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미타경은 아미타불의 본원력(本願力)으로 이루어진 극락세계의 장엄을 설명하는 경전이다. 이 책은 우리말 아미타경을 6번 쓸 수 있도록 엮은 사경본이다. 경전을 깊이 이해하려는 목적도 있지만, 신심을 증장시키고 참회와 발원 삼매에 이르는 수행적 의미가 크다.
출판사 리뷰
■ 우리말 아미타경은?
아미타경은 아미타불의 본원력(本願力)으로 이루어진 극락세계의 장엄을 설명하는 경전입니다.
정토(淨土)에 왕생하는 길이 아미타불을 칭명염불(稱名念佛)하는 데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무량수경·관무량수경과 함께 정토삼부경이라고 하며, 불교신도들 사이에 가장 많이 유포되어 독송되던 경전 가운데 하나입니다.
아미타경은 여러 차례 한역(漢譯)되었는데, 구마라집(鳩摩羅什) 번역본이 가장 널리 유포되었습니다. 이 책 우리말 아미타경은 『혜총 스님의 아미타경 강설』(조계종출판사)에 실린 운허용하(耘虛龍夏, 1892-1980)스님의 한글본을 저본으로 했습니다.
■ 사경이란?
사경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긴 경전과 다라니 등을 옮겨 쓰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경전을 깊이 이해하려는 목적도 있지만, 신심을 증장시키고 참회와 발원 삼매에 이르는 수행적 의미가 큽니다.
또한 돌아가신 부모의 명복과 나라의 안녕을 위한 발원으로 사경한 내용을 불상, 탑 등에 모실 때 사리 및 장엄구 등과 함께 봉안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후대에 전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사경의 공덕
어리석고 어둡던 마음이 밝아지고 총명해진다.
심한 번민과 갈등이 가라앉고 편안한 마음을 회복한다.
오랜 병고가 무너지고 심신이 강건해진다.
속세의 업장이 소멸되고 마음은 무한한 기쁨과 환희심으로 충만된다.
소원이 이루어지고 한량없는 부처님의 가피력을 지닌다.
인내력과 정진력이 뛰어나 어려운 일 없이 모든 일이 원만히 성취된다.
■ 사경의 방법
1. 몸을 정결히 하고 옷차림을 단정히 합니다.
(사경 준비 : 사경상, 방석, 필기도구 등)
2. 경건한 마음으로 합장하며 사경할 부분을 독송합니다.
3. 마음을 고요히 하고 정성스레 사경을 시작합니다.
4. 사경을 마친 후 옮겨 쓴 경을 독송합니다.
5. 독송이 끝나면 사경한 날짜를 쓰고, 사경 발원문을 생각하며 축원합니다.
6. 삼배로 의식을 마칩니다.
7. 완성된 사경은 집 안에서 가장 높은 곳이나 정갈한 곳에 보관하거나 부처님 전에 올립니다.
■ 사경 횟수
이 사경집은 우리말 아미타경을 6번 쓸 수 있도록 엮었습니다.
부족하다고 여겨지면 형편에 맞춰 더 사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무작정 사경 횟수만을 맞추기보다는 각자의 원력이나 형편에 맞추어 쓰면서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조계종출판사 편집부
<절수행 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