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하늘에서 온 글, 한글  이미지

하늘에서 온 글, 한글
훈민정음의 글자 짓기에 따른 새 한글 지도안
수신제 | 부모님 | 2017.12.05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8,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7x22 | 0.473Kg | 249p
  • ISBN
  • 979119546533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훈민정음의 글자 짓기에 따른 새 한글 지도안 <하늘에서 온 글, 한글>. 저자들은 이 책에서 새로운 언어교육의 이정표를 제시한다. 훈민정음이 밝히고 있는 제자원리를 충실히 이해, 활용하고 방법상 아동의 첫 문자 습득 시기에 반드시 따라야 할 감성적 교육 방식들을 결합하여 언어의 습득이 의식의 발달로 직결될 수 있는 교육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1부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제자원리를 알았을 때 일어날 폭넓은 개념 이해의 실제를 제시한다. 2부에서는 1부에 기초해 교육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어린이들을 위한 한글 수업지도안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이 책의 지도안은 학교 현장의 여러 교사분들이 수년간 실천해온 수업 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탁상공론이 아니라 현장에서 검증된 방법들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업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저자들은 이 책에서 새로운 언어교육의 이정표를 제시한다. 훈민정음이 밝히고 있는 제자원리를 충실히 이해, 활용하고 방법상 아동의 첫 문자 습득 시기에 반드시 따라야 할 감성적 교육 방식들을 결합하여 언어의 습득이 의식의 발달로 직결될 수 있는 교육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책의 1부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제자원리를 알았을 때 일어날 폭넓은 개념 이해의 실제를 제시한다. 2부에서는 1부에 기초해 교육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어린이들을 위한 한글 수업지도안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이 책의 지도안은 학교 현장의 여러 교사분들이 수년간 실천해온 수업 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탁상공론이 아니라 현장에서 검증된 방법들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업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1. 언어교육의 혁신!

이 책은 두 가지 점에서 완전히 새로운 문자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국내 최초로 한글이 뜻글자임을 훈민정음 해례본에 기초하여 밝혔다. 한글이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고 결과적으로 대단히 과학적, 실용적이라는 말은 수없이 해왔지만 소리-모양-뜻이 삼위일체되어 있는 궁극의 문자임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더구나 이런 사실을 검증 불가능한 사료나 논리적 비약 없이 훈민정음 해례본 자체의 해석을 통해 밝힌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둘째,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체화하고 문자 인식이 곧 의식 발달로 이어질 수 있는 획기적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발달단계에 따른 감성적 교육 방법의 시도는 꾸준히 있어왔지만 이를 뜻글자 한글에 구체적으로 접목한 시도는 국내 최초이다. 더구나 이 책에 담긴 모든 수업 자료는 탁상공론이 아니라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직접 실천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현행 초등학교 문자교육 시수까지 고려하여 실제 교육방법의 전수와 실천이 가능하도록 꾸몄다.

2. 의식의 기초로서 언어와 우리 교육현실

언어는 의식 형성의 기초이다. 따라서 언어 수준 그 자체가 문화 수준을 결정하는 토대임은 말할 것도 없다. 말은 감성을 키우고 글은 이성을 북돋는다. 이 둘의 조화는 도덕성과 사회성의 기초가 되어 공동체의 건강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말과 글의 수준은 한 사회의 가치관과 합리성 정도를 결정하는 척도가 된다. 너무나 당연한 명제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모국어의 교육과 이해는 일천한 상황이다.
우리는 세계 최고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한글은 인류 모든 문자의 꿈인 소리-기호-의미의 삼위일체 연결을 극대화한 위대한 문화유산이다. 이런 우수한 문자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는 한글이 가진 문화적 잠재력을 의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그 위력의 몇 분의 일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글은 통념처럼 표음어일 뿐 아니라 표의성을 겸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을 지은 집현전 학자들을 대표해 후서를 남긴 정인지의 글에 이 같은 뜻이 분명히 선언되어 있다.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유천지자연지성 즉필유천지자연지문. 소이고인인성제자 이통만물지정 이재삼재지도 이후세불능역야.)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다면 곧 반드시 천지자연의 무늬(문자)가 있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소리에 따라서 글자를 만들어, 만물의 뜻을 통하게 하고 삼재의 도리를 실었으므로 후세 사람이 능히 바꾸지 못한다.

