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에세이,시
한강 문학 기행  이미지

한강 문학 기행
한강을 잇다
구름의시간 | 부모님 | 2025.10.25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2.8x19 | 0.338Kg | 260p
  • ISBN
  • 979119950020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한강 문학 기행』은 한강을 사랑한 독자들이 작가의 세계를 따라 걷고 사유한 시간의 기록이다. 읽기는 어느새 여행이 되었다. 『여수의 사랑』의 바다, 『소년이 온다』의 광주, 『흰』의 자작나무 숲, 『작별하지 않는다』의 제주 4·3까지. 책 속 장소를 걸으며, 독자들은 한강의 문장을 자신의 기억과 삶으로 다시 번역한다. 이 책은 한강의 작품 해설이 아니라, 문학이 우리에게 남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며, “함께 읽을 때 문학은 어떻게 살아나는가?” 그 물음에 대한, 열 명의 독자가 쓴 조용한 합창이다.

  출판사 리뷰

노벨문학상 1년을 기념하며, 한강의 문학을 잇다

『한강 문학 기행』은 한강을 사랑한 독자들이
작가의 세계를 따라 걷고 사유한 시간의 기록이다.
읽기는 어느새 여행이 되었다.
『여수의 사랑』의 바다, 『소년이 온다』의 광주,
『흰』의 자작나무 숲, 『작별하지 않는다』의 제주 4·3까지.
책 속 장소를 걸으며, 독자들은 한강의 문장을
자신의 기억과 삶으로 다시 번역한다.
이 책은 한강의 작품 해설이 아니라,
문학이 우리에게 남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며,
“함께 읽을 때 문학은 어떻게 살아나는가?”
그 물음에 대한, 열 명의 독자가 쓴 조용한 합창이다.

우리는 미래에서 온 독자였다.
마치 정답지를 손에 쥔 사람처럼,
작가의 첫 소설을 펼칠 때 이미 알고 있었다.
이 작가가 훗날 노벨문학상을 받으리라는 사실을.

「한강과 함께한 일 년」에서

한강과 함께한 지난 일 년의 기록

시작의 순간
2024년 10월, 작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그날은 한국문학을 사랑하는 우리에게 축제의 시간처럼 다가왔다. 기쁨을 나누며 우리는 ‘한강 읽기’를 다시 시작했다. 첫 작품집 『여수의 사랑』과 장편소설을 함께 읽으면서 한강의 시집, 산문집, 그림책과 그 밖에 비평집 등은 각자 읽었다. 그리고 감상 글을 쓰고 공유했다. 서울에서 제주까지 각지에서 사는 우리는 격주 금요일마다 줌으로 모여 밤늦도록 이야기를 이어갔다.

읽기에서 여행으로
읽기가 깊어지자,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로 발걸음을 옮기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작별하지 않는다』를 함께 읽은 뒤에는 제주 4·3의 현장을 찾았다. 읽기는 여행이 되고, 여행은 또 다른 글이 되었다. 혼자였다면 결코 닿지 못했을 길을 함께 걸으며, 읽기의 의미는 한층 더 넓어졌다.

문학과 삶을 잇는 길
2025년 여름, 열 명의 저자가 개별 문학 기행을 떠났다. 『여수의 사랑』의 여수와 소제마을, 돌산대교, 『검은 사슴』의 강원도 산간, 『바람이 분다, 가라』의 미시령 옛길, 『희랍어 시간의 화계사, 『소년이 온다』의 광주, 『작별하지 않는다』의 제주까지. 작품 속 풍경을 직접 보고 걸으며 문장을 새겼다. 주변부의 장소라도 나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곳이라면 모두 의미가 되었다. 미술 전시회에서 만난 『그대의 차가운 손』, 인제 자작나무 숲에서 떠올린 『흰』, 수유리 옛집과 독립책방 ‘책방오늘’로 이어진 발걸음까지, 읽기는 사람과 공간을 잇는 또 다른 여정이 되었다.

