처•13/침묵을 몰고 오다•14/물방울의 자세•16/뿌리•17/완두콩 까는 저녁•18/거대한 잠•20/낙엽•22/도통, 혹은 백발을 위한 변명•23/조연•24/옹이•26/못•28/등•29/보물•30/이별에 연습은 없다•32/행복•34
제2부
너의 언어는•37/칠흑 속의 꽃나무•38/교차로•39/없으면서도 또렷한•40/빈집•42/첫사랑•43/한참 멀었다•44/하늘이 장마를 놓아•46/소속•47/작은 집•48/데미샘에서 돌돌 달아난 물은•50/나는 옛사람의 시구나 적어 보내고•51/바보•52/북쪽의 마음•54/방파제•55/다리•56/바다가 무장 푸르러지는 이유•57/모서리•58
제3부
돌탑•61/저녁 햇볕이 양말을 지어•62/붉은 발자국•64/보여주는 대로 보지 못하고•65/별밭•66/향기의 사이클•68/노안(老眼)•70/새끼•72/붉은 토마토•73/서로의 달•74/노가리•76/사랑의 역사•78/꽃불•79/소파•80/봄은 내 안에 뿌리를•82/불면•84/나무의 입•86
제4부
등불•89/품격•90/오래된 우표 한 장•91/빈손일 때•92/갈대•94/풍류•95/명옥헌(鳴玉軒) 배롱나무•96/어떤 수확•98/매미가 묻다•100/경칩 무렵•101/용굴암 일지(日誌)•102/종소리•104/생일•106/오리무중•107/중력•108/토종•110
해설 문신(시인·문학평론가)•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