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임원경제지 상택지 이미지

임원경제지 상택지
풍석문화재단 | 부모님 | 2019.03.29
  • 정가
  • 33,000원
  • 판매가
  • 29,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650P (5% 적립)
  • 상세정보
  • 22.5x15.2 | 1.224Kg | 644p
  • ISBN
  • 979118980101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 · 중국 · 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상택지》는 ‘집터 살피기’, ‘집 가꾸기’, ‘전국의 명당’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터 살피기’에서는 풍수지리학을 바탕으로 살기 좋은 곳과 피해야 할 곳을 알려주고, 지리적 요소, 물과 흙, 생업 조건, 인심 등도 함께 고려하라고 충고한다.

  출판사 리뷰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 · 중국 · 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는 총 16개의 분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곡식 농사에 관한 기록인 《본리지(本利志)》, 식용 식물과 약용 식물에 관한 기록인 《관휴지(灌休志)》, 화훼농사에 관한 기록인 《예원지(藝苑志)》, 과실과 나무에 관련된 기록인 《만학지(晩學志)》, 옷감 재료의 생산과 그 만드는 법에 관한 기록인 《전공지(展功志)》,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보고 기상을 예측하는 방법을 기록한 《위선지(魏鮮志)》, 목축 · 사냥 · 어로에 관련된 기록인 《전어지(佃漁志)》, 솥과 도마로 대표되는 음식의 조리법과 재료의 효능에 관한 기록인 《정조지(鼎俎志)》, 쓰는 물건을 넉넉하게 한다는 뜻으로 건축과 일용품에 관한 기록인 《섬용지(贍用志)》, 몸을 양생하는 일과 관련된 기록인 《보양지(保養志)》,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이라는 뜻으로 의학에 관한 내용을 적은 《인제지(仁濟志)》, 향촌의 의례에 관한 기록인 《향례지(鄕禮志)》, 교양 지식에 관한 기록인 《유예지(遊藝志)》, 문화생활에 관한 기록인 《이운지(怡雲志)》, 좋은 집터를 살피는 일에 관한 기록인 《상택지(相宅志)》, 경제와 상업 활동에 관한 《예규지(倪圭志)》가 그것이다.
《상택지》는 ‘집터 살피기’, ‘집 가꾸기’, ‘전국의 명당’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터 살피기’에서는 풍수지리학을 바탕으로 살기 좋은 곳과 피해야 할 곳을 알려주고, 지리적 요소, 물과 흙, 생업 조건, 인심 등도 함께 고려하라고 충고한다. ‘집 가꾸기’에서는 황무지를 개간하는 요령부터 나무를 심어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하고 방위를 정해서 집과 대문, 창고, 변소, 마구간을 짓는 과정, 연못과 우물의 배치 등도 자세히 알려준다. 이어서 ‘전국의 명당’에서는 총 233곳의 명당을 소개했다. 조선 시대에 소개된 명당 중 최대의 양을 자랑한다. 경기 82곳, 충청 56곳, 강원 42곳, 경상 25곳, 전라 17곳, 황해 5곳, 평안 3곳, 함경 3곳 등이다. 소개된 명당이 경기도와 충청도에 집중된 이유는 그곳에 실제로 명당이 많아서라기보다는 사대부가 발탁이 되었을 때 곧장 관직에 나아갈 수 있는 여건이 가장 좋았기 때문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풍수지리서

일반적인 풍수지리서는 오행과 육기, 앞과 뒤의 방향과 순리와 역리에 근거하여 온갖 금기를 적는 경우가 많다. 《상택지》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풍수지리서에서 제시하는 틀을 깨고 합리적이면서도 상식적인 내용에 더해 본인의 경험이나 지식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풍수지리서를 지향하고 있다.
《상택지》서문에 보면 서유구는 “향배(向背)와 순역(順逆)의 자리를 따지고 오행육기의 운수를 살피는 술수가들이 하는 일은 군자는 취하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선비로서 “춥고 따뜻한 방향을 따져보고, 물을 마시기 편안한 곳”을 잘 살펴 임원에 거처를 마련하여 살 때 지리와 형세가 유리한 땅을 골라 자신을 보호하여 “선비의 올바른 공부에 도움”을 주기 위한 서유구의 집필 의도가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철저한 지명 고증, 도록을 방불케 하다

이 책은 지리와 관한 입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지도 및 사진과 삽화를 대거 추가했다. 총 275점의 고지도와 현대지도에 살기 좋은 명당들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특히 조선의 지리를 입체적으로 잘 드러낸 《대동여지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모두 232점(전체 지도 중 84%)이나 된다. 이 외에도 《해동지도》17점, 《1872년 지방지도》6점, 《동여도》4점, 《팔도군현지도》3점,《청구도》2점,《조선지도》2점 《여지도》1점, 《광여도》1점, 《팔도지도》1점, 《삼한일람도》1점,《비변사인방안지도》1점, 《경기읍지》1점, 인터넷 포털사이트 다음지도 3점 등을 실었다. 또한 사진 115점과 삽화 37점까지 추가되어 도록(圖錄)을 방불케 한다.
최초의 번역서로서 원전에 소개된 모든 지명을 고증하고 이를 지도에 반영하려고 했던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며, 그 노력에 감탄이 절로 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서유구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목차

