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도산 공화국  이미지

도산 공화국
안창호가 세운 민주공화제의 뿌리를 찾아서
북코리아 | 부모님 | 2025.11.10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1,850원 (5% 할인)
  • S포인트
  • 690P (3%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468Kg | 360p
  • ISBN
  • 9791194299738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도산 안창호가 1905년 공립협회를 설립하면서 대의원 제도를 도입했고, 민주주의 제도를 실험했으며, 1911년 제3차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를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파차파 캠프에서 개최하여 21개 의안을 통과시키면서 민주공화제를 완성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대동단결선언문(1917)과 21개 의안을 비교 분석하여 ‘국민주권설’의 기초가 파차파 캠프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출판사 리뷰

도산 안창호가 세운 민주공화제의 뿌리를 찾아서

대동단결선언문의 핵심은 ‘국민주권론’이다. 즉, 임시정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운영 방안을 제기한 최초의 선언문으로 역사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역사학계에서는 민주공화정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도입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그런데 대동단결선언문은 1986년 도산 안창호의 유품에서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대동단결선언문에 참여한 14인 중 박용만이 포함되어 있다. 박용만은 미주 한인사회에서 무력 군사 항쟁을 주장한 인물이며, 동시에 신한민보 주필 때 무형정부를 설립하여 해외 한인을 대표하는 정부 설립을 주창했다. 문득, 민주주의는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혹시 안창호를 중심으로 파차파 캠프에서 시작된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대한인국민회 주도로 무형정부가 설립되었고, 대의원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그리고 자율규정 제도인 삼권분립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1911년 말, 리버사이드 파차파 캠프에서 바로 민주공화제가 도입되었다. 그래서 ‘도산 공화국’으로 불렸던 것이다.
이 책은 도산 안창호가 1905년 공립협회를 설립하면서 대의원 제도를 도입했고, 민주주의 제도를 실험했으며, 1911년 제3차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를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파차파 캠프에서 개최하여 21개 의안을 통과시키면서 민주공화제를 완성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대동단결선언문(1917)과 21개 의안을 비교 분석하여 ‘국민주권설’의 기초가 파차파 캠프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 머리말 내용 재구성

  작가 소개

지은이 : 장태한
현재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대학교 소수인종학과(Ethnic Studies) 교수이며 김영옥 재미동포연구소 소장. 인천 고등학교 졸업(1975). UC Berkeley 대학에서 박사학위(1990)를 받았다.12권의 저서 및 7권의 편저서가 있고 수 십 편의 논문이 있다. 집필한 저서는 Pachappa Camp: The First Koreatown in the United States(2021), Korean Americans: A Concise History(2019), 『미주한인사』(2019), 『파차파 캠프: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2018), 『외로운 여정』(2016), Korean American Pioneer Aviators: The Willows Airmen(1920), 『1920, 대한민국 하늘을 열다』(2013), 『아시안 아메리칸』(2004), 『미국의 흑인 그들은 누구인가』(2012)이다. 한흑 문제 및 LA폭동에 대한 전문가로 인정받아 Harvard, Yale, Smith College, Johns Hopkins, University of Michigan, Urbana-Champaign, UC Berkeley, UCLA 등의 미주요 대학에서 초청 강연을 수 차례 했다. 한미우호협회 평생업적상(2024), 청소년들이 뽑은 2024년 한인사회 모범인물 선정,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수상(2019), 재외한인학회 최고 학술상 수상(2019), SAT II 한국어 채택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훈민정음 반포 549돌을 맞이하여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1995). 현재 인천광역시 국제자문 위원이다.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제1장 도산 공화국: 대한민국 민주공화제의 뿌리를 찾아서
대한인국민회와 「대동단결선언」
파차파 캠프: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와 「대동단결선언」
맺는말

제2장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 리버사이드 파차파 캠프
민주주의의 씨앗이 뿌려진 파차파 캠프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 가족 중심 공동체
초기 미주 한인사회 최대의 한인타운
파차파 캠프
한인 노동국(Korean Labor Bureau, 1905)

제3장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대의회(1911)
안창호 환영
제3차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리버사이드)
여성 회원들의 참여와 활동
헤멧 밸리 사건(1913)과 대한인국민회

제4장 한인장로선교회와 학교
학교
국어학교

제5장 파차파 캠프의 한인 가족들
김인수, 리버사이드 노동 주선사
김인수의 실업 활동, 가족들은 리버사이드에 거주
김인수의 장자 김용련
김인수 가족의 자녀들
김인수, 김용련 부인
아들 김태선
조카 전경부와 전경무
부인의 병과 경제적 곤란
전낙청의 자녀들
전낙청이 남긴 문학작품
차정석의 리버사이드 지방회 활동
차정석 부인 차정성
차정석의 사촌 형제, 차의석
차의석 부인 차영선(김영선)
북가주에서 쌀농사
백신구의 자녀들
아들들의 종군 활동
자녀들의 결혼
부인 백광도(손광도)
아내 이정경(박정경)
남동생 박영섭
박충섭의 자녀들
아내 구애주(박애주)
구정섭의 자녀
리버사이드 지방회 활동(1918~1919)
일터와 가족 거주지의 분리
이운경의 자녀들

제6장 도산 안창호 추방(1924~1926): 공산주의자?
콩 왕과 찰스 홍 이의 투서
“볼셰비스트 안창호”
시카고 대질심문
오스트레일리아로 추방

자료
맺는말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