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한국민요춤  이미지

한국민요춤
퓨어풀댄스토리
도서출판 성득 | 부모님 | 2025.10.17
  • 판매가
  • 32,000원
  • 상세정보
  • 15x21 | 0.572Kg | 440p
  • ISBN
  • 979119810984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전통과 지역, 공동체와 교육을 아우르는 융복합 K-전통예술 콘텐츠 『한국민요춤』은 예술교육·창작공연·힐링 콘텐츠로 한국 전통춤의 문화적 확장을 실현한다. 전통의 몸짓에서 미래의 교육으로 이어지는 우리 고유의 생활예술로, 지역의 삶과 공동체 이야기를 품은 춤의 본질을 되살린다.

전국 각지의 민속놀이 24편을 분석해 공동체적 의미가 깊은 17개 움직임 모듈을 도출하고, 그중 유아와 시니어 교육에 적합한 8가지 모듈(거북춤, 지게춤, 논농사춤, 멸치후리기춤, 길쌈춤, 터다지기춤, 방아춤, 월월이춤)을 선정했다. 스토리·교육·공연·미디어를 결합한 All-Line 융복합 예술교육 콘텐츠로 재구성해 전통춤을 현재의 교육 현장과 창작 무대로 연결한다.

  출판사 리뷰

『한국 민요춤 퓨어풀댄스토리』는 전통과 지역, 공동체와 교육을 아우르는 융복합 K-전통예술 콘텐츠이다.
– 예술교육, 창작공연, 힐링 콘텐츠로 한국 전통춤의 문화적 확장을 실현한다.
- 전통의 몸짓에서 미래의 교육으로 이어가는 우리 고유의 생활예술이다.
“지역의 삶과 공동체의 이야기를 품은 춤, 전통과 교육 그리고 미래를 잇는 문화예술 콘텐
츠”
『한국 민요춤 퓨어풀댄스토리』는 전국 각지의 민속놀이 24편을 분석하여 공동체적 의미가 깊은 17개 움직임 모듈을 도출하고, 그 중 유아 및 시니어 교육에 적합한 8가지 모듈(거북춤, 지게춤, 논농사춤, 멸치후리기춤, 길쌈춤, 터다지기춤, 방아춤, 월월이춤)을 선정해 스토리 + 교육 + 공연 + 미디어를 아우르는 All-Line 융복합 예술교육 콘텐츠로 재구성했다.

이 책은 단순한 춤 지침서를 넘어 지역의 정체성과 공동체 정신을 되살리는 문화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한국 민요춤은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의 삶과 희로애락이 고스란히 담긴 소리와 노래, 즉 민요에 맞춰 추는 춤으로, 각 지역의 고유한 생활양식과 정서를 품은 몸짓 언어이 다. 민요의 리듬에 따라 펼쳐지는 춤사위는 자연스럽고 즉흥적인 움직임 속에 감정과 이 야기를 담고 있다. 이는 공동체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민속놀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신 체 표현 문화이다.

한국 민요춤은 사회 안에서 예술과 함께 향유하고 공존할 수 있는 연결고리인 ‘커뮤니티 스토리Community Story’가 담겨있는 중요한 역사적 사료이자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문화시대 흐름에서 우리 민족의 지역적 ‘로컬리티Locality’를 대표하는 중요한 창조적 원천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미영
국민대학교 교수이자 한국춤협회 명예이 사장으로서 한국 전통춤의 전승과 발전을 위해서 지속적인 공연과 교육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한국 전통춤의 확장 및 대중성을 위한 교육사업 일환으로 한국무용지도자자격 증을 인가하여 한국무용 교육계에 크나큰 성과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무용연구학회 회장 및 편집위원장을 역임 하면서 한국 민요춤의 문화적 담론이라는 주제를 통해 한국 민요춤의 보존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수행을 위해서 지 속적인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한국 민요춤 아카이빙 활 용방안 연구>와 <노년기와 유아기 세대통합을 위한 한국 민 요춤 All-Line 융합교육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 민요춤의 심 층적 연구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지은이 : 김유나
김유나, 이길현, 장이정, 정도이는 「노년기와 유아기 세대통합을 위한 한국 민요춤 All-Line 융합교육 연구」의 공동연구원, 한국 민요춤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여 노인, 유아, 성인 등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연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 춤의 고유한 정체성과 미학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공연과 교육을 아우르는 예술단체인 판댄스컴퍼니를 이끄는 주역들이다. 한국 창작무용의 미래들이다.

