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영수
성균관대학교 역사교육과 및 사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역사학박사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는 『미ㅤㅉㅔㄹ의 시기: 을미사변과 아관파천』(2012), 『명성황후 최후의 날: 서양인 사바찐이 목격한 을미사변 그 하루의 기억』(2014), 『제국의 이중성: 근대 독도를 둘러싼 한국·일본·러시아』(2019), 『고종과 아관파천: 이희, 러시아공사관에서 375일』(2020), 『100년 전의 세계일주: 대한제국의 운명을 건 민영환의 비밀외교』(2020), 『울릉도 1882: 검찰사 이규원의 시간여행』(2024) 등이 있다. 2013년 『문학의 오늘』에 「안톤 체홉의 현장보고서 사할린섬」, 「프로젝트 문학을 개척한 러시아 현대작가 아쿠닌」 등의 문학평론을 발표했다. 한국근대사 및 한러관계사를 전공했으며 동북아역사재단 독도동해 연구실장, 독도연구소장, 교육연수원 교수, 교양총서편찬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으로 있다.
지은이 : 이항준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역사학박사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영일동맹과 제정러시아의 극동정책」(2008), 「러시아 해군부의 한반도 정책과 태평양함대 사령관 알렉세예프」(2013), 「한국철도 궤간 문제와 경인철도 이권 획득을 둘러싼 뽀꼬찔로프(Д.Д. Покотилов)의 인식과 러시아정부의 정책(1896~1899)」(2019), 「러일전쟁 원인 중 러일협상의 실패에 관한 논쟁」(2022), 「포츠머스조약 체결과 한국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2024), 「을사늑약과 헤이그평화회의 전후 고종의 외교적 대응」(2025) 등이 있다. 한국근대사 및 한러관계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책머리에 5
프롤로그 똘스또이의 평화사상과 공동체방안 18
여는 글 러일전쟁에 관한 연구동향
제1부 러일전쟁의 원인
1장 러일전쟁 직전 러일의 외교협상과 대한제국의 외교정책
영일동맹 전후 러일협상과 한국 중립화 방안
1. 일본의 협상 제안에 대한 러시아 외교정책자들의 논의 79
2. 만주와 한국 문제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의 극동정책 논의 88
러시아의 극동정책 수립
1. 비테와 꾸로빠뜨낀의 성장과 기반 104
2. 특별회의를 둘러싼 극동정책의 대립 110
3. 여순회의를 통한 극동정책의 수립 116
4. 러시아 관료세력의 극동정책 123
러시아 극동총독부와 극동특별위원회
1. 극동총독부와 극동특별위원회 설치 131
2. 극동특별위원회의 활동과 해체 143
3. 러시아 황실세력의 극동정책 158
대한제국의 한러동맹 추진과 고종의 전시중립화 방안
1. 고종과 이범진의 외교정책 166
2. 고종의 전시중립화 방안 176
2장 러시아의 대한제국 진출과 일본의 대응
압록강·두만강·울릉도 삼림채벌권과 압록강삼림회사
1. 러시아가 바라본 압록강삼림회사 192
2. 일본이 바라본 압록강삼림회사 206
3. 압록강삼림회사를 둘러싼 러일의 대립 과정과 결과 228
러시아의 용암포 점유에 대한 일본의 정보 파악과 대응
1. 용암포 개방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대응 232
2. 일본이 파악한 러시아의 용암포 점유 과정 237
3. 용암포 점유를 둘러싼 러일의 대립 259