함께 읽기, 함께 쓰기
그렇게 모인 글은 한강 작품 해석이자, 열 명 저자의 내밀한 기록이다. 작가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시작해, 각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고 확장되었는지를 담았다. 문학이 던진 질문 속에서 우리는 머무는 힘, 멀리 보는 힘, 변화를 이끄는 힘을 발견했다.

당신에게로
『한강 문학 기행』은 한강의 문학이 촉발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문학은 결국 삶을 향해 열려 있음을, 함께 읽을 때 더 깊고 멀리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우리는 이 여정을 독자에게 건네고자 한다. 한강의 문학과 우리의 시간이 이어지듯, 이 책 또한 당신과 세계를 이어주는 다리가 되기를 바란다.

시작의 순간
우리는 ‘한강 읽기’를 다시 시작했다. 서울에서 제주까지 각지에서 사는 우리는 격주 금요일마다 줌으로 모여 밤늦도록 이야기를 이어갔다.

읽기에서 여행으로
읽기가 깊어지자,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로 발걸음을 옮기게 되었다. 읽기는 여행이 되고, 여행은 또 다른 글이 되었다. 혼자였다면 결코 닿지 못했을 길을 함께 걸으며, 읽기의 의미는 한층 더 깊어지고 넓어졌다.

당신에게로
『한강 문학 기행』은 한강의 문학이 촉발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문학은 결국 삶을 향해 열려 있음을, 함께 읽을 때 더 깊고 멀리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우리는 이 여정을 독자에게 건네고자 한다. 한강의 문학과 우리의 시간이 이어지듯, 이 책 또한 당신과 세계를 이어주는 다리가 되기를 바란다.

『여수의 사랑』에 담긴 풍부한 비유들, 슬픔을 안고 있는 여러 인물이 너무나 매력적이어서 홀딱 반해버렸거든요. 한참이나 늦게 작가님을 알게 되었다는 사실이 억울하기까지 했습니다.

동시대를 살고 있는 한강의 작품 목록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그의 문학은 현재 진행형이다. 작가의 작품을 조금 더 가까이 만나고 소설 속 장소를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이 여기 있다. 반드시 물리적인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강의 소설을 통해 나를 재해석하고 변화시킬 때, 그리하여 시간과 공간이 새로운 의미를 얻는다면, 한강이 곧 장소다.

여수의 시간은 더할 수 없이 아름다웠다. 정선과 자흔의 여수가, 나에게도 아픈 자리였던 오래된 여수가 참 다정하게 나를 품어주었다. 여행 내내 곳곳에서 친절한 사람들이 손을 내밀었고 나는 혼자서도 외롭지 않았다. 사는 일이 고단하거나 여행자의 우수에 젖고 싶을 때, 나는 다시 여수에 갈 것이다. 석양이 드리우는 시간, 여수에서 아름답게 물들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강효진
책을 읽다가 문장의 모퉁이에서 샛길로 빠지는 것이 특기,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을 일기장에 차곡차곡 수집해 두는 것은 오랜 습관이다. 에세이 『오늘도 나를 대접합니다』를 썼다.

지은이 : 김성민
잘 읽고 싶다는 말을 잘 살고 싶다는 말로 여기는 사람. 잘 읽고 싶어서 함께 읽으며, 쓰기를 통해 함께 읽은 시간을 기록한다. 지은 책으로 『아름답고 쓸모없는 독서』, 『고독은 연결된다』가 있다.

지은이 : 정원선
낮에는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밤에는 책을 읽으며 살고 있다. 문학이 주는 전율과 희열, 그리고 불편함마저 사랑하는 독자이다.

지은이 : 오교희
20여 년간 독서 지도를 했다. 뜰은 꽃으로, 방은 책으로 채우며 시골에서 산다. 언젠가 시집 한 권 엮는 꿈을 꾸며 어설픈 시를 짓고 있다.

지은이 : 홍현희
삶과 사람, 사랑을 믿는 마음으로 독서 지도를 20년 했다. 문학의 품에서 배운 위로를 나누려 지금은 문학치료를 공부한다.