일러두기
《유예지》 해제
《유예지》 서문

상택지권제1 相宅志卷第一

집터살피기占基

1. 총론總論
1) 살 곳을 고르는 4가지 요점卜居四要
2) 살 곳을 고를 때는 반드시 기이 살펴 선택해야 한다論卜居須審擇
3) 육욕(六欲, 조건 6가지)과 육유(六有, 있어야 할 6가지)六欲、六有
4) 집을 지을 때는 반드시 인가와 들이 서로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한다論居必在人野相近處

2. 지리地理
1) 산을 등지고 호수를 마주하는 곳論背山面湖
2) 사람이 살 곳은 높고 깨끗하며 넓게 트여야 한다論人居宜高淨寬暢
3) 용의 다리가 오므려진 곳과 벌어진 곳論龍脚收放
4) 평지의 집터論平地陽基
5) 산골짜기의 집터山谷陽基
6) 사방의 형상論四象
7) 사방의 높낮이論四方高低
8) 특정 방위의 공간이 부족할 때論方位不足
9) 산의 형세論山形
10) 들의 형세論野勢
11) 물의 호응論水應
12) 물을 내보낼 때의 여러 금기放水雜忌
13) 집안에서 배수할 때의 여러 금기宅內出水雜忌
14) 수구論水口
15) 사의 호응論砂應
16) 바람이 불어오는 방위論風射方
17) 조산論朝山
18) 조수論朝水
19) 건조한 곳과 윤택한 곳論燥潤
20) 집터의 방향論向背

3. 물과 흙水土
1) 살 곳을 고를 때는 먼저 물과 흙을 살펴야 한다論卜居先看水土
2) 사람이 살 곳은 흙이 기름지고 물이 깊어야 좋다論人居欲土厚水深
3) 토질 확인하는 법驗壤法
4) 흙의 색論土色
5) 물과 흙을 함께 논한다合論水土
6) 산을 보고 샘물을 살피는 법看山相泉法
7) 샘물의 품등論泉品
8) 강물論江水
9) 우물물論井水
10) 수질 시험하는 법試水美惡法
11) 전국의 유명한 샘域內名泉
12) 전국의 산람장기가 깃든 땅域內土

4. 생업 조건生理
1) 살 곳을 고를 때는 농사와 장사에 편리한 곳을 택해야 한다論卜居宜便農賈
2) 살 곳을 고를 때는 먼저 농지를 보아야 한다論卜居先看田地3) 살 곳을 고를 때는 물건을 운송하여 팔기에 편리한 곳을 택해야 한다論卜居宜便貿遷

5. 인심이 인한 마을에 살기里仁
1) 살 곳을 고를 때는 마을 풍속을 살펴야 한다論卜居必視謠俗
2) 살면 안 되는 7곳七不可居
3) 재화와 이익이 모여드는 곳은 살면 안 된다論財利湊集處不可居
4) 팔도의 풍속論八域謠俗

6. 경치 좋은 곳勝槪
1) 높은 산과 급한 여울이 있는 곳에 살 곳을 정해서는 안 된다論高山急湍不宜奠居
2) 명산과 아름다운 물이 있는 곳에는 별장을 두어야 한다論名山、佳水宜置別業

7. 피해야 할 곳避忌
1) 살지 않는 9곳九不居
2) 피해야 할 거처 6곳六忌居
3) 피해야 할 거처 10곳十忌居
4) 살이 있는 5곳五箭地
5) 살 수 없는 6곳六不可居

집 가꾸기營治

1. 황무지 개간開荒
1) 황무지의 벌목법荒地伐木法
2) 집터 닦는 법開基法
3) 용맥 뚫기論龍脈穿鑿
4) 고지대를 깎아 저지대를 돋운다論鋤高益低

2. 나무 심기種植
1) 나무를 심어 사상을 대신하는 법種樹代四象法
2) 사람의 거처에는 수목이 푸르고 무성해야 한다論人居宜樹木翠茂
3) 수목의 향배論樹木向背
4) 나무 심을 때 피해야 할 점種樹宜忌
5) 살 곳을 골랐으면 서둘러 먼저 나무를 심어야한다論卜居急先種樹

3. 집 짓기와 배치建置
1) 방은 남향이어야 한다論居室宜向南
2) 방은 빈틈이 없어야 한다論居室須周密
3) 방은 깨끗해야 한다論室宇當令潔盛
4) 방은 사치스럽고 화려해서는 안 된다論居室不宜綺麗
5) 집은 너무 높거나 낮아서는 안 된다論屋無太高太低
6) 방을 지을 때는 소통이 잘 되도록 해야 한다論爲室宜令疏達
7) 집짓기의 여러 금기造屋雜忌
8) 대문을 내는 방향裝門方向
9) 대문을 낼 때의 여러 금기裝門雜忌
10) 길 내는 법取路法
11) 담장 쌓기의 여러 금기墻垣雜忌
12) 나무심어 울타리 삼는 법揷籬法
13) 창고의 방위倉庫方位
14) 방아와 맷돌 놓는 방위安、磨方位
15) 변소와 잿간을 배치하는 방위置糞屋方
16) 마구간 짓는 방위造方

