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음식을 통해 새삼 기억되는 추억의 제주 음식 이야기다. 이 음식을 먹으면서 어른이 된 작가는 세월의 더께가 내려앉은 음식을 그릇에 담고 사유와 성찰이란 양념으로 감칠맛 나게 끓이기도 하고 무치기도 했다.
아궁이에 묻은 세월의 때를 토해내듯 사라져 가는 제주 음식을 추억하고 삶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수필가이자 음식문화연구가인 오인순 작가. 그는 교직 생활을 마무리하고 음식 공부의 길을 나섰다. 제주에서 서울로, 대구로, 영양까지 날아다니며 제주 향토 음식과 약선 음식, 반가 음식을 배웠다. 그러면서 어린 시절 먹던 음식 맛을 기억하며 만들던 것들은 그에게 음식 이상의 것이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노래가 되고 이야기가 되고 고소한 향기가 나는 이 음식 이야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장으로 나누어, 봄에는 '당신의 달콤한 고백을 듣는 감자전' 등 9편, 여름에는 ‘어머니가 걸어온 길 마농지' 등 10편, 가을에는 '너럭바위에 핀 소금꽃의 경전 소금빌레' 등 9편, 겨울에는 '주름처럼 여울진 그 맛 돗괴기엿' 등 9편, 모두 37편이 담겨 있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의 글들은 음식을 통해 새삼 기억되는 추억의 제주 음식 이야기다. 이 음식을 먹으면서 어른이 된 작가는 세월의 더께가 내려앉은 음식을 그릇에 담고 사유와 성찰이란 양념으로 감칠맛 나게 끓이기도 하고 무치기도 했다.
아궁이에 묻은 세월의 때를 토해내듯 사라져 가는 제주 음식을 추억하고 삶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수필가이자 음식문화연구가인 오인순 작가. 그는 교직 생활을 마무리하고 음식 공부의 길을 나섰다. 제주에서 서울로, 대구로, 영양까지 날아다니며 제주 향토 음식과 약선 음식, 반가 음식을 배웠다. 그러면서 어린 시절 먹던 음식 맛을 기억하며 만들던 것들은 그에게 음식 이상의 것이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노래가 되고 이야기가 되고 고소한 향기가 나는 이 음식 이야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장으로 나누어, 봄에는 '당신의 달콤한 고백을 듣는 감자전' 등 9편, 여름에는 ‘어머니가 걸어온 길 마농지' 등 10편, 가을에는 '너럭바위에 핀 소금꽃의 경전 소금빌레' 등 9편, 겨울에는 '주름처럼 여울진 그 맛 돗괴기엿' 등 9편, 모두 37편이 담겨 있다.
편편마다 음식에 얽힌 작자의 사연이 함초롬히 녹아 있으며, 작자가 할머니, 어머니가 만드는 음식을 보고 배운 레시피가 맛깔스럽게 소개되어 있다. 일생 고단하게 살아오신 어머니의 밥상이 그리워지는 지금. 풀꽃처럼 떠오르는 그리운 어머니의 음식은 삶의 노래가 되어 추억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그가 희미해져 가는 기억 속에 묻힌 음식들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세상에 내보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제 입맛도 변하고 옛 음식은 사라지고 있다. 질리도록 먹었던 보리밥은 힐링 음식이 되고, 쌀밥은 어디서든 언제든 먹을 수 있다. 아궁이 대신 전기압력밥솥이 있어 가마솥밥은 하지 않아, 누룽지의 추억도 아슴아슴하다. 그래서 숙제를 해치우듯 만든 음식은 맛을 느낄 수 없어 아쉽기만 하다.
'작가의 말'에서 "음식은 배고플 때만 해소하는 것이 아니다. 영혼의 허기를 채우고 어떤 감미로운 기쁨이 온몸을 휘감는다. (...) 추억의 음식을 지난날에 대한 향수로 내 가슴에 담는다. 그 시절로 돌아가 마음으로 냄새를 맡고, 맛볼 수 있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라는 진심 어린 고백이 긴 울림으로 다가온다.
감자전 한 조각을 입에 넣는다. 바삭거리는 촉감과 찰진 맛이 혀끝에 달라붙는다. 남편도 입꼬리가 올라가며 배시시 웃더니 맛있다고 거든다. 막걸리 두어 잔 걸치고 나니 남편 얼굴에 홍조가 어린다. 희끗희끗한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며 내 손을 힘주어 잡으며 떨리듯 말문을 연다.
“남은 인생 선물이라 생각하자. 이젠 당신의 뜻대로 따르리라.”
느닷없이 그 말을 들으니 먹먹하다. 눈가에 맺힌 눈물방울 속으로 외롭고 고단했던 시간이 도미노처럼 무너진다. 대답은 하지 못했지만 나도 존경과 사랑으로 감자꽃의 꽃말처럼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하고 수줍은 새색시처럼 마음속으로 되뇌어 본다. (감자전에서)
머위쌈밥이 좋은 것은 겨울 언 땅을 뚫고 올라온 초록빛 생명으로 새 숨을 불어넣기 때문이다. 김이 모락모락 오르는 머위쌈밥을 맛볼 수 있다면 봄은 소박한 아름다움으로 물들 것이다.
