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50년 넘게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 소로가 1847년부터 2년 2개월간 월든 호수 근처에 오두막을 짓고 은둔하며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나’로 살아간 이 기록은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인문, 윤리, 생태 등 다방면의 주제를 품고 있어 쉽게 완독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이 이 고전을 자신만의 섬세한 언어로 풀어낸 『다시 만난 월든』을 선보인다.
이 책은 2022년 출간된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의 개정판으로, 정여울이 자신의 영혼의 멘토인 소로를 통해 도심 속 일상에서 주체적이고 건강하며 자연친화적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담은 에세이다. 여기에 소로의 고향인 콩코드 지역과 월든 호수를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내 소로의 흔적과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콘크리트로 점철된 도시에서 무한 경쟁에 내몰리며 과도한 노동과 불필요한 소비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틈도 없이 살았던 저자는 『월든』을 통해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삶을 어떻게 나답고 진정성 있게 살아갈 것인지 깨달아간다. 더불어 자연과 공생하며 살아간 소로의 삶을 살펴보며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덜 먹고, 덜 쓰고, 덜 버리는 생활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살면서 마주하는 수많은 난제를 소로의 문장을 빌려 풀어보고, 삶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는 소로의 삶의 방식을 자신만의 깊은 시선과 목소리로 녹여낸다.
출판사 리뷰
“나는 삶이 아닌 것은 살고 싶지 않았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
자기만의 ‘정원’을 잃어버린 우리들에게
작가 정여울이 건네는 『월든』으로의 초대장
“내가 읽고 쓰는 모든 것들 위에, 나의 월든은 피어나 있다.”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과 함께 읽는 『월든』
모든 장신구를 떼어내고 삶의 뼈대를 세운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지혜를 나누다 150년 넘게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 소로가 1847년부터 2년 2개월간 월든 호수 근처에 오두막을 짓고 은둔하며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나’로 살아간 이 기록은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인문, 윤리, 생태 등 다방면의 주제를 품고 있어 쉽게 완독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이 이 고전을 자신만의 섬세한 언어로 풀어낸 『다시 만난 월든』을 선보인다.
이 책은 2022년 출간된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의 개정판으로, 정여울이 자신의 영혼의 멘토인 소로를 통해 도심 속 일상에서 주체적이고 건강하며 자연친화적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담은 에세이다. 여기에 소로의 고향인 콩코드 지역과 월든 호수를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내 소로의 흔적과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콘크리트로 점철된 도시에서 무한 경쟁에 내몰리며 과도한 노동과 불필요한 소비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틈도 없이 살았던 저자는 『월든』을 통해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삶을 어떻게 나답고 진정성 있게 살아갈 것인지 깨달아간다. 더불어 자연과 공생하며 살아간 소로의 삶을 살펴보며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덜 먹고, 덜 쓰고, 덜 버리는 생활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살면서 마주하는 수많은 난제를 소로의 문장을 빌려 풀어보고, 삶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는 소로의 삶의 방식을 자신만의 깊은 시선과 목소리로 녹여낸다.
“내가 숲으로 들어간 이유는 삶의 빛나는 정수만을 간절히 체험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 처음으로 자기만의 월세방을 갖게 된 날, 고독을 필요로 했지만 그것이 삭막함으로 연결되자 당황스러웠던 저자는, 뜰이나 정원이 없는 답답한 공간에서 비로소 『월든』이 진정으로 마음의 문을 두드렸다고 고백한다.
자칫 홀로 숲으로 들어간 괴짜, 현실로부터 일탈한 자로 오해받기 쉬운 소로는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과 사람을 사랑했던 이였다. 『다시 만난 월든』에는 그런 소로의 삶을 찬찬히 깊게 들여다보고 소로의 문장 하나하나를 애틋하게 아끼는 저자 특유의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 본문 곳곳에 저자가 직접 다녀온 콩코드와 월든 호수의 풍경, 소로와 관련된 굿즈 사진 70여 장을 담아내어 생생한 현장감과 흥미를 더한다. 마치 정여울의 ‘월든 투어’를 독자가 함께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기에 책을 덮고 나서도 따듯한 여운이 남는다.