소리, 형태, 만물의 뜻을 연결해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만든 원리는 성리학적 세계관을 뜻하는 ‘삼재지도’의 원리인데, 이것이 보편성이 있으므로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며 엄밀한 법칙성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삼재지도’는 직접적으로는 ‘천지인’을 뜻하는 것이지만 태극-음양-삼재-사상-오행이 모두 연결되어 성리학의 세계관을 구성하므로 그 사상 전체를 상징하는 언명으로 보아야 한다.
한글은 문자 진화사에서 최종 형태로 여겨지는 ‘자질문자’에 해당하는 유일한 문자이다. 표의성, 표음성을 동시에 갖는 것은 물론이고 표현할 수 있는 음가의 다양성 역시 모든 문자 중 압도적인 최고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토록 우수한 문자인 한글을 사용하면서도 우리는 그 혜택을 제대로 받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3. 새로운 언어교육의 기대 효과

훈민정음 제자원리 교육의 기대 효과

1. 언어 습득 과정이 가진 추상과 추론 능력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대상을 정명(正名)할 수도 있고 새로운 개념의 내용을 추론할 수도 있다. 음소가 어떤 자연 대상, 내적 정서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이해하면서 문자를 배운다면 우리는 말글에서 체험과 감정, 이들의 추상화 과정으로 사회적 의미가 도출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가 깊어지면 새로운 현상을 정의, 설명하는 소위 ‘개념 설계 능력’이 키워질 것이다. 역으로 새로운 개념이더라도 그것이 상형에 기초한 표의성이 있음을 안다면 그 뜻을 추론할 수도 있다. 이렇게 말과 글이 자연의 질서와 그 체험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은유적으로 압축한 것이라는 것을 자각하면서 이용하면 언어의 발달이 의식 성장에 미치는 효과가 비약적으로 커질 것이다.
2. 언어 형성 과정 논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곧 대상에 대한 주체의 태도와 관계, 의미를 아는 것이므로 세계관과 가치관의 정립 과정이기도 하다. 내가 겪는 자연과 체험 일체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자각하는 것이 곧 주체의 위상과 역할의 인식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언어교육이 곧 인성교육이기도 한 것이다.
3. 대상을 추상기호(문자)로, 문자를 의미로 치환시키는 과정에서 발달하는 사고력의 성숙이 논리-판단-개념 설계-창의 능력까지 이어진다.
4. 자질문자의 특징을 체득하면 그보다 진화적으로 아래 단계인 음소문자(영어), 음절문자(일어, 중국어), 표어·단어문자(한문) 등의 이해 습득 능력이 자연히 높아질 것이다. 고난이도의 논리는 저난이도 내용을 자연스럽게 내포하기 때문이다.
5. 어린이 및 초등학생들의 사물과 현상에 대한 호기심이 지적 희열의 과정으로 해소되고 북돋아질 수 있다. 많은 이들은 성장 과정에서 명칭과 대상의 성격 간 관계에 호기심을 갖는다. ‘아빠, 저것을 왜 해라고 불러?’라는 순진한 아이의 질문은 더없이 소중하지만 우리는 이 소박하고 근본적인 물음에 어떤 답도 주지 못해왔고 스스로 납득되지 않는 것을 외워야 하는 과정으로서 공부는 그 자체로 앎에 대한 흥미를 크게 떨어뜨린다. 그러나 말글이 체험과 질서 있게 연결되어 있음을 배워간다면 이 부작용은 극복될 수 있다.
6. 한국 사회에 만연한 학문적 개념 혼란, 번역어의 교란이 대폭 해소될 수 있다. 한글전용화로 한문을 배제하고 한글의 표의성도 외면한 채 이루어진 언어교육에 의해 사회적으로 합의된 문자 사용의 엄밀성, 정확성이 크게 훼손되었음을 생각해보면 이를 바로잡는 노력은 곧바로 사회 전체의 문자교양 수준을 높이는 일이 될 것이다.
7. 미술, 음악 등 예술적 표현양식과 언어 간 의미연관성이 대폭 높아지고 시각적, 청각적 감성과 언어문자 간 의미, 상징의 크로스오버가 가능해질 것이다. 가령, ?노랑?이라는 단어가 ‘ㄴ(화)가 ㅗ(떠올라) ㄹ(순환운동)’ 하는 뜻이란 것을 안다면, 공중에 떠서 운동하는 불이 해를 지시하는 것이란 사실을 안다면 색채에 대한 감성적 인식은 보다 풍성해질 것이다.

