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역량교육, 이렇게 한다  이미지

역량교육, 이렇게 한다
전 세계 1200개 학교에서 실행한 글로벌 역량교육의 실제
교육을바꾸는사람들 | 부모님 | 2025.11.25
  • 정가
  • 25,000원
  • 판매가
  • 22,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2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426Kg | 304p
  • ISBN
  • 978899772442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집에서 매일 실천할 수 있는 ‘엄마표 스피치 커리큘럼’을 통해 아이의 말하기 능력을 자연스럽게 키우는 실전 가이드다. 인사·경청·감정표현 같은 기본기부터 발표와 토론까지 단계별로 말하기 근육을 기르도록 구성해 전달력과 자신감을 함께 높일 수 있다.

스피치 능력 평가표로 아이의 현재 수준을 진단하고, 상황별 스크립트·일상 루틴·놀이형 훈련 등 바로 적용 가능한 방법들을 제시한다. 가정의 대화를 변화시키고 학교 발표에서도 힘을 발휘하게끔 돕는 체계적 언어력 코칭서로, 부모가 곧 아이의 말하기 코치가 되는 길을 안내한다.

  출판사 리뷰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시작된 ‘역량’이란 용어는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언급된다. 그러나 ‘역량’이라는 용어의 실체는 아직 제대로 밝혀져 있지 않다. 단순한 지식이나 기능 이상의 것을 의미하지만, 그 경계도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이것을 가르치고 길러낼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아 교사들에게서도 외면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을바꾸는사람들>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초기부터 이 문제를 진지하게 제기해 왔다. 역량은 어떻게 길러질 수 있는가? 역량은 전이 가능한가? 핵심 역량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학교교육의 목표가 핵심 역량의 함양이라는 관점은 타당한가? 역량은 앞으로 교육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많은 토론이 필요한 키워드다. “역량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은 역량을 학교교육의 맥락에 도입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한 바른 이해, 역량이란 개념의 모호성과 실체의 부족 및 역량교육에 대해 비판과 한계에 대한 이해, 전통적인 지식기반교육과 역량기반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바른 이해 등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이찬승, 2019.12. <교육 제4의 길> 칼럼 중)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 추구해야 할 ‘역량교육’의 구체적 모습을 보여주는 글로벌 실행 보고서이다. 세계적인 교육변화 전문가 마이클 풀란(Michael Fullan), 조앤 퀸(Joanne Quinn), 조앤 매키첸(Joanne McEachen)이 제안하는 ‘깊은학습(Deep Learning)’의 철학과 실제 구현 방안을 구체적으로, 다양한 사례를 들어 일목요연하게 보이는 이 책은 단순한 교수법 안내서라기보다는, 학생과 교사, 학교, 지역, 국가를 아우르는 ‘시스템 변화’의 전략서이다.

엄청난 기술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미래 삶을 온전히 책임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학교 교육에 몰입할 동기를 상실한다. 따라서 ‘깊은학습’은 학습자들이 갖출 미래 역량을 새로이 6가지로 설정하고, 이를 실제 수업과 학교 운영에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예증한다.

캐나다, 미국, 핀란드, 호주, 뉴질랜드, 네덜란드, 우루과이 등 교육 문화도, 학생 규모도 다른 7개국에 걸쳐 1200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된 NPDL(New Pedagogies for Deep Learning, 깊은학습을 위한 새로운 교육) 파트너십을 통해 확인된 다수 사례들은 깊은학습이 추상적인 탁상공론이 아니라 교실에서 곧바로 실현 가능한 모델임을 보인다. 학습 동기를 잃고 무기력하던 학생들이 프로젝트 기반 협업과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스스로 연구 주제를 설정하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며 스스로 학습의 의미를 발견한다. 깊은학습은 교육의 본질을 ‘세상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되돌리며, 미래 교육의 기준을 다시 세우는 것이다. 전통적 지식 전달 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의 주도성을 회복하고 학교를 살아있는 학습 공동체로 재설계하려는 모든 교육자에게 강력한 영감을 준다.

출판사 서평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신기술은 속도와 규모를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빠르게 진화하고, 이 변화는 산업 현장은 물론 우리의 일상과 교육까지 뒤흔들어 놓는다.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마주할 세계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질서와 규칙으로 작동할 것이다. 문제는, 현재의 학교 교육이 그 변화에 이미 뒤처져 있으며 앞으로는 더 큰 간극이 벌어질 것이라는 사실이다. 학교를 충실히 다녔다고 해서 안정적인 삶이 보장되지 않고, 더 이상 ‘지식 전달’만으로는 아이들의 미래를 준비할 수 없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학교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저자들은 이 질문에 대해 명료한 해답을 제시한다.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정의하고, 미래에 요구될 6가지 핵심 역량, 곧 창의성, 비판적 사고, 협력, 의사소통, 시민성, 인성을 중심으로 교육 전반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안내한다. 다양한 실제 사례를 통해, 역량교육이 어떻게 작동하고 학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돋보이는 대목은 저자들이 강조하는 ‘형평성 가설’, 곧 깊은학습이 형평성 구현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다. 학습에서 소외된 아이일수록, 전통적 학교 체제에서 ‘낙오자’로 여겨진 학생일수록, 실제 사회와 연결된 프로젝트·협업·문제 해결 경험 속에서 가장 빠르고 극적으로 성장한다. 이는 한국 교육의 현실—학습 격차, 무기력한 학생, 지나친 입시 중심 문화—에서 매우 현실적인 함의를 갖는다.
이 책은 교육을 움직이는 모든 사람에게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변화’를 보여준다. 역량교육을 고민하는 모든 분들께 큰 영감이 될 책이다.

