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김현주의 시세계는 현실의 결을 외면하지 않는 투명한 언어에서 비롯된다. 그의 시는 인간의 상처와 그에 대한 위로를 동시에 품어낸 진정성의 기록이다. 이번 시집에서는 낡고 아픈 삶의 무늬를 덮지 않고 그 깊이를 경쾌하면서도 섬세하게 변주하고 있다. ‘우리’를 넘어 ‘그들’로 불리는 존재자들의 어두운 현실과 슬픔, 그 안에 깃든 연대와 치유의 목소리를 포착하면서, 이를 일관되게 ‘투명성’이라는 미학적 태도로 수렴해 낸 것이다. 이러한 시적 태도는 단순한 공감에 머무르지 않고 문학의 자기 갱신과 울림의 바탕이 되고 있다 할 것이다.목련빌라꽃피는 동안만 풍경이 되는 동네, 지상에 세 들어 살다 보면 도장 찍을 일이 참 많습니다, 쪽, 쪽, 쪽, 오늘은 쪽수가 많군요이쪽저쪽으로 날아다니는 것은 벌들의 오랜 습성이라,연분홍 새 전단지가 봄바람에 휘날리는 춘화(春畵) 같은 골목은 한창 성업 중입니다한 잎 지고 나면 다시 한 잎이 돋는 목련의 직거래, 이 봄을 담보로 너의 새 입술을 대출받을 수 있을까마지막 불꽃이 튀듯 쪽, 쪽, 쪽, 만화방창에 걸려든 벌 떼들이 진땀을 흘리며 고쳐 쓰는 불온한 문서, 양쪽에 서명날인만 잘하면 이 봄도 무사할 것 같습니다만 날인하지 않는다 하여 꽃피는 일을 주저하지는 않겠습니다만노리개를 반쪽으로 갈라 증표로 쓰듯이 영혼까지 끌어 1,139개의 깡통에 불도장을 찍듯 아으, 궁창에 가득한 왕들깜박 졸다 펴본 뜨겁던 혀들의 저 감각적 일치 몸으로 간음한 저들의 죄는 일곱 번이라도 용서할 수 있지만입으로 간인(間印)한 저들의 죄는 다시 용서할 수 없지만도홧빛 혀 사이에 끼어 까맣게 타 죽어버린 벌새처럼 반지하 창틀에 끼어 울고 있는 봄비, 첫 쪽을 넘겼을 뿐인데 붉은 입술을 다 써버렸습니다.
해바라기 소년탕탕, 기습작전처럼 바람은 세차게 분다 무너진 담장에 깃든 찌르레기가 운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을 부적처럼 움켜쥔 저 울음은 난파선처럼 내게로 떠밀려온다지옥에 가깝게 재생되는 공중파 화면 속, 캄캄한 복도 끝에서 창밖을 내다보던 아이, 핏빛 태양은 까치발을 하면 닿을 듯까만 씨앗으로 여물어지던 정수리가 뜨거웠다너 가짜야, 진짜야, 읍내 이발소나 화장실에 걸린 해바라기 그림이 진품일 리는 없다, 공습경보를 따라 흔들리는 폐허의 마른 줄기, 마른 지푸라기처럼 우는 핏덩이를 입에 문 저 새는 어느 영생을 찾아 헤매나, 탕탕, 전쟁놀이는 열방의 패권과 다툰다 파도에 떠밀려 온 갓난아이 울음은 손바닥만 한 방패, 저 울음은 어느 날 갑자기 커진 것 아니다 아이가 늙는다고 소멸될 것이 아니다신들의 떼창이 진흙처럼 밟히는 저 가자지구공중 투하된 자비의 만나는 주방의 홀로코스트, 펄펄 끓는냄비 손잡이를 살짝 놓친 0.3초의 순간, 쉿, 소리에 놀라 얼른 귓불을 만졌을 앳된 소년의 죽음에는 노란 꽃받침이 없다, 불타는 증오를 한 잎 한 잎 떼어버린 듯 차가운 아이 손을 움켜쥔 아빠의 울음은 전신화상으로 쓰리다눈을 크게 떠도 보이지 않는 슬픔의 여백,할 수 없이, 불타는 지구는 지금 검은 해바라기를 들고 전전긍긍할 수밖에.
