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일본의 근현대 사회에서 신종교가 어떻게 등장하고 변모하며, 사회적 요구와 불안에 대응해 왔는지를 학문적으로 탐구한 저작이다. 저자는 다층적인 종교 전통 위에서 새로운 해석과 실천이 솟아오르는 과정을 사회학, 사상사, 문화연구의 렌즈로 분석한다.
책은 신종교의 출현을 단순히 이단적 사건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일본 사회의 위기와 갈등 속에서 나타난 응급적 ‘대응 기술’로 해석한다. 도시화, 산업화, 고령화, 그리고 자연재해와 경제 불황 등 거대한 변화 속에서 신종교는 개인에게는 심리적 위안을, 공동체에는 연대의 장치를 제공해 왔다. 동시에 옴진리교 사건 같은 비극적 사례가 보여주듯, 신종교는 위험한 폭력과 결합하기도 했다. 저자는 이러한 양면성을 회피하지 않고, ‘건강한 공동체’와 ‘위험한 폐쇄성’을 가르는 기준을 성찰한다.
출판사 리뷰
『일본의 신종교』는 일본의 근현대 사회에서 신종교가 어떻게 등장하고 변모하며, 사회적 요구와 불안에 대응해 왔는지를 학문적으로 탐구한 저작이다. 저자는 다층적인 종교 전통 위에서 새로운 해석과 실천이 솟아오르는 과정을 사회학, 사상사, 문화연구의 렌즈로 분석한다.
책은 신종교의 출현을 단순히 이단적 사건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일본 사회의 위기와 갈등 속에서 나타난 응급적 ‘대응 기술’로 해석한다. 도시화, 산업화, 고령화, 그리고 자연재해와 경제 불황 등 거대한 변화 속에서 신종교는 개인에게는 심리적 위안을, 공동체에는 연대의 장치를 제공해 왔다. 동시에 옴진리교 사건 같은 비극적 사례가 보여주듯, 신종교는 위험한 폭력과 결합하기도 했다. 저자는 이러한 양면성을 회피하지 않고, ‘건강한 공동체’와 ‘위험한 폐쇄성’을 가르는 기준을 성찰한다.
1부는 일본 신종교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며, 신앙이 시장·국가·사회라는 장(場) 속에서 어떻게 배치되는지 분석한다. 2부는 역사적 전개 과정을 추적하며, 제1차부터 제3차 신종교 붐을 다룬다. 3부는 옴진리교, 창가학회, 행복의 과학 등 주요 사례 연구를 통해 신종교의 구체적 양상을 살핀다. 4부는 신종교의 사회적 영향과 미래 지평을 논의하며, 종교와 정치·경제, 젊은 세대, 디지털 환경의 결합을 분석한다.
이 책은 특정 교단의 변호나 일괄적 비난을 피한다. 대신 투명한 거버넌스, 신자의 자율성, 외부 비판 수용, 폭력·혐오의 거부,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공동선의 기준을 제시하며, 신종교를 통해 현대 일본 사회와 우리의 문제를 성찰하도록 안내한다. 종교를 도덕판단의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사회적 기술과 관계의 인프라로 파악하는 이 책은 독자에게 종교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이다.
“근대와 탈근대의 경계에서 일본의 종교는 유난히 실험적이었다. 다신교적 토양 위에 신불습합이 오래도록 뿌리내린 사회에서 ‘새로움’은 곧 이단이 아니라 또 하나의 조화였다. 신종교는 전통과 혁신이 만나는 접합부에서 의례와 신념을 새롭게 배열하며, 개인에게는 상실과 불안을 치유하는 언어를, 사회에는 위험을 해석하는 프레임을 제공했다. 그러나 모든 의례가 따뜻한 연대만을 낳지는 않는다. 집단심리와 카리스마적 권위가 결합할 때, 의례는 폭력과 배타의 연료가 되기도 한다. 일본 현대사의 비극적 사건은 이 경계를 일깨우며, ‘건강한 공동체’와 ‘위험한 폐쇄성’을 가르는 기준을 묻는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진실
1970년생, 경북 출생, 2009년 박사학쉬 취득, 현재 페미니즘과 가족 문제 등 여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글을 쓰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5
1부 일본 신종교 연구의 이론적 기초 / 11
1장 신종교학의 발생과 이론적 틀 / 13
2장 일본 종교문화의 토양 / 27
3장 일본 사회와 종교의 긴장 관계 / 41
4장 신종교 발생의 사회심리적 배경 / 55
5장 일본 신종교 연구의 방법론 / 69
2부 일본 신종교의 역사적 전개 / 83
6장 근대 일본과 제1차 신종교 붐 / 85
7장 전후 일본과 제2차 신종교 붐 / 99
8장 경제 성장기와 제3차 신종교 붐 / 114
9장 21세기 일본 신종교의 다변화 / 128
10장 한국과 일본 신종교의 교차 / 142
3부 일본 주요 신종교의 사례 연구 / 157
11장 옴진리교 / 159
12장 창가학회 / 173
13장 행복의 과학 / 187
14장 파나웨이브 연구소 / 202
15장 MtoP와 새로운 종교 실험 / 216
4부 일본 신종교의 사회적 영향과 미래 / 231
16장 일본 사회와 종교 폭력 / 233
17장 신종교와 정치·경제 / 248
18장 신종교와 청년·여성 문제 / 263
19장 신종교에 대한 비판 담론 / 277
20장 일본 신종교의 미래와 세계적 함의 / 291
에필로그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