깊은학습은 학습의 초점을 학생 개인이나 공동체에게 의미 있는 문제에 맞추고 그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이러한 학습은 학생, 교사, 부모 등 교육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모든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쳐 시스템 전체의 개혁과 혁신을 일으킨다.

이 책은 깊은학습의 포괄적인 모델과 함께 7개국 수많은 공립학교에서 실제로 진전을 보인 사례를 바탕으로 한다. 우루과이의 사례에서처럼 새로운 소프트웨어와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많은 취약계층 학습자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시스템 변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작업해 왔다. 우리의 방식은 큰 시스템 단위와 파트너십을 맺어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고, 그로부터 배워서 다음 단계를 더 잘 수행하고, 이것이 이론에 다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론과 실행 둘 다의 향상, 즉 ‘이론을 견인하는 현장의 실천’이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우선적으로 짚어 보아야 할 거대한 장벽들이 있다. 잘못된 정책, 부적절한 시험 제도,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유지하고 가중시켜 온 불평등, 공교육에 대한 부적절하고 고르지 못한 투자가 그것이다. 깊은학습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하는 복잡성도 장벽이라 할 수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마이클 풀란
토론토대학 온타리오 교육연구소 소장 및 명예교수이며 교육개혁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캐나다에서 훈장을 받았다. 조직변화와 교육개혁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최고 권위자로서, 다수의 글로벌 교육변화프로젝트 연수·컨설팅·평가에 참여했다. 풀란은 1998-2002년 잉글랜드‘국가 문해력·수리력 향상전략’ 평가를 4년간 주도했다. 2004년에는 온타리오 교육부 수상 및 장관의 특별고문으로 임명되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 교육부처와 관계기관의 시스템 전반에 걸친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 및 전략개발 자문과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저서 및 공저┃『체인지 리더십(Leading in a Culture of Change)』『학교를 개선하는 교사(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학교를 개선하는 교장(What’s Worth Fighting For in the Principalship?)』『거기에서 무엇을 얻기 위해 싸워야 하는가(What’s Worth Fighting For Out There?)』『변화의 힘(Change Forces)』시리즈,『학교 리더십의 윤리적 책무(The Moral Imperative of School Leadership)』등이 있다. 최근 저서로는『성층권 의제: 기술·교수법·변화지식의 통합(Stratosphere: Integrating Technology, Pedagogy, and Change Knowledge)』『교직과 교사의 전문성 자본(Professional Capital)』(2015년 그라우마이어Grawemeyer상 수상),『시스템 전반의 핵심적 리더십 역량(Leadership: Key Competencies for Whole-System Change)』『변화의 자유(Freedom to Change)』『논리적 일관성 (Coherence: The Right Drivers in Action)』등이 있다.홈페이지 www.michaelfullan.ca

지은이 : 조앤 매키첸
미국의 교육 컨설팅 기관 <The Learner First>의 CEO이며 마이클 풀란, 조앤 퀸과 함께 NPDL을 공동 창립했다. 교사, 교장, 교육 시스템 지도자로 경력을 쌓았고 NPDL 글로벌 디렉터로 세계 각국에서 측정, 평가, 교수학습 전문가로 저술과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이 : 조앤 퀸
NPDL의 공동 창립자이자 글로벌 디렉터로, 전 세계 10여 개 국가의 교육 시스템 변화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온타리오주 교육실행 자문, 토론토대학교 평생교육 디렉터를 역임했고, 『Coherence』 『Dive into Deep Learning: Tools for Engagement』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PART 1 세상의 변화에 동참하라

제1장. 왜 지금, 깊은학습인가
삶과의 관련성
깊은학습의 매력
미래를 위한 도전

제2장. 깊은학습, 무엇이 다른가
학습에 대한 새로운 상상
깊은학습의 본질
깊은학습의 필요성
학교문화 재정립
마무리하며

제3장. 깊은학습이 가져올 변화
시스템 혁신과 일관성
깊은학습을 통한 일관성 구축
깊은학습 프레임워크
마무리하며

PART 2 살아있는 실험실

제4장. 깊은학습의 실제
교실에서 일어난 변화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깊은학습의 실현
마무리하며

제5장. 깊은학습 설계 1 - 학습 파트너십
새로운 교육
학습 파트너십
마무리하며

제6장. 깊은학습 설계 2 - 학습 환경, 디지털 활용, 교수법 실행
학습의 설계
학습 환경
디지털 활용
교수법 실행
네 가지 핵심 요소의 통합
마무리하며

