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에세이,시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 : 개정판 이미지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 : 개정판
창비 | 부모님 | 2006.11.07
  • 정가
  • 13,000원
  • 판매가
  • 11,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585P (5% 적립)
  • 상세정보
  • 15.7x22.3x2.3 | 0.600Kg | 375p
  • ISBN
  • 978893647118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암울했던 시대, 남민전 사건으로 귀국하지 못한 채 빠리에서 택시를 몰아야 했던 ‘똘레랑스의 전도사’ 홍세화가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를 출간한 후 10여 년 만에 낸 개정판. 저자는 이미 한국에 돌아와 자유롭게 살고 있지만 돌아와서 본 한국은 달라졌으면서도 달라진 게 없다고, 그래서 여전히 똘레랑스는 유효하다고, ‘차이’를 ‘차별’의 근거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본문을 전체적으로 수정하고 똘레랑스를 다룬 보론을 증보하는 한편, 최근 빠리의 사진을 컬러로 실어 보는 즐거움을 더했다.

  출판사 리뷰

“나는 당신의 견해에 반대한다. 그러나 나는 당신이 그 견해를 지킬 수 있도록 끝까지 싸우겠다.” ―볼테르

암울했던 시대, 남민전 사건으로 귀국하지 못한 채 빠리에서 택시를 몰아야 했던 ‘똘레랑스의 전도사’ 홍세화가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출간 10여 년 만에 개정판을 냈다. 저자는 이미 한국에 돌아와 자유롭게 살고 있지만 돌아와서 본 한국은 달라졌으면서도 달라진 게 없다고, 그래서 여전히 똘레랑스는 유효하다고, ‘차이’를 ‘차별’의 근거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본문을 전체적으로 수정하고 똘레랑스를 다룬 보론을 증보하는 한편, 최근 빠리의 사진을 컬러로 실어 보는 즐거움을 더했다.

10여 년간 한국에 똘레랑스의 메시지를 전해온 베스트셀러
1995년 초판이 출간된 이후로 11년이 지난 현재까지 60쇄를 거듭하면서 수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홍세화의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개정판이다. 삼풍백화점이 무너지고 전두환·노태우 비자금 사건이 터지던 1995년 당시, ‘똘레랑스’라는 독특한 개념을 제시하면서 우리 사회에 진지한 성찰을 요구했던 이 책은 출간 직후부터 열광적인 호응을 받았다. 당시에도 아직 짙게 남아 있던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저자는 진지하면서도 조곤조곤하게 상식적인 배려와 용인의 미덕에 대해 들려주었고, 그러한 ‘상식’조차 없었던 사회에 그 울림은 조금씩 퍼져나갔다. 이제 어느덧 10여 년이 지나 무사히 귀국한 저자는 유명인사가 되었고, 이 책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역시 대학 새내기들의 필독서가 되어 ‘안 읽으면 창피한’ 책이 되었다. 그런데 이 책 이후에도 저자의 다른 책들이 출간되었지만, 그 책들과 달리 이 책은 어떤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개진하지 않으면서도, 핍진하면서도 기뻤고 행복하면서도 힘들었던 빠리 시절의 체험을 담담하고 솔직하게 그려보였기 때문에 오히려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 저자의 조용한 성격이 묻어나는 재미있는 에피소드와 회상 들, 만나고 헤어졌던 수많은 국적의 사람들에 대한 얘기, 똘레랑스의 바탕 위에서 살아가는 빠리지앵들의 생활태도는 고등학생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사랑을 받았다.

