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일제 군국주의 식민지 노예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한 교육현실을 비판하면서 어린이들을 지키고 삶을 가꾸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스무 살인 1944년부터 퇴직하기까지 43년 동안 교사로서, 어린이문학가로서 “아이들을 정직하고 진실한 사람으로 키우는 일”에 힘을 쏟았던 이오덕 선생의 『우리글 바로쓰기』시리즈이다.
이 책은 한결같이 ‘우리 말 살리기’라는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의 말과 글을 아름다우면서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또한 외래어를 분별하여 쓰는 법과 잘못 쓰이는 외래어를 바로 잡을 방안들도 제시하고 있다. 1권은 92년 개정된 개정판이며, 선생이 잡지에 연재한 글을 모아 낸 것이 2권, 95년 3권을 펴낸 바 있다. 4권과 5권은 이오덕 선생 사후에 출간된 책으로 외래어 사용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는 글과 어린이를 위한 살아 있는 글쓰기와 풍부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작가 소개
저자 : 이오덕
아동문학가,우리말 연구가. 1925년 경북 청송에서 농사짓는 집안에서 태어나 한평생 우리나라 말을 일으켜 세우고, 아동문학의 터를 닦는데 노력했다. ‘교사들이 아이들을 가르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아 보여’서 공무원을 그만두고 1944년 청송 부동초등학교에서부터 1986년 독재정권의 강압에 못 이겨 그만 학교를 떠나야 할 때까지 마흔세 해 동안 아이들에게 착하고 맑은 마음으로 세상과 자기 삶을 있는 그대로 보고 느끼는 글을 쓰도록 가르쳤다. 2003년 작고 전까지 아동 문학 평론가로서 어린이들이 올바른 글쓰기 교육을 하도록 이끌었고,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어린이문학협의회’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들을 꾸렸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여는 바탕이 되었다. 한국 아동문학상과 단재상을 받았으며, 어린이를 사랑하고 아끼고 돌보는 일과 어린이 문학, 우리말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쳤다.
그동안 쓰고 엮은 책으로 『아동시론』『별들의 합창』『까만 새』『시정신과 유희정신』『일하는 아이들』『삶과 믿음의 교실』『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어린이를 지키는 문학』『이 땅의 아이들 위해』『울면서 하는 숙제』『종달새 우는 아침』『개구리 울던 마을』『거꾸로 사는 재미』『삶·문학·교육』『우리 문장 쓰기』『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참교육으로 가는 길』『농사꾼 아이들의 노래』『문학의 길 교육의 길』『나무처럼 산처럼』『어린이책 이야기』『아이들에게 배워야 한다』『감자를 먹으며』『우리 말 살려쓰기(하나),(둘)』『고든박골 가는 길』 등 다수가 있다.
목차
1권
제1부 우리 말을 파괴하는 외래어
중국글자말에서 풀려나기
우리 말을 병들게 하는 일본말
서양말 홍수가 졌다
제2부 말의 민주화와 글쓰기
말의 민주화 1
말의 민주화 2
글쓰기와 우리말 살리기
2권
제1부 우리 말 살려쓰기
우리 말 살리기 1
우리 말 살리기 2
제2부 겨레를 살리는 우리 말
말이 살아야 겨레가 산다
듣는 말, 들려주는 말
제3부 지식인의 말과 백성의 말
지식인의 글과 백성의 말
대학신문과 교지의 글
제4부 소설로 본 우리 문장
옛소설과 신소설, 이광수 김동인의 소설 문장
1920년대 대표 작가들의 소설 문장
카프 작가들의 소설문장
1930년대 작가들의 소설문장
3권
제1부 우리는 어떤 글을 써왔나
우리 말이 걸어온 길
우리 겨레의 얼을 빼는 일본말
제2부 오염된 말로는 민주언론 못 세운다
모든 문제가 말 속에 있습니다
누가 말을 죽입니까, 누가 말을 살립니까
제3부 우리말 바로쓰기 기준
배달말은 배달겨레의 생명입니다
말과 글, 어떻게 살릴까요
제4부 방송말, 농사말 바로쓰기
방송말 바로잡기
농사말 바로 쓰기
사투리, 이 좋은 우리 말
4권
제1부 외래어와 맞서기
우리 말을 살려 쓰려는 뜻
한자말, 어떻게 볼 것인가
없애야 할 일본말들
영어 사용, 어떻게 볼 것인가
우리 말을 쓰려는 사람들
제2부 바로잡기
신문의 글, 무엇이 문제인가
고쳐야 할, 신문의 말
삶에 파고든 병든 말
5권
제1부 어린이를 위한 살아있는 글쓰기
살아있는 글은 어떤 글인가
좋은 글은 어떻게 써야 하나
어린이 글에서 배우기
제2부 글쓰기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우리 교육의 문제
아이들 글에 나타나는 교육의 문제
어린이 문학이 가야할 길
제3부 어른들의 글쓰기
글쓰기 원칙
시쓰기
인터뷰 글쓰기
글 다듬어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