음소에 대한 교육을 이야기로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이 시기 아이들이 세계를 동화적 환상과 상상으로 이해하고 있을 때이고 교육은 철저히 학생의 의식상태에 부합하는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음소가 가진 의미와 형상이 한편으로는 동화적 상상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체험 가능한 형상에 의해 머릿속에서 연결될 때 아이는 문자를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놀잇감으로 여기게 됩니다. 이 시기 아이들에게 놀이는 학습과 대립하는 과정이 아니고 오히려 학습 자체입니다.

감각 체험과 감성, 이성으로 이어지는 인식 발달은 몸과 말, 글로 이어지는 언어 발달과 조응합니다. 그런데 이 전체 과정을 포괄하고 연결해 주는 어떤 일관된 틀이 없다면 우리 인식은 분열과 파편화를 면할 수 없게 됩니다. 체험 없는 감성, 감성 없는 이성은 내용 없는 형식과 같은 것입니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한글이라는 최고의 문자가 있고, 더불어 세계 문자사에서 유일하게 그 제작과 형성 원리를 설명한 훈민정음이 있습니다. 음양오행이라는 세계관을 바탕으로 소리-형태-뜻을 일관되게 연결한 놀라운 문화유산이 있습니다.

‘한글’의 뜻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부분 고개를 갸웃할 것입니다. 어떤 이는 고유명사이니 따로 정의가 필요치 않다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무슨 그런 질문이 있냐고. 그래도 어린이나 외국인은 순진하고 자연스러운 입장에서 얼마든지 물을 수 있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우리말에 대한 공부가 좀 있는 이들은 ‘큰(위대한)’ 글이란 뜻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한’이 왜 ‘크고 위대한’이란 뜻으로 풀이되느냐고 물으면 답할 수 있는 이가 있을까요? ‘한’이 ‘크고 위대하다’란 뜻을 가진 글자임을 이해하려면 자음과 모음, 한 자 한 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ㅎ은 오성 값은 후음. 오음 값은 우음입니다. 오행으로 변환하면 수(水)의 성질을 가진 음입니다. 그런데 동양 문화에서 수(水)는 모든 운동의 출발점이자 귀숙처란 의미를 지니고 음양이 분화되기 전 상태의 태극(太極)의 성질을 띠고 있습니다. 동양에서 수=태극의 위상은 도(道)나 신(神)과 같습니다. 성리학의 바탕이 된 태극도설이라는 그림이 이러한 사유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후(우)음에도 음양이 나뉘어 ㅇ은 상대적으로 내적, 잠재적 근원이라면 ㅎ은 그것이 양적으로 드러난 형상이 됩니다. 모음 ㅏ는 초출 2번째 모음으로 사계절의 봄이자 목(木)값을 가진 각(角)음입니다. 목의 기본 성질은 외부로 발출하는 힘입니다. 종성 자음 ㄴ은 설음의 첫째이며 이제 막 피어난 불, 화(火)를 뜻합니다. 의미상으로는 밝고 환한 상태입니다. 초·중·종성의 오행 값을 회의문자 파자하듯 풀어보면, 양태극(근원, 영원의 나타남)이 힘차게 출현했다는 뜻이 됩니다. 한글은 근원적인 태극이 힘차게 드러난 글, 그래서 크고 위대한 글이 되는 것입니다.

