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연민수
전 동북아역사재단 역사연구실장동국대학교 사학과 및 석사과정 졸업九州大學 대학원 수사·박사과정 졸업 저서목록 『일본고대국가와 도래계 씨족』, 학연문화사, 2021 『고대일본의 대한인식과 교류』, 역사공간, 2014 『고대한일교류사』, 도서출판 혜안, 2003 『고대한일관계사』, 도서출판 혜안, 1998 『일본역사』, 보고사, 1998 『역주일본서기』1~3, 공역, 동북아역사재단, 2013 『新撰姓氏錄』上·中·下, 공역, 동북아역사재단, 2020 『譯註續日本紀』上·中·下, 혜안, 2022 『譯註日本後紀』上·下, 학연문화사, 2023 기타 공저, 역서 등 다수
간행사 / 4
서장 천황제 국가의 창출과 국가상 / 13
제1부 초기 천황제 국가의 성립과 이념 / 26
제1장 天武王權의 탄생과 신국가 구상 / 31
제1절 天智와 天武 / 31
제2절 壬申의 난과 天武王權의 수립 / 33
제3절 吉野의 맹세와 후계자 문제 / 41
제4절 皇親政治와 문무관 정책 / 47
제5절 8色의 姓 제정과 48계 관위제 / 51
제6절 역사서 편찬 개시 / 57
제2장 天皇의 유래와 천황호 제정의 배경 / 64
제1절 사료상에 보이는 天王, 天子, 天皇 / 64
제2절 중국고전에 나오는 「天皇」의 유래와 사상성 / 70
제3절 도교사상과 스메라미코토 / 74
제4절 한중문헌 및 『善隣國寶記』의 천황호 / 76
제5절 천황호 제정과 배경 / 80
제6절 천황호가 전하는 메세지 / 83
제3장 동아시아 사료의 倭·日本의 용례와 日本의 성립 / 85
제1절 倭 명칭의 유래 / 85
제2절 倭, 大倭, 大和, 日本의 표기와 훈독 / 86
제3절 중국·일본사료에 보이는 日本의 용례 / 89
제4절 『삼국사기』의 倭, 日本의 용례 / 95
제5절 禰軍 묘지명에 나오는 「日本」의 해석 / 100
제6절 일본국호에 보이는 신국사상과 신라문제 / 107
제7절 일본국호 제정과 그 의미 / 111
제4장 대외관계와 국가이념의 창출 / 113
제1절 대외관계의 추이와 특징 / 113
제2절 천무천황의 신격화와 국가이념 / 121
제3절 신공황후 전설의 생성 / 123
제4절 天照大神과 天日槍 및 神功皇后 전승의 모티브 / 127
제5장 持統天皇의 치세와 초기 천황제 국가 / 131
제1절 천무의 빈궁의례와 추모의식 / 131
제2절 持統天皇의 즉위사정과 황위계승문제 / 136
제3절 藤原京의 조영과 신라왕경 / 145
제4절 淨御原令의 제정 / 150
제2부 천황제 율령국가의 성립과 구조 / 155
제1장 大寶律令의 제정과 율령제의 특질 / 157
제1절 大寶律令의 제정과 시행 / 157
제2절 율령제 국가의 구상과 이념 / 163
제3절 양천제와 국가적 신분질서 / 170
제4절 율령관인의 특권 / 175
제2장 율령의 편목과 행정조직 / 180
제1절 율령의 편목과 직원령의 구성 / 180
제2절 太政官 조직과 직무 / 183
제3절 8省 및 그 속관 / 188
제4절 國郡里의 조직과 大宰府 / 192
제5절 軍團制의 성립과 구성 / 203
제3장 율령국가론과 신라율령의 편찬논쟁 / 211
제1절 율령국가론 / 211
제2절 신라율령의 편찬논쟁 / 215
제4장 율령관인의 양성과 교육기관 / 222
제1절 중앙의 교육기관 / 222
제2절 律令學의 설치와 학과 구성 / 228
제3절 國學과 大宰府의 府學 / 232