제7장. 깊은학습을 촉진하는 힘, 협업
협업의 중요성
협력적 탐구
학습 경험의 협력적 설계
학생 성장을 위한 협력적 조정
마무리하며

제8장. 시스템 전체의 변화
학습 문화의 전환
깊은학습 촉진의 조건
새로운 동력
실천 사례들
마무리하며

제9장. 새로운 측정과 평가
새로운 도구의 필요성
초기 측정 결과
글로벌 수준의 조정
마무리하며

PART 3 불안정한 미래

제10장. 파멸인가, 구원인가
세이렌
흥미로운 지점

참고 문헌
깊은학습 여정에 함께한 나라들

[도표 목록]
<도표 2.1> 깊은학습을 위한 6C의 정의
<도표 2.2> 깊은학습 진전도의 예 (협업 역량 중 ‘상호보완적 협력’ 영역)
<도표 2.3> 웰빙의 4개 발달 영역
<도표 3.1> 일관성 프레임워크
<도표 3.2> 깊은학습 프레임워크
<도표 4.1> 깊은학습의 6대 글로벌 역량
<도표 4.2>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업무 역량
<도표 5.1> 학습 설계의 네 가지 요소
<도표 5.2> 학습 파트너십
<도표 5.3> 학생 학습 모형
<도표 5.4> 교사의 새로운 역할
<도표 6.1> 학습 환경
<도표 6.2> 디지털 활용
<도표 6.3> 교수법 실행
<도표 6.4> 기존 교수법과 새롭게 등장한 혁신적 교수법의 융합
<도표 6.5> 새롭거나 오래된, 좋거나 나쁜 교수법
<도표 6.6> 깊은학습 설계를 위한 호주 클러스터의 탬플릿
<도표 7.1> 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협력적 탐구
<도표 7.2> 협력적 탐구 과정 (4단계로 재구성)
<도표 7.3> 깊은학습 글로벌 챌린지 (UN 아동 인권 협약)
<도표 7.4> 협력적 평가와 조정을 위한 프롬프트 예시
<도표 7.5> 깊은학습으로 재설계된 이니그마 미션
<도표 8.1> 깊은학습의 도입과 설계를 위한 네 가지 요소
<도표 8.2> 깊은학습 조건 루브릭 예시
<도표 8.3> 새로운 변화 동력
<도표 8.4> 파인리버 고등학교의 연간 발전계획 (2017년)
<도표 9.1> 깊은학습 진전도의 예 (협업 역량)
<도표 9.2> 역량별 깊은학습 진전도 평가 결과
<도표 9.3> 깊은학습 모험 사례에 포함된 학습 설계의 단서들
<도표 9.4> 역량 진단을 위한 평가지 (수업 전)
<도표 9.5> 역량 진단을 위한 평가지 (수업 후)
<도표 9.6> 깊은학습과 교육과정의 연계 예시 (캐나다 밀그로브 공립학교)
<도표 9.7> 깊은학습과 교육과정의 연계 예시 (핀란드)

[깊은학습 사례 목록]
<사례 1.1> 학교에서 입을 열지 않았던 학생
<사례 1.2> 창의적인 지원서를 제출한 학생
<사례 1.3> 의욕 없고 무기력한 학생
<사례 4.1> 새로운 접근으로 기후 변화를 배우는 학생들
<사례 4.2> 스스로 도전 과제를 설정하고 해결한 학생들
<사례 4.3> 목표 실현을 위해 행동에 나선 학생들
<사례 4.4> 깊은학습을 주도한 학생들
<사례 4.5> 지역사회와 연계를 추진한 학생들
<사례 4.6> 협업으로 학교 주변을 변화시킨 학생들
<사례 4.7> 자신과 공동체의 삶을 변화시킨 학생
<사례 4.8> 삶과 관련된 학습으로 잠재력을 일깨운 학생
<사례 5.1>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전시킨 학생들
<사례 5.2> 달라진 학습 파트너십이 교사에게 가져온 변화
<사례 5.3>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 전시회를 주도한 학생들
<사례 5.4> 실제 학습을 통해 필요한 역량을 알게 된 학생들
<사례 5.5>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이 학교에 가져온 변화
<사례 6.1> 작은도서관 설립 프로젝트를 주도한 학생들
<사례 6.2> 지역사회 기여를 통해 성장하는 학생들
<사례 6.3> 실패를 통해 창의력을 키워나가는 학생들
<사례 6.4> 호기심을 도전적 과제로 풀어낸 학생들
<사례 6.5> 생활 주변 문제 해결에 도전한 학생들
<사례 6.6> 기부의 의미를 발견하고 실천하는 학생들
<사례 6.7> 초콜릿을 통해 공정무역의 의미를 발견한 학생들
<사례 8.1> 학교의 변화를 주도한 교사들
<사례 8.2> 지역의 변화를 주도한 교육청
<사례 8.3> 시스템 변화를 주도한 리더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