머위 줄기를 삶아서 껍질을 벗긴 후 들깻가루를 넣고 볶아 주면 한 끼 반찬으로 봄 향기 가득한 식탁이 된다. 프라이팬에 들기름을 두르고 머윗대와 마늘과 간장, 육수 조금 넣고 볶다가 홍고추, 청고추, 양파를 넣어 조금 더 볶는다. 들깻가루와 대파를 넣고 섞어 국물이 걸쭉해지면 부족한 간을 소금으로 맞춘다. 머윗대의 쌉싸름한 매력적인 그 쓴맛은 이웃을 부르고 싶은 맛이다. (머위꽃된장에서)
오늘 저녁 메뉴는 애탕국이다. ‘나는 프로다’라고 생각하며 레인지 불을 켜고 애탕국을 끓인다. 간단한 음식이지만 마치 내가 대단한 음식 솜씨가 있는 것처럼 어깨가 으쓱해진다. 어쩌면 지금껏 맛보았던 수많은 맛뿐 아니라 추억 속의 뒤섞인 맛을 보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어린 쑥을 헹궈 내고 치맛바람 날리듯 숭덩숭덩 썬다. 곱게 간 소고기에 다진 파, 다진 마늘, 참기름, 소금, 후추 양념을 한다. 여기에 두부를 으깨어 썰어 놓은 쑥과 함께 동글동글하게 완자를 빚는다. 급해지는 마음을 완자로 굴리면서 어떤 기억을 버무려 넣을까, 잠시 생각한다.
깊이 묻어 두었던 초록빛 기억을 가만가만 물들여 본다. 내 아이들도 나처럼 추억할 만한 음식 하나, 특별한 음식 하나 가지게 될까? 완자에 눈가루 날리듯 밀가루를 뿌려 옷을 입히고 달걀물에 담근다. 냄비에 육수를 넣고 끓으면 완자를 넣어 동동 떠오르면 완성이다. 그릇에 담고 마름모꼴 달걀지단을 고명으로 올린다. “애탕국 대령이오!” 하고 한 그
릇 대접하면 겨우내 움츠렸던 몸에 활기가 되살아나리라. (애탕국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오인순
제주에서 태어났다. 제주대학교 가정교육과를 졸업하고 40여 년간 교사 생활을 했다. 음식과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건강학과,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 최초 한글 조리 백서인 장계향의 《음식디미방》 1급 과정을 마치고 약선음식과 건강에 관련한 강의를 여러 곳에서 해 왔다.2017년 《문학청춘》 신인상, 2020년 《에세이문학》 추천 완료로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수필집 《서리달에 부르는 노래》와 공저 《흔들리는 섬》이 있다. 탐라문화제 전국글짓기공모전 ‘한라상’, 한국해양재단 주최 ‘해양문학상’ 은상을 수상했으며, <서귀포신문> ‘문필봉’과 <제주헤럴드> ‘화요에세이’ 및 ‘오여사의 수랏간, 그 유혹’의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작가의 말 … 5
봄
당신의 달콤한 고백을 듣는 감자전 … 14
삶은 누구에게나 공평한가 머위꽃된장 … 20
어머니 품속처럼 깊은 맛이 나는 보말미역국 … 26
따뜻함으로 품어 주는 취나물국수 … 32
오랜 기억의 봄 향기가 날아드네 냉이된장국 … 37
나른한 봄날 생기 찾고 싶으면 시래기영양밥 … 42
먹고 나면 괜찮아질 거야 애탕국 … 47
대접해 주고 싶은 날엔 탕평채 … 52
삶의 짭조름한 문장 같은 미역국 … 59
여름
어머니가 걸어온 길 마농지 … 66
여름날의 어우렁더우렁 호박잎수제비 … 71
그리움은 왜 뒤늦게 오는가 자리돔구이 … 76
얼큰했던 아픔과 사랑의 그 냉면 … 82
달아오른 얼굴과 등판을 식혀 준 쉰다리 … 87
땀도 눈물도 보리꽃처럼 보리개역 … 92
조급하던 마음도 느릿느릿 서늘하게 초계탕 … 97
놓칠 수 없는 여름의 맛 상추쌈 … 103
열아홉 살 청무꽃이 핀 열무김치 … 109
어른의 맛으로 깨닫는 가지덮밥 … 114
가을
너럭바위에 핀 소금꽃의 경전 소금빌레 … 122
그날은 빙떡도 웃었다 빙떡 … 128
까칠하게 살아도 괜찮아 비빔밥 … 135
쉼표가 필요한 날엔 는쟁이범벅 … 142
결국 어머니의 맛으로 되돌아오는 토란조림 … 147
먹어서 즐겁고 불러서 즐거운 매작과 … 153
기다리는 법을 깨우치는 호박오가리짐너물 … 159
나의 소울푸드 양하버섯튀김 … 165
사바사바로 달랬던 감칠맛 고등어조림 … 172
겨울
주름처럼 여울진 그 맛 돗괴기엿 … 180
그리움만 드리워 놓고 떠난 국 … 185
겨울 냄새가 묻어나는 무밥 … 192
추억 없는 인생은 쓸쓸하잖아 고구마빼떼기 … 198
눅진한 정으로 죽을 쑤다 콩죽 … 204
이제는 찾을 수 없는 오합주 … 208
언제까지 그 맛을 기억할까 소복만둣국 … 214
반전의 빛날 날을 기다리며 치자단무지 … 221
리셋 인생을 꿈꾸며 삼겹살김치말이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