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저자 : 법상
인연 닿는 도량에 여행하듯 머물며 수행과 전법에 매진하고 있으며, 현재는 강원도 고성의 설악과 동해가 한 눈에 바라다 보이는 소담한 절 운학사에 머물고 있다. 인터넷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www.moktaksori.org)’와 다음 카페 ‘목탁소리 지대방(http://www.moktaksori.kr)’의 지도법사로서 생활 속에서 마음을 닦고자 하는 많은 이들의 수행을 이끌어 가고 있다. 스님은 불교와 명상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보다 쉽고 실천적인 가르침을 전하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고, 수행과 명상,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쓴 진지한 깨침의 글들이 사람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렇게 스님의 글을 읽고 ‘생활 속의 수행’에 뜻을 모은 사람들이 만든 것이 인터넷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이다. ‘목탁소리’는 현대를 살아가는 바쁜 생활인들이 서로 마음을 주고받으면서 자신의 내면을 살피는 소중한 깨침의 공간이 되었고, 종교와 계층을 초월하여 마음을 맑히고자 하는 모든 이들의 고향과 같은 귀의처가 되면서 불교와 명상 분야의 대표적인 웹사이트로 자리 잡았다.동국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를 공부했으며, 조계종 원로의원 불심도문 큰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스님은 조계종 포교사이트 「달마넷」을 비롯 「한국일보」 「법보신문」 「월간 불광」 등에 글을 연재하였으며, 2005년에는 「한국문인」에서 신인 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불교 경전과 마음공부』, 『생활수행 이야기』,『금강경과 마음공부』, 『아침을 여는 행복편지 365일』,『마음공부 이야기』, 『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행복수업』, 『붓다수업』, 『날마다 해피엔딩』, 『눈부신 오늘』 등이 있다. 2005년에는 ‘한국문인’에서 신인문학상을 받아 등단했으며, 그의 저서 『반야심경과 마음공부』는 불교출판문화협회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불서’로 선정되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에서 ‘장병의 시간’과 ‘법상스님의 목탁소리’를 진행했다. 다음카페 목탁소리에서는 불교교리 강좌, 경전강의 등 다양한 동영상 강좌를 들을 수 있으며, 서울 용산 원광사에서는 매주 화요일, 금요일에 ‘불교아카데미’를 개설해 독자들과 함께하고 있다.목탁소리 홈페이지(SNS) 다음카페 www.moktaksori.kr블로그 www.moktaksori.net카카오스토리채널 법상스님의 목탁소리유튜브 동영상 강의 목탁소리 법상스님트위터 @MOKTAKSORI페이스북 법상 MOKTAKSORI
서문
Ⅰ. 초기 경전
경전의 결집 | 경전의 언어 | 팔리삼장, 니까야 | 아함경 | 오늘날의 초기 경전
01. 중아함경
연기법 | 독화살의 비유와 사성제 | 업의 가르침
02. 장아함경
십이연기
03. 잡아함경
중도 | 중도는 곧 연기 | 여래는 법을 의지한다 | 여래가 보는 죽음 | 오온무아와 열반 | 십이처 | 두 번째 화살 | 선지식과 좋은 도반
04. 증일아함경
출세간과 십팔계 | 살펴볼 경구들
05. 디가 니까야
여섯 방향의 비유
06. 맛지마 니까야
뗏목의 비유 | 차제설법
07. 상윳따 니까야
오온의 무상 고 무아 | 열반, 모든 것은 무너진다 | 4가지 믿음, 삼보와 계율 | 사념처, 4가지 마음챙김 | 마음챙김의 방법 |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08. 앙굿따라 니까야
자주 새겨야 할 5가지 명제 | 깔라마경
09. 쿳다까 니까야
담마파다(법구경) | 숫타니파타(경집)
Ⅱ. 대승 경전
부파불교 | 불탑신앙 | 대승비불설 | 초기 대승경전 | 중기 대승경전 | 후기 대승경전
10. 반야심경
11. 금강경
12. 반야경
공, 본래 없다 | 선지식 | 이름과 모양(명상) | 반야바라밀
13. 유마경
심청정 국토청정 | 보살의 병 중생의 병 | 불이법문 | 직심이 보살정토 | 본래 죄가 없다 | 악도가 곧 최상의 길
| 선불교 관련 경구들
14. 화엄경
일체유심조 | 일진법계 | 일즉일체다즉일 | 바다와 파도 | 정진과 믿음 | 보리심 | 법성, 깨달음 | 보현행원 | 살펴볼 경구들
15. 법화경
일불승 | 개시오입 | 법화경 사구게 | 법사 | 만선 성불사상 | 구원실성의 본래부처 | 상불경보살 | 불타는 집의 비유 | 장자궁자의 비유 | 초목의 비유 | 화성의 비유 | 계주의 비유 | 왕계의 비유 | 의사의 비유
16. 아미타경
서방정토 극락세계 아미타불 | 아미타불의 세계에 태어나기를 발원
17. 무량수경
불국토가 여기에 있다 | 발원하면 성취된다 | 무상삼매와 무원삼매 | 손바닥 위의 세계 | 법문을 듣고 부처 되어 중생을 구제하라 | 있어도 걱정, 없어도 걱정
18. 열반경
상락아정 | 사무량심 | 일천제 | 불신상주 | 악업을 끊을 수 있다 | 공덕천과 흑암녀 | 열반경 사구게 | 살펴볼 경구들
19. 원각경
허공꽃 | 원각 | 방편 | 구경각 | 수행자의 4가지 병 | 원각경 사구게
20. 능엄경
보는 성품 | 손가락을 구부리고 피는 것 | 바다와 물결의 비유 | 진여의 성품 | 듣는 성품 | 머리를 찾는 연야달다
21. 능가경
장식과 여래장 | 삼계유심, 유식무경 | 점수와 돈오 | 삼자성상 | 오법 | 4가지 선, 인무아와 법무아 | 선불교와 관련된 경구
22. 승만경
승만부인의 십대원 | 3가지 서원과 하나의 큰 서원 | 여래장
23. 해심밀경
삼성 | 삼무자성 | 승의제 | 아타나식
24. 여래장경
여래장 | 여래장을 밝히려면 불법을 만나 수행하라 | 여래장의 9가지 비유
25. 부증불감경
증가와 감소 | 중생이 곧 여래장
26. 대일경
삼구법문 | 일체법이 곧 실상 | 본성은 공함
Ⅲ. 대승논서
초기경전의 해설서, 논장의 성립 | 부파불교의 논장 | 대승불교의 논장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중론 | 유식삼십송
27. 대승기신론
일심이문 | 시각과 본각 | 염법훈습과 정법훈습
28. 대지도론
법도 취하지 말라 | 반야바라밀은 다툼이 없다 | 무아인데‘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고하는 이유 | 듣는 자가 없으나 인연 따라 듣는다 | 사리불도 부처님에 비하면 어린이 수준 | 법의 실상 | 수희찬탄의 공덕
29. 중론
팔불중도 | 연기=공=가명=중도 | 공, 사성제, 수행 | 무생
30. 유식삼십송
3가지 마음 | 삼성 | 삼무성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