영원한 미완의 과제, 똘레랑스
초판 출간 당시 남민전 사건에 연루되어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던 저자는 2002년 귀국해 그간 여러 가지 사회운동을 해왔고 이제 유명한 지성인이자 언론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면 10년이 지나 그가 보는 우리 사회는 어떨까? 저자가 보기엔 세상이 바뀌긴 했지만 그것은 겉모습일 뿐 “그 변화란 불평등과 억압, 배제의 행태만 바뀐 것, 다시 말해 그것들이 노골적이었던 데서 은밀하게, 그러나 구조적으로 바뀐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처럼 “달라졌으면서 달라진 게 없는” 세상이기 때문에 이 책이 가진 메시지, 즉 ‘차이를 차별, 억압, 배제의 근거로 삼지 말라’는 똘레랑스의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이 책에서 말하는 똘레랑스가 상식적이고 근본적인 만큼이나 그것의 실현은 멀고도 어려운 과제다. 10여 년 전 저자를 빠리에 묶어두었던 ‘보이는 폭력’은 사라졌지만, 저자가 여전히 전하려는 똘레랑스는 비단 정부나 권력자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아주 작은 생활의 태도들을 통해서도 똘레랑스를 강조하고, 때로는 진보연하면서 자기기만의 늪에 빠져 있는 자칭 ‘운동가’를 통해서도 똘레랑스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따라서 저자는 이번 판에서 증보한 보론에서 똘레랑스는 “관용이라기보다 용인(容忍)이며, 화이부동(和而不同)”이라고 말한다. 즉 힘 있는 자에게 베풀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닌, 또 내가 타자의 위에서 ‘베푸는’ 것이 아닌, 타자를 “다른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역사의 교훈”이 바로 똘레랑스라고, 10여 년 더한 깊이를 가지고 말한다. 이런 점에서 똘레랑스는 역사적 사명을 다하고 사라질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어떤 삶의 태도이며, 인간 사회에서 영원히 요구되는 최소한의 배려다. 이 책이 여전히 우리에게 화두를 던지는 이유다.

개정판에서 바뀐 것들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개정판에선 저자가 본문 전체를 고치는 한편, 잘못된 부분과 오해의 소지가 있던 부분 등을 삭제하거나 수정했다. 하지만 전반적인 시점(時點)은 책의 성격상 당시의 시점을 그대로 유지해 내용의 생생함을 보존했다. 그 밖에 빽빽했던 본문을 시원스럽게 바꾸고, 흑백사진을 최근 빠리의 모습을 담은 컬러사진으로 바꿨다. 이제 사진으로도 파란 쁠라끄(개인택시)와 저자가 타던 빨간 쁠라끄(임차택시)를 구별할 수 있게 됐다.

  작가 소개

저자 : 홍세화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6년 서울대 공대 금속공학과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그만둔다. 그후 1969년에 다시 서울대 문리대 외교학과에 입학하게 된다. 재학중에 문리대 연극반에서 활동했으며, 72년 \'민족수호선언문\'사건으로 제적 당했으나, 1977년 졸업을 했다.

1970년대 후반 ‘민주투위’, ‘남민전’ 조직에 가담했으며, 1979년 3월 무역회사 해외지사 근무차 유럽으로 갔다가 ‘남민전’ 사건이 터져 귀국하지 못하고 파리에 정착했다. 이후 관광안내, 택시운전 등 여러 직업에 종사하면서 망명생활 중 1995년 자전적 고백인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를 발간했다. 2002년 23년만에 영구 귀국해 현재 「한겨레」 기획의원, ‘학벌 없는 사회’ 공동대표, 마포 ‘민중의 집’ 공동대표이며, 진보신당의 당원이기도 하다. 2002년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민주시민언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빨간 신호등> 등이 옮긴 책으로 <우리는 평화를 배운다> 등이 있다.

  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서장 '빠리에 오세요'

제1부_빠리의 어느 이방인

당신은 어느 나라에서 왔소?
한 사회와 다른 사회의 만남
이방인
떠나온 땅
길을 물어가며
아듀! 고물택시
나도 승차거부를 했다
씰비와 실비
망명 신청, 갈 수 없는 나라

제2부_갈 수 없는 나라, 꼬레

회상1: 잔인한 땅
택시 손님으로 만난 한국인들
빠리를 누비며
한 송이 빨간 장미
수현과 용빈에게
회상2: 방황의 계절
회상3: 가슴의 부름으로
뉴옌과 나
마지막 눈물

보론: 프랑스 사회의 똘레랑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