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카를 카우츠키
칼 카우츠키는 체코의 프라하에서 화가인 부친과 소설가인 모친 사이에 태어나 7세에 오스트리아의 빈으로 이주하여, 명문 빈 김나지움을 거쳐 빈 대학에 들어간다. 대학 시절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에 입당했고 1880년에 스위스 취리히의 독일 사회주의자 그룹에 합류했으며, 이때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아 맑스주의자가 되었고 1881년에 영국을 방문하여 맑스와 엥겔스를 만난다.1883년에 <노이예 차이트>지를 창간하여 1917년까지 35년간을 편집자로 지내면서 맑스주의 사상을 보급 전파했다. 1891년에는 베벨, 베른슈타인과 함께 독일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을 기초했다. 1890년대 후반에 베른슈타인이 혁명노선을 포기하고 개량주의를 주창하자 그를 비판하고 결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벌어졌을 때 그는 그 전쟁이 제정러시아의 침략에 대한 방어 전쟁임을 인정했으며, 전쟁에 말려든 모든 나라들이 조국의 방어권이 있음을 주장했다. 사회민주당이 전쟁 공채 발행에 찬성했을 때 그는 독일 정부가 정복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방어의 목적으로 참전할 때만 그 공채 발행을 찬성해야 한다고 다분히 이론적이고 비현실적인 주장을 폈다고 한다. 1917년에는 전쟁의 지속을 반대하여 사회민주당을 탈당하고 반전주의 사회주의 세력을 규합한 독립사회민주당을 결성했다.1917년 러시아혁명이 일어난 후에 그는 곧 혁명의 진행 상황을 관찰하고 그 혁명이 민주주의가 아닌 독재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에 대하여 비판하고 민주주의가 없는 사회주의는 인정할 수 없으며 그것은 역사를 퇴보시키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 때문에 카우츠키는 레닌에 의해 “변절자”라는 칭호를 받았으나 소비에트의 독재체제에 대한 비판을 끝까지 중단하지 않았다. 1920년대부터는 독일 사회민주주의 진영에서 영향력을 잃고 가족과 함께 빈으로 돌아가 저술 활동을 계속하면서 민주주의와 평화에 토대를 둔 온건한 입장의 사회주의를 강조했다. 1938년 나치에게 아내와 자식을 잃고 빈을 탈출하여 쫓겨 다니다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했다.카우츠키의 업적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맑스와 특히 엥겔스의 유물사관을 발전시켜 유럽의 사회경제 및 혁명적 종교사상의 역사를 개관한 역사서들인 『토마스모어의 그의 유토피아』(1888)를 비롯하여 『새로운 사회주의의 선구자들』(1894), 『그리스도교의 기원』(1908) 등이 유물사관의 전형을 제시한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을 비롯하여 맑스의 경제학을 해설하고 농업문제를 진단한 것, 그리고 맑스의 경제학설사 연구를 편집한 것, 그의 제국주의론 등이 경제학설에 관련된 업적으로서 남아 있다. 끝으로 그의 생애 마지막 단계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한 비판을 하면서 사회주의의 정치적 기초에 대하여 논한 그의 민주주의 이론이 중요하다.
옮긴이 서문 - 카를 카우츠키와 인구·생태 경제학의 시도
1. 카우츠키의 이론적 방향 / 2. 카우츠키의 경제학 / 3. 인구생태경제학의 가능성
제1권 인구증가가 사회진보에 미치는 영향(1880년)
머리말 / 서론/제1장 철의 임금 법칙 / 제2장 악덕과 곤궁 / 제3장 기하급수 / 제4장 산술급수 / 제5장 예방적 장애물들
제2권 자연과 사회에서의 증식과 발달(1910년)
머리말 / 제1장 과잉인구와 인구감소의 두려움 / 제2장 자연과 사회 / 제3장 부양활동공간 / 제4장 자연에서의 균형 / 제5장 자연에서의 혁명과 정지상태 / 제6장 산술적 급수와 감소하는 토지 수확 / 제7장 부양활동공간의 확장 / 제8장 자연에서의 균형의 교란 / 제9장 전염병과 삼림 황폐화 / 제10장 과학과 노동 / 제11장 예술과 자연 / 제12장 자연인의 기하급수 / 제13장 문명의 기하급수 / 제14장 농업과 자본주의 / 제15장 농업과 사회주의 / 제16장 인구증가와 사회주의 / 제17장 종족 위생
카를 카우츠키의 인구생태경제학(내용 요약)
1. 인구증가가 사회진보에 미치는 영향
도입부 / 1. 철의 임금 법칙 / 2. 악덕과 곤궁 / 3. 기하급수 / 4. 산술급수 / 5. 예방적 장애물들
2. 자연과 사회에서의 증식과 발달
1. 과잉인구와 인구감소의 두려움 / 2. 자연과 사회 / 3. 부양활동공간 / 4. 자연에서의 균형 / 5. 자연에서의 혁명과 정지상태 / 6. 산술적 진행과 감소하는 토지 수확 / 7. 부양활동공간의 확장 / 8. 자연에서의 균형의 교란 / 9. 전염병과 삼림 황폐화 / 10. 과학과 노동 / 11. 예술과 자연 / 12. 자연인의 기하급수 / 13. 문명에서의 기하급수 / 14. 농업과 자본주의 / 15. 농업과 사회주의 / 16. 인구증가와 사회주의 / 17. 종족 위생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