크게 2부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가지 방식의 『월든』 읽기를 시도한다. 1부에서는 열정, 용기, 고독, 존엄, 자유, 저항, 간결함, 치유, 희망 등 소로가 추구했던 삶의 가치를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교차하며 진솔하게 담아낸다. 2부에서는 생활경제, 인문학, 윤리학, 생태학의 네 가지 방향에서 『월든』의 문장을 직접 번역해 인용하면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소로의 말이 유효한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저자는 소로가 보여준 ‘자발적 가난’과 ‘자발적 은둔’이 우리에게 창조적 기쁨과 진정한 자유를 준다고 말한다.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는 현대인을 향해 소로는 소비를 향한 욕망 자체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기를 권한다. “소로는 자신의 꿈을 스스로 정하고 그 꿈을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데는 타인의 조언이 아니라 오직 자기 자신과의 대면만이 필요함을 알았다. 그것이 바로 소로 식의 명랑한 고독, 창조적 고독”이다(본문 214쪽). 월든 오두막을 통해 적정량의 고독을 쟁취해 낸 소로처럼, 『월든』을 통해 진정한 자존과 생명에 대한 깊은 사랑을 회복한 정여울처럼, 이 책은 독자들이 자본 바깥의 삶, 자신만의 가능성과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삶을 창조하는 데 길벗이 되어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당부한다. 이 책을 통해 소로와 자신의 외침을 들었다면 독자들 스스로 ‘자기 안의 월든’을 소중히 가꾸어가기를, 그것이야말로 우리의 푸른 미래를 지키는 유일한 길임을.
“월든을 다시 읽을 때마다 내가 지독한 행운아라는 것을 깨닫는다!”
잃어버린 야생의 뜨락을 찾아가는 가슴 벅찬 여정 생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도 않았던 시절에 그는 탁월한 생태주의자가 되었고, 세계 최초로 ‘국립공원’의 개념을 적극 제안한 사람들 중의 하나도 바로 소로다. 그는 ‘국립공원’이라는 자연과 인간의 행복한 공존의 모델을 주장했으며, 시민 불복종 운동을 통해 부당한 국가권력에 맞서는 개인의 위대함을 역설했다. 소로는 단지 『월든』의 작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뛰어난 시인이자 다정한 생태주의자이자 열정적인 시민운동가였다. 그 이면에는 생계를 위해 뛰어들어야 했던 측량기사의 일, 가업으로 이어받아야 했던 연필 제조업도 있었다. 그러나 그 복잡한 캐릭터 속에 늘 숨어 있는 소로의 가장 결정적인 본성은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한없이 따스한 사랑과 공감의 눈길이었다.
— 「1부 열정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따스한 사랑」 중에서
진정 중요한 것들은 험악한 환경에서도 그 모습을 바꾸지 않는다. 소로는 아무리 힘든 순간에도 자신보다 더 약한 존재를 향한 사랑을 멈추지 않았다. 소로에게는 희망을 가질 이유보다 절망할 이유가 더 많았다. 그는 평생 가난했으며, 그의 재능을 진정으로 인정해 주는 사람도 많지 않았다. 하지만 소로는 항상,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을 멈추지 않았고,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고, 힘없고 소외받는 모든 존재들을 향한 사랑을 멈추지 않았다. 바로 그 멈추지 않는 희망과 사랑이야말로 팬데믹 시대 우리가 소로에게서 배워야 할 삶의 자세가 아닐까.