제4절 시험제도와 임관 / 237
제5장 율령제 사회와 平城京의 도시공간 / 244
제1절 平城京의 도시공간 / 244
제2절 東西의 市와 교역 / 251
제3절 화폐의 발행과 유통 / 258
제3부 문서행정과 정보전달 시스템 / 269
제1장 문서행정의 규정과 정보전달 / 271
제1절 문서행정의 양식 / 271
제2절 국가발령의 문서규정 / 286
제3절 개인고지판과 정보전달 / 289
제4절 지방사회의 문서전달과 시행 / 293
제5절 하급관인의 大領 임용 청원서 / 299
제2장 法令과 正稅帳에 보이는 지방관의 민정시찰 / 304
제1절 지방관의 민정시찰과 근무평정 / 304
제2절 周防國 正稅帳에 보이는 국사의 순행 / 308
제3절 正稅帳에 보이는 순행의 유형 / 314
제3장 문서행정과 官印制度 / 320
제1절 고대 동아시아제국의 官印制 / 320
제2절 官印의 제작과 날인제도 / 321
제3절 公式令 「天子神璽」 조와 公印의 용도 / 332
제4절 內印의 관리체계 / 340
제5절 內印 탈취사건과 천황권 / 342
제4장 문서행정과 종이생산 / 344
제1절 『延喜式』 圖書寮의 종이에 관한 규정 / 345
제2절 종이의 생산과 공정 / 350
제3절 종이의 종류와 용도 / 356
제4절 문서용지의 체재와 교정 / 359
제5절 공문서 및 전적의 문서량 / 362
제4부 호적·계장 및 사경소 문서 / 365
제1장 인민지배와 호적의 작성 / 367
제1절 호적의 작성과 의미 / 367
제2절 戶令 「造戸籍」 조의 검토 / 369
제3절 大寶 2년의 筑前國 호적 / 373
제4절 大寶 2년의 御野國 호적 / 387
제2장 計帳의 작성과 사례 / 400
제1절 계장의 규정과 내용 / 400
제2절 右京 計帳의 검토 / 406
제3절 山背國 出雲鄕의 계장 / 414
제3장 寫經所 문서와 사경생 / 424
제1절 휴가원 문서 / 424
제2절 月借錢 문서 / 431
제3절 사경소의 布施法 / 440
제4절 사경생의 처우개선 6개조 / 445
제5부 천황제 국가의 천명사상과 덕치주의 / 451
제1장 천명사상과 덕치주의 / 453
제1절 천명사상의 정치이념 / 453
제2절 법령에 규정된 祥瑞 / 454
제3절 문헌상에 나오는 상서와 재이 / 457
제4절 구호정책과 덕치주의 / 467
제5절 효행과 절부 / 47
제2장 사면의 사례와 성격 / 476
제1절 국가적 경축과 사면 / 476
제2절 자연재해와 사면 / 481
제3절 천황의 병고와 사면 / 483
제4절 반역과 사면 / 489
제5절 사면의 특징과 성격 / 492
제3장 연호의 제정과 천명사상 / 494
제1절 연호의 제정과 특징 / 494
제2절 大寶와 慶雲 / 497
제3절 和銅, 靈龜, 養老 / 500
제4절 神龜와 天平 / 503
제5절 4字 연호의 시대 / 506
제6절 寶龜, 天應, 延曆 / 511
제7절 연호의 정치적 성격과 천명사상 / 515
제4장 일본고대의 순행과 왕권 / 518
제1절 순행의 의미와 유형 / 518
제2절 순행시의 內印, 鈴, 契의 소재에 관한 규정 / 519
제3절 순행시 경호에 관한 규정 / 523
제4절 『延喜式』의 규정과 『속일본기』의 기록 / 526
제5절 순행의 몇가지 특징 / 531
제6절 순행과 왕권의 메세지 / 540
색인 / 543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