러시아 탐사대와 지리협회의 대한제국 북부 조사
1. 두만강과 압록강 지역 조사 267
2. 동해·대한해협·황해 해역 조사 272
3. 러시아의 대일전쟁 구상과 군사활동 규정 281
4. 러시아의 대한제국 탐사가 미친 영향 285
제2부 러일전쟁의 전개
1장 러시아와 일본의 군부와 해군부의 전략
러시아군부의 극동과 한반도 전략
1. 꾸로빠뜨낀의 생애와 활동 299
2. 19세기 말~20세기 초 러시아군부의 극동 전략 301
3. 꾸로빠뜨낀의 만주와 한국 문제에 대한 견해 308
4. 패배에 대한 꾸로빠뜨낀의 항변 317
5. 러시아군부의 전쟁계획안 324
일본 육군의 대러전략: 만주군 총사령부와 한국주차대 작전계획
1. 군대 편제와 육군참모본부의 군사 전술 331
2. 러일전쟁 이전 육군과 참모본부의 대러전략 338
3. 러일전쟁 직후 만주군 총사령부와 대본영의 작전계획 349
4. 한국주차대의 활동과 한국 방어계획 354
5. 러시아 작전계획안과 그 실행 363
러시아 해군부의 극동정책
1. 태평양함대 사령관 알렉세예프의 극동정책 371
2. 알렉세예프의 한반도 해양 전략 379
3. 한반도 해양 전략과 그 실행 385
일본 해군의 대러작전계획과 연합함대 사령부의 전략
1. 러일전쟁 이전 일본의 해군력 강화와 대러작전계획 392
2. 러일전쟁 직후 해군군령부와 연합함대 사령부의 작전계획 400
3. 연합함대 사령관 도고 헤이하치로의 해군 전술 403
2장 러일전쟁의 발발과 경과
대한제국과 만주에서 러일의 전투
1. 대한제국 북부지역 전투 144
2. 여순전투 429
3. 요양전투 445
4. 봉천전투 450
5. 러시아군과 일본군의 군사분계선 협상 459
한반도와 만주 주변에서 러일의 해전
1. 제물포해전 467
2. 여순해전 480
3. 동해해전 504
4. 러시아함대의 동해해전 패배 이유 528
제3부 러일전쟁의 영향
1장 러일전쟁을 바라보는 러일의 시각
러일전쟁 원인 중 러일협상의 실패에 관한 논쟁
1. 아바자의 기록을 통해 본 러일협상의 실패 원인 540
2. 람즈도르프의 기록을 통해 본 러일전쟁의 원인과 책임자 553
3. ‘백두산 분수령’과 아바자의 최종협상안 562
4. 러일협상 실패의 원인, ‘백두산 분수령’ 567
러일전쟁 결과에 대한 러시아의 논쟁과 일본의 시각
1. 비테와 꾸로빠뜨낀?전쟁 책임자 논쟁 573
2. 전쟁의 원인과 비테와 꾸로빠뜨낀의 극동정책 577
3. 패배의 원인 그리고 진실 586
4. 일본의 시각 588
5. 전쟁 책임을 둘러싼 궤변 592
2장 포츠머스조약과 일본의 한국 강점
포츠머스조약 체결과 한국 독립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
1. 일본의 포츠머스조약 준비와 조건 602
2. 러시아의 포츠머스조약 준비 과정과 대응 전략 610
3. 포츠머스조약 체결 이후 외교적 대응 631
4. 한국 독립에 관한 조약문 해석 635
을사늑약 체결과 조선통감부의 설치
1. 을사늑약 체결 과정 641
2. 을사늑약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과 대한제국의 대응 653
3. 일본의 한국 전략 방안과 한국 강점 실행 670
을사늑약과 헤이그평화회의 전후 고종의 외교적 대응
1. 러일전쟁 이후 고종과 이범진의 외교적 대응 676
2. 을사늑약 전후 대한제국의 상황과 고종의 저항 684
3. 러시아가 바라본 고종의 헤이그 특사 파견 690
4. 라스뽀뽀프가 바라본 통감부 설치와 대한제국 강제 개혁 697
5. 고종의 러시아 망명 계획과 일제의 고종 강제 퇴위 703
닫는 글 러일전쟁과 대한제국
에필로그 베조브라조프의 극동정책과 러일협상 735
이 책의 기초가 된 논문 772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