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2026 트렌드 노트 + 인구와 부 세트 (전2권) 이미지](https://image.imilkbook.com/HanBook/Simg/cover/590/375653590.jpg)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조영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사람들이 태어나, 이동하고, 사망하는 인구 현상 속에서 사회 특성과 변화를 읽어내는 인구학자다.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학생 및 박사연구원들과 함께 우리나라 초저출산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탐구하고 있다. 또한 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과 지역의 변화를 분석하며, 사회 시스템이 어떻게 재편되는지 예측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2016년 출간한 첫 저서 《정해진 미래》는 당시 생소했던 인구학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2017년 정진기언론문화상 대상을 수상했다. 그 후 《정해진 미래 시장의 기회》,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공저)》, 《2020-2040 베트남의 정해진 미래(공저)》, 《인구 미래 공존》, 《인구는 내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등을 집필했다.
지은이 : 박현영
생활변화관측소 소장. 데이터라는 숫자를, 이야기라는 글로 쓰는 것을 좋아한다. 좋은 사람들과 좋아하는 일을 하는 꿈을 꾼다. ‘생활변화관측소’는 일상에서 표현하는 브랜드·속성·상황·서술어 등의 키워드 약 2만 1,000개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그룹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연구원들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관측하고 그 안에서 찾아낸 새로운 인사이트를 리포트, 콘텐츠, 유튜브 등 다양한 형태로 전달한다.
지은이 : 이원희
생활변화관측소 연구원.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나를 발견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데 재미를 느낀다. 일상에서 아름다움을 찾고 영감을 얻는 풍요로운 삶을 꿈꾼다.
지은이 : 김종민
생활변화관측소 연구원. 철학과로 입학해서 물리학과로 졸업했다. 과학 너드로 살다가 지금은 데이터/AI를 활용해 콘텐츠를 만든다. 유튜브 종민쿤으로도 활약 중이다.
지은이 : 유지현
생활변화관측소 연구원. 보고, 읽고, 듣는 모든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 데이터와 현실이 퍼즐 맞추듯이 맞아떨어지는 순간을 좋아한다.
지은이 : 조연희
생활변화관측소 연구원. 사회와 생활의 변화를 데이터로 읽고 해석하는 일을 한다. 다양한 삶의 모습을 탐구하며, 그 속의 ‘왜’를 찾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지은이 : 김채윤
활변화관측소 연구원. 데이터 속에 숨겨진 사람들의 마음을 읽는다. 크고 작은 변화에서 시대의 감성을 짚어내고, 사람들이 열광하고 몰입하는 장면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의미를 찾고 있다.
지은이 : 한다솜
생활변화관측소 연구원. 모든 것에 원래 그런 것이란 없다는 시선으로 세상과 사람과 현상을 관찰하는 것을 좋아한다. 데이터 속에 사람들이 남긴 흔적을 읽고, 그 안에서 작지만 의미 있는 통찰을 발견하는 일을 즐긴다.
지은이 : 고우림
보건학 박사이자 인구학 전공. 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에서 활동하며, 인구 분석을 토대로 기업과 사회가 직면한 변화를 풀어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초저출산과 고령화 같은 한국 사회의 인구 문제에서 출발해 인도·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신흥국의 세대별 소비, 이동, 가족 구조 변화를 추적한다. 특히 인구를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개인의 삶과 사회적 관계, 기업 전략을 관통하는 동력으로 해석하는 데 주력해 왔다. 국내외 기업과 협력하여 인구 변동이 산업과 전략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제회의와 학술대회에서도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인구를 통해 미래를 읽고, 정책과 비즈니스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언어로 풀어내는 데 강점을 가진 연구자다.
2026 트렌드 노트
인구와 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