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백기찬
【학력】∙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졸업(B.Th.)∙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졸업(M.A. in Theology)∙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M.Ed.)∙ 미국 Truman College 수학∙ 미국 Garrett 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 D.Min. 수학∙ 미국 California Central University 졸업(Th.D.)【경력】∙ (현) 바른신학연구원 원장∙ (현) 한국연합신학원 원장∙ (현) 수도침례신학원 종신 교수∙ (현) 기독교한국감리회 감독∙ (현) 열방선교교회 담임【 논문 및 저술】∙ “웨슬리에게 있어서의 구원과 성령 이해.” 석사학위논문, 1980.∙ “존 웨슬리와 이용도 부흥운동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1984.∙ “A Comparative Study On General Ethics And Biblical Ethics.” Th.D. Dissertation, 2005. ∙ 『하나님의 감추어진 의도』, 꿈과 의지, 2007. ∙ “윤리와 언어.” 기독교언어문화논문집, Vol. 10, 2006. ∙ “신구약 성경에 나타난 구원 개념의 통일성과 연속성 연구.” 기독교언어문화논문집, Vol. 11. 2007. ∙ “하나님 나라와 언어.” 기독교언어문화논문집, Vol. 12, 2008. ∙ “하나님 나라와 음부에서의 구원.” 기독교언어문화논문집, Vol. 12, 2008. ∙ “The Kingdom of God and Salvation from Hades.” 기독교언어문화논문집, Vol. 12, 2008.바른신학연구원 유튜브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TZLJEdUOZKgXrMvh3nJ_NA 바른신학연구원 카페 주소: https://cafe.naver.com/rti9191
Ⅰ. 서론
A. 환단고기에 관하여
B. 인류의 시원에 관하여
Ⅱ. 한민족 상고사의 논쟁적 고찰
A. 한민족 상고사에 대한 역사 자료의 멸실
1. 사료의 압수
2. 사료의 소실
B. 한민족 상고사에 대한 역사 관점의 차이
1. 『삼국사기』의 폐해
2. 『삼국유사』의 폐해
C. 한민족 상고사에 대한 역사 해석의 왜곡
1. 중국의 국수주의적 역사 해석
2. 일본의 국수주의적 역사 해석
Ⅲ. 한민족 상고사의 성경적 고찰
A. 종교 진화론
1. 근대에 발견된 원시복음에 계시된 하느님 신앙
2. 종교적 본성에 따른 종교들의 거짓 하느님 신앙
B. 원시복음
1. 구약성경에 계시된 원시복음
2. 인류 초기 문명에 전파된 원시복음
3. 원시복음의 하느님 신앙과 이교주의적 조상신 숭배의 혼합주의
4. 또 하나의 선민, 욕단 자손
Ⅳ. 한민족 상고사의 역사적 고찰
A. 환국(桓國)
1. 환국의 정치
2. 환국의 종교
B. 배달국(倍達國)
1. 배달국의 정치
2. 배달국의 종교
C. 중국의 시조 삼황오제(三皇五帝)
1. 삼황(三皇)
2. 오제(五帝)
D. 고조선(古朝鮮)
1. 고조선의 정치
2. 고조선의 종교
E. 중국의 왕조 하(夏) ?은(殷/商) ?주(周)
1. 고조선의 제후국 하(夏) 왕조
2. 고조선의 제후국 은(殷/商) 왕조
3. 고조선의 제후국 주(周) 왕조
4. 공자의 ‘사서삼경’과 ‘군자의 나라’에 대한 그의 동경
Ⅴ. 한민족 상고사의 신학적 고찰
A. ≪천부경(天符經): 조화경(造化經)≫
1. 상경(上經). 삼신일체 하느님의 존재 방식
2. 중경(中經). 삼신일체 하느님의 창조 섭리
3. 하경(下經). 삼신일체 하느님의 구원 섭리
B. ≪삼일신고(三一神誥): 교화경(敎化經)≫
1. 제1장 허공(虛空: 기묘자)
2. 제2장 일신(一神: 유일신)
3. 제3장 천궁(天宮: 천국)
4. 제4장 세계(世界: 우주)
5. 제5장 인물(人物: 완덕)
C. ≪참전계경(參佺戒經): 치화경(治化經)≫
1. 제1강령 성(誠, 제1사). 6체(體) 47용(用)
2. 제2강령 신(信, 제55사). 5단(團) 35부(部)
3. 제3강령 애(愛, 제96사). 6범(範) 43위(圍)
4. 제4강령 제(濟, 제146사). 4규(規) 32모(模)
5. 제5강령 화(禍, 제183사). 6조(條) 42목(目)
6. 제6강령 복(福, 제232사). 6문(門) 45호(戶)
7. 제7강령 보(報, 제284사). 6계(階) 30급(及)
8. 제8강령 응(應, 제321사). 6과(果) 39형(形)
Ⅵ. 결론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