끝물예쁜 종 모양의 상록수, 스파티필룸, 뭉치듯 흩어지다가 마침내 꽃들이 핀다 운신할 공간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가지를 치다가 1cm만 더 밑으로 허리가 잘렸더라면 아기집을 잃을 뻔했는데 난산인 듯 하얀 피를 뚝뚝 흘리고 있는 상처의 꽃, 깨우침이 눈부시다왜 이렇게 힘들게 사느냐고, 여긴 꽃길이 아니라고, 선택조차 버거운 지하 방 홀로 험한 시절을 엿본 듯, 하늘을 믿고, 땅을 믿고, 은혜의 단비라는 말을 믿고 제 살을 뜯어 먹이며 떠내려가는 우렁각시의 심정을 지상의 사람들은 알기나 할까더위도 잠시 휴전을 알리는 듯 7월도 끝 무렵인고의 원칙을 지킨, 정신의 무늬기운 햇살 한 꼭지 지하로 내려와 분만촉진제라도 놓는지쉿, 숨죽인 문밖오메, 우리 어매, 시 낳고 계셨네!책상다리로 끙끙 앓고 있는 여든의 채순 여사, 모진 삶의 품격이 여기에 있었다는 듯밤공기를 뒤흔드는 만삭의 붉은 시편들 당신을 오래 읽다 보면, 어떤 것들은 맑은 영혼을 갖게 돼, 그건 아마 생명의 소멸에 대한 암시이기도 해서 끝물인 내 몸에서도 한 움큼의 마른 이슬이 뚝뚝 진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현주
전북 전주 출생. 2007년 『시선』으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페르시안 석류』 『好好 해줄게』 『유채꽃 광장의 증언』이 있다. 숲속의 시인상, 시인들이 뽑는 시인상 등을 수상했고, 2023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2018년, 2021년, 2025년 인천문화재단 예술지원금을 수혜했다.
목차
● 시인의 말
제1부 뒤꿈치를 든 저녁
발바닥유적G 14
매화나무서사체 16
목련빌라 18
사과의 송사를 위하여 20
느티나무 그늘은 매우 맑음 22
흔들어 보는 이유 24
Mr. 한제르의 손 26
레몬의 감정 28
큐브 30
아무르의 크리스마스 32
공회전 34
키싱피시 36
너무 많은 첫눈 38
반반치킨은 이중감정 40
제2부 신들의 떼창
마더 44
아야, 한술 뜨고 가거라 46
이끼 48
삭제된 페이지 50
진흙 오리 구이 52
수련의 새벽 54
라이브 플러킹Live plucking 56
후드경전經典 58
해바라기 소년 60
키오스크, 키오스크, 바그다드 키오스크 62
창밖의 아프리카 64
신선마트 66
타임 슬립Time slip 68
제3부 야옹, 소나기의 시린 오줌발
회전초(Tumbleweed) 72
돌나물연가 74
지렁이의 눈웃음 76
리기다소나무는 눈물이 한 상 78
찍소리 80
싱싱한 구두 82
버드스트라이크 84
사라진 결심 86
창밖에는, 보랏빛 디퓨저 88
지금은 매우 감정적 90
디스토피아 92
금줄 94
금샘탕 96
제4부 양팔을 흔드는 시간의 어깨
칸나의 시계 100
1분의 길이 102
호버링Hovering 104
공진共振하는 벽시계 106
친절한 프롬프터 108
자라지 않는 아이 110
바나나는 길어 112
월흔月痕 114
단종斷種애사 116
안내안전문자 118
끝물 120
다초점 나비 122
그렇게 분홍 124
▨ 김현주의 시세계 | 염선옥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