지은이 : 이길현
김유나, 이길현, 장이정, 정도이는 「노년기와 유아기 세대통합을 위한 한국 민요춤 All-Line 융합교육 연구」의 공동연구원, 한국 민요춤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여 노인, 유아, 성인 등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연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 춤의 고유한 정체성과 미학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공연과 교육을 아우르는 예술단체인 판댄스컴퍼니를 이끄는 주역들이다. 한국 창작무용의 미래들이다.

지은이 : 장이정
김유나, 이길현, 장이정, 정도이는 「노년기와 유아기 세대통합을 위한 한국 민요춤 All-Line 융합교육 연구」의 공동연구원, 한국 민요춤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여 노인, 유아, 성인 등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연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 춤의 고유한 정체성과 미학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공연과 교육을 아우르는 예술단체인 판댄스컴퍼니를 이끄는 주역들이다. 한국 창작무용의 미래들이다.

지은이 : 정도이
김유나, 이길현, 장이정, 정도이는 「노년기와 유아기 세대통합을 위한 한국 민요춤 All-Line 융합교육 연구」의 공동연구원, 한국 민요춤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여 노인, 유아, 성인 등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연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 춤의 고유한 정체성과 미학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공연과 교육을 아우르는 예술단체인 판댄스컴퍼니를 이끄는 주역들이다. 한국 창작무용의 미래들이다.

  목차

머리말 한국민요춤

1부 한국민요춤 모듈콘텐츠

1. 거북춤 모듈 :
➀ 거북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거북춤 민요
➂ 거북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거북춤 모듈의 구성- QR

2. 지게춤 모듈
➀ 지게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지게춤 민요
➂ 지게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지게춤 모듈의 구성-QR

3. 논농사춤 모듈
➀ 논농사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논농사춤 민요
➂ 논농사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논농사춤 모듈의 구성-QR

4. 멸치후리기춤 모듈
➀ 멸치후라기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멸치후라기춤 민요
➂ 멸치후라기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멸치후라기춤 모듈의 구성-QR

5. 길쌈춤 모듈
➀ 길쌈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길쌈춤 민요
➂ 길쌈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길쌈춤 모듈의 구성-QR

6. 터다지기춤 모듈
➀ 터다지기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터다지기춤 민요
➂ 터다지기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터다지기춤 모듈의 구성-QR

7. 월월이춤 모듈
➀ 월월이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월월이춤 민요
➂ 월월이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월월이춤 모듈의 구성-QR

8. 방아춤 모듈
➀ 방아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방아춤 민요
➂ 방아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방아춤 모듈의 구성-QR

9. 기우제춤 모듈
➀ 기우제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기우제춤 민요
➂ 기우제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기우제춤 모듈의 구성-QR

10. 액막이춤 모듈
➀ 액막이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액막이춤 민요
➂ 액막이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액막이춤 모듈의 구성-QR

11. 방죽춤 모듈
➀ 방죽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방죽춤 민요
➂ 방죽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방죽춤 도듈의 구성-QR

13. 서낭치기춤 모듈
➀ 서낭치기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서낭치기춤 민요
➂ 서낭치기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서낭치기춤 모듈의 구성-QR

14. 답교춤 모듈
➀ 답교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답교춤 민요
➂ 답교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답교춤 모듈의 구성-QR

15. 나룻배춤 모듈
➀ 나룻배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나룻배춤 민요
➂ 나룻배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나룻배춤 모듈의 구성-QR

16. 쇠부리춤 모듈
➀ 쇠부리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쇠부리춤 민요
➂ 쇠부리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쇠부리춤 모듈의 구성-QR

17. 도리깨춤 모듈
➀ 도리깨춤모듈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 ➁ 도리깨춤 민요
➂ 도리깨춤 모듈의 탄생배경 / ➃ 도리깨춤 모듈의 구성-QR

2부 한국민요춤 교육콘텐츠

18.거북토리
[유아콘텐츠] “거북아 거북아 뭐하니”
[시니어 콘텐츠] “오복주머니에 복을 담자”
19. 지게토리 “아리아롱 꽃지팡이를 찾아줘” “지게에 마음을 싣고”
20. 씨앗토리 “애들아! 씨앗을 심자” “감정의 씨앗을 심자”
21. 멸치토리 “어영차, 황금멸치야” “시간여행을 떠나요”
22. 옷토리 “둥당게당 옷을 만들자” “인연의 붉은 실을 따라”
23. 집토리 “야호! 집을 짓자” “으라차차, 몸을 깨우자”
24. 달토리 “야호! 집을 짓자” “으라차차, 몸을 깨우자”

한국민속놀이 영상 출처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