— 「1부 용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아가야 하는 것」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정여울
서울에서 태어났다. 문학과 심리학, 예술을 향한 열정을 담아 꾹꾹 눌러쓴 글로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우리가 간절한 마음으로 붙잡지 않으면 자칫 스쳐 지나갈 모든 감정과 기억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다. 지상의 모든 곳에서 신이 깜빡 흘리고 간 아름다운 문장을 용케 발견하고 싶은 사람. 산 자와 죽은 자를 잇는 바리데기처럼, 인간과 신을 잇는 오디세우스처럼, 집이 없는 존재와 집이 있는 존재를 잇는 빨강머리 앤처럼 문학과 독자의 ‘사이’를 잇고 싶은 사람. 그렇게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이해하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의지’를 날마다 배우는 사람.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 제1라디오 〈정여울의 도서관〉, 네이버 오디오클립 〈월간 정여울〉,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살롱 드 뮤즈〉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데미안 프로젝트』 『감수성 수업』 『오직 나를 위한 미술관』 『문학이 필요한 시간』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끝까지 쓰는 용기』 『상처조차 아름다운 당신에게』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 『빈센트 나의 빈센트』 『월간 정여울』 『마흔에 관하여』 『내성적인 여행자』 『늘 괜찮다 말하는 당신에게』 『공부할 권리』 『헤세로 가는 길』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등이 있다. 산문집 『마음의 서재』로 제3회 전숙희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
개정판 서문_ 월든, 지친 마음의 안식처
추천사
프롤로그_ 서랍에 월든을 숨겨두다
들어가기 전에_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생애
1부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열정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따스한 사랑
산책 걷고 또 걸음으로써 치유되는 마음
용기 어제까지의 낡은 인생과 작별하다
고독 도시인의 고독이 쓰라리고 아픈 이유
거리두기 감정노동을 반복하는 삶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권리
친구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
존엄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기
자기 집중 눈물수집가: 내 직업에 새로운 이름을 짓다
자기 발견 나 자신과 만나려는 모든 실험
해방 ‘스펙과 프로필’ 감옥으로부터의 탈출
저항 소유와 수동성, 착취로부터의 해방
간결함 당신에게는 몇 개의 의자가 필요한가요
치유 ‘녹색 손가락’을 꿈꾸며
희망 그저 거기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기쁨
미래 1 자본 바깥의 삶(스콧 니어링과 헨렌 니어링)
미래 2 지금 실현가능한 작은 유토피아(타샤 튜더)
미래 3 또 하나의 월든을 창조한 사람(베아트릭스 포터)
야생성 도시인이 잃어버린 원초적 생명력
은둔 명랑한 은둔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2부 더 나은 삶을 위해 『월든』 속으로 걸어가다
월든의 생활경제_ 의식주를 독립적으로 해결하기
인생에서 꼭 하나만 선택한다면, | 오직 자유만 선택하라 | 소유에 대한 집착을 버리기 | 간결하게, 더 간결하게! | 삶을 위한 건축 | 사는(buying) 집을 넘어 살아가는(living) 집으로 | 내면의 풍요를 선택할 용기 | 이미지로부터 해방되기 | 뼈에 가까운 삶이 가장 달콤하다 | 매일매일, 더 멀리 떠나라! | '자발적 가난’이라는 시점
월든의 인문학_ 삶의 시간을 아름답게 수놓는 법
나는 ‘문학’을 직업으로 삼았다 | 편리함 탓에 잃어버리는 것들 |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다 | 아침과 함께 깨어나라 | 월든을 일상 속으로 초대하는 법 | 내 안의 숨은 광맥을 찾아서 | 창조적 봉인의 기쁨 | 누구도 당신을 방해할 수 없는 시간 | 우리는 과연 무엇을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 | 제대로 사는 법을 가르치는 학교 | 학비보다 배울 수 있는 기회부터 | 아름다운 장소에는 이야기가 깃든다 | 내가 살아가는 공간을 가꾸고 돌보는 습관 | 저마다의 월든을 창조하기 | 깊은 후회는 새로운 삶의 시작 | 내가 숲으로 들어간 이유
월든의 윤리학_ 단 한 번뿐인 삶을 나답게
고독은 창조성의 원천 | 모든 존재는 혼자다 | 더 사랑하기 위해, 더 많은 거리가 필요하다 | 성숙한 관계 맺기 | 누구도 밀어내지 않는 오두막 | 더 오래, 더 깊이 바라보기 | 치유로서의 사랑 | 타인의 평가에 무너지지 않기 | 성공과 실패를 넘어, ‘나’로 살기 | 절망을 끊기 | 당신은 진정 안전한가
월든의 생태학_ 자연과 공생하는 삶을 꿈꾸며
무엇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자본주의의 치명적인 허점 | 동물과 함께하는 삶 | 원시인의 강인함, 문명인의 지성 | 잃어버린 야생의 삶을 찾아서 | 미니멀리즘, 그리고 제로 웨이스트 | 흔적을 남기지 않는 여행을 꿈꾸다 | 소유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되기 | 완전한 자연농법 | 직업에 구속되지 않는 삶
에필로그_ 『월든』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강해진다
작가의 말_ 소로와 함께 생각의 오솔길을 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