지은이 : 신영미
올라온 길도 가야 할 길도 아득하다. 그저 내려가는 길이 순탄하길 바라는 사람이다. 함께 걷는 이들의 손을 잡아줄 수 있는 다정한 사람이고 싶다. 같이 읽고 나누며 사유할 수 있어 행복한 사람이다.

지은이 : 김원자
한강 읽기를 하는 동안 공허했던 마음이 회복되는 경험을 했다. 새로운 시작을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의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현재 출판사 <구름의시간>에서 발행과 편집을 맡고 있다.

지은이 : 민윤경
읽고 쓰는 것에 마음을 두고 살아간다. 클래식 음악이 주는 매력에 빠져 있다. 학교 도서관에서 초등학생들과 지내며 어린이의 삶에 관심이 있다.

지은이 : 장자순
행정직 공무원으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다. 지극한 정성으로 소설을 사랑하며 읽고 쓰면서 성장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지은이 : 류경림
전역 후 꿈꾸던 회사원이 되었다. 이제는 책을 30분 넘게 읽어도 졸지 않는다. 이 글을 쓰면서 용기가 아주 많이 필요했다. 그리고 여전히 부끄럽지만, 이 마음을 잊지 않고 살고 싶다.

  목차

00
드리는 편지
006 정원선 〈숲속 낭독회〉를 회상하며 한강 작가님께

01
들어서며
023 김성민 한강과 함께한 일 년

02
『여수의 사랑』
034 오교희 작품 소개_한강의 첫 마음
038 오교희 작품 리뷰_나는 다시 여수에 갈 것이다
047 오교희 작품 리뷰_가지 못한 소풍
052 여수, 한강이 다녀간 길


03
『검은 사슴』
058 김성민 작품 소개_젊은 마이스터의 탄생
063 홍현희 작품 리뷰_우리는 무엇을 지켜내고 무엇을 잃었는가
074 김성민 작품 리뷰_제주 바다
080 검은 사슴, 그 후에 걷는 길
084 제주 송악산 둘레길

04
『그대의 차가운 손』
090 신영미 작품 소개_가면과 진실
094 신영미 작품 리뷰_삶이라는 무도회에서
102 그대의 차가운 손, 현대 조각 앞에서

05
『채식주의자』
110 김원자 작품 소개_폭력과 아름다움 사이에서
113 김원자 작품 리뷰_ 제4의 시선
120 제주 비자림 숲에서 『채식주의자』의 영혜처럼 나무 되기

06
『바람이 분다, 가라』
126 민윤경 작품 소개_죽음을 응시하며 묻는 삶의 의미
130 민윤경 작품 리뷰_바람이 분다, 그 길로_미시령으로 가는 길
139 김성민 작품 리뷰_마크 로스코와 한강
144 미시령 옛길
146 수유리와 한강

07
『희랍어 시간』
152 강효진 작품 소개_연약한 존재의 아름다움
155 강효진 작품 리뷰_화계사에 비가 내리면
164 희랍어 시간, 화계사

08
『소년이 온다』
170 장자순 작품 소개_한강을 뛰어넘었다는 한강의 소설
174 장자순 작품 리뷰_오늘도 버스는 달린다
184 류경림 작품 리뷰_전역을 했다
194 소년과 작가의 길, 518버스

09
『흰』
202 김원자 작품 소개_당신에게 흰 것을 줄게
205 김원자 작품 리뷰_나의 흰 것들
208 김원자 작품 리뷰_백목련이 있는 언덕에서
211 김원자 작품 리뷰_얼굴을 감싸주었던 흰 새처럼
216 원대리 자작나무 숲
218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와 한강
220 ‘책방오늘’과 한강

10
『작별하지 않는다』
226 김성민 작품 소개_한강 소설을 이끌어가는 질문
230 김성민 작품 리뷰_잠들지 못하는 영혼을 위한 노래
240 제주4·3평화공원

11
나가며
244 오교희 우리들의 정원

248 한강 작가 연보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