  작가 소개

저자 : 박규현
고려대학교 법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공부하였다. 현재 한국발도르프협동조합의 이사장직을 맡고 있으며 경기도 양평에서 발도르프 학교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인류 보편 가치의 수행과 교육운동을 화두로, 발도르프 교육의 바탕 철학인 인지학(Anthroposophy)과 동양 사상의 종합, 전통의 현대화를 위한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맑스, 프로이트, 니체를 넘어>(새길, 공저), <니체와 해석의 문제>(푸른숲, 번역), <학문의 구조사전>(더난출판, 감수), <어린 왕자: 내 안의 구도자>(수신제), <잃어버린 신을 찾아서: 도마복음>(수신제) 등의 작품이 있다.

저자 : 조진요
경기도 강상초등학교 교사.

저자 : 류명숙
경기도 강상초등학교 교사.

저자 : 이현주
서울 창경초등학교 교사.

저자 : 유재연
경기도 양평 햇살아래 어린이집 원장.

저자 : 김남숙
경기도 광명 우리숲 어린이집 대표교사.

  목차

머리말
추천사

제1부 한글 제자 원리에 따른 문자 교육의 의의와 방향

1장 수업 원칙
발달 단계에 따른 수업
감성적 접근
제자 원리를 활용한 교육

2장 말과 글이 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의식 발달 단계
말과 글의 차이

3장 언어 발달 주체성, 시민 의식 관계
근대적 ‘개인’과 ‘국민’
감성과 이성의 조화 = 양심과 의식의 성숙

4장 한글 제자 원리 교육의 필요성
자질 문자의 의의: 문자 발달의 최고 진화 형태
음소의 표의성
훈민정음 제자 원리 교육의 기대 효과

5장 훈민정음의 구성과 주요 내용
예의편
정인지 후서
해례본 제자해

6장 파자해
기본 규칙
파자 적용
실례: 파자해 에세이

제2부 한글 수업 이렇게 해 보세요

1장 대표 수업 예시: ㅁ, ㅂ, ㅍ
· ㅁ―모으다, 종합한다, 뭉쳐 있다
첫 번째 수업―이야기로 ‘ㅁ’ 만나기/두 번째 수업― 그림으로 ‘ㅁ’ 만나기, 몸으로 ‘ㅁ’ 익히기/세 번째 수업―‘ㅁ’이 들어가는 낱말 만나기, 문장 만 들기
· ㅂ―붙고, 떨어지고, 쌓이고, 보이고, 부풀어 오르 고(수직 운동)
첫 번째 수업―이야기로, 그림으로 ‘ㅂ’ 만나기/두 번째 수업―몸으로 ‘ㅂ’ 익히기, ‘ㅂ’ 시 쓰기/세 번 째 수업―‘ㅂ’ 낱말 찾아 쓰기
· ㅍ―펼침, 퍼짐, 평평(수평 운동)
첫 번째 수업―이야기로 ‘ㅍ’ 만나기/두 번째 수업― 몸으로 ‘ㅍ’ 익히기, ‘ㅍ’ 시 쓰기/세 번째 수업― ‘ㅍ’ 낱말 찾아 쓰기

2장 마음 밭 다지기
여는 시
글자 이야기
몸 놀이(라이겐)
우리 말글 노래

3장 홀소리(모음) 자료
天地人(· ㅡ ㅣ)
초출모음(ㅗ ㅏ ㅜ ㅓ)
재출모음(ㅛ ㅑ ㅠ ㅕ)

4장 닿소리(모음) 자료
어금닛소리(아음) ㄱ ㅋ ㄲ
혓소리(설음) ㄴ ㄷ ㅌ ㄸ ㄹ
입술소리(순음) ㅁ ㅂ ㅍ
잇소리(치음) ㅅ ㅈ ㅊ ㅆ
목구멍소리(후음) ㅇ ㅎ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