4. 우물, 연못, 도랑井、池、溝渠
1) 샘 찾아 우물 파는 법審泉開井法
2) 인가에는 우물이 여러 개 있어야 한다論人家宜有數井
3) 우물 팔 때의 여러 금기鑿井雜忌
4) 연못 팔 때의 여러 금기池塘雜忌
5) 연못 파는 여러 방법池塘雜法
6) 도랑은 통하도록 준설해야 한다論溝渠宜通浚
7) 고지대에는 수고水庫, 물 저장고)를 만들어야 한다論高地宜作水庫

상택지권제2

전국의 명당八域名基
1. 전국총론八域統論
1) 경기도京畿
2) 충청도湖西
3) 전라도湖南
4) 경상도嶺南
5) 강원도關東
6) 황해도海西
7) 평안도關西
8) 함경도關北

2. 전국의 명당들名基條開1) 경기도京畿
누원촌樓院村망해촌望海村청룡동靑龍洞송산松山사천폐현沙川廢縣삼가대三佳臺가정자柯亭子반곡盤谷풍양壤토원院석실원촌石室院村평구역촌平邱驛村노원蘆原진벌촌榛伐村남일원南一原화산花山이곡梨谷수곡樹谷금수정金水亭창옥병蒼玉屛주원周原백로주白鷺洲백운동白雲洞농암農巖연곡燕谷화현花峴용호동龍虎洞조종朝宗청평천淸平川만취대翠臺경반鏡盤비금산秘琴山능우촌陵隅村감호鑑湖귀래정歸來亭벽계蘗溪용진龍津미원迷原봉황대鳳凰臺소계巢溪장생동長生洞행주幸州삼성당三聖堂서촌嶼村마산역촌馬山驛村화석정花石亭우계牛溪내소정來蘇亭용산龍山고랑포高浪浦정자포亭子浦기일촌基一村영통동靈通洞상수촌湘水村매화곡梅花谷징파도澄波渡삭녕읍촌朔寧邑村삼계정三溪亭여주읍촌驪州邑村이호梨湖천녕川寧시라리蒔蘿里장해원長海院안성읍촌安城邑村금령촌金嶺村비파호琵琶湖판교촌板橋村두현斗峴석림石林남자곡藍子谷장항獐項학탄鶴灘압구정狎鷗亭숙몽정夙夢亭자하동紫霞洞월파정月波亭장항獐項성곶리聲串里대부도大阜島신곡薪谷십승정十勝亭선원仙源

2) 충청도湖西
청라동靑蘿洞가야동伽倻洞판교천板橋川성연부곡聖淵部曲무릉동武陵洞합덕제合德堤화성化城광천廣川갈산葛山화계花溪성주동聖住洞유성儒城경천촌敬天村이인역촌利仁驛村유구촌維鳩村사송정四松亭강경포江景浦시진포市津浦진포鎭浦부여읍촌扶餘邑村왕진王津공세창촌貢稅倉村온양읍촌溫陽邑村풍세촌歲村구로동九老洞작천鵲川산동山東송면촌松面村이원진利遠津황산黃山안평계安平溪·금계錦溪·용화계龍華溪이화촌梨花村물한리物閑里이원梨院관대館垈풍계촌楓溪村용호龍湖채하계彩霞溪·구룡계九龍溪형강荊江고산정孤山亭진천읍촌鎭川邑村초평草坪석실石室후선정候仙亭황강黃江도화동桃花洞사인암舍人巖운암雲巖금천金遷가흥嘉興북창北倉목계木溪내창內倉말마리馬里대흥향교촌大興鄕校村수석동水石洞

3) 전라도湖南
율담栗潭봉상촌鳳翔村황산촌黃山村서지포西枝浦경양호景陽湖복흥촌復興村성원星園구만촌九灣村주줄천珠川제원천濟原川장계長溪주계朱溪변산邊山법성포法聖浦영산강靈山江월남촌月南村과 구림촌鳩林村송정松亭

4) 경상도嶺南
귀래정歸來亭삼귀정三龜亭하회河임하臨河내성奈城춘양촌春陽村수동壽洞옥산玉山양좌동良佐洞도산陶山청송읍촌靑松邑村죽계竹溪병천甁川화개동花開洞악양동岳陽洞금호琴湖밀양읍촌密陽邑村해평촌海平村감천甘川가천伽川봉계鳳溪이안부곡利安部曲가정구기稼亭舊基월성촌月城村우담雩潭

5) 강원도關東
임계역촌臨溪驛村경포鏡浦대은동大隱洞해함지海鹹池대야평大野坪여량역촌餘糧驛村주천고현酒泉古縣치악산雉岳山사자산獅子山흥원창興原倉법천法泉덕은촌德隱村오상곡五相谷옥산玉山귀석정龜石亭도천桃川옥계玉溪월뢰月산현山峴단구丹邱교항橋項제일촌霽日村모평리茅坪里횡성읍촌橫城邑村분곡粉谷서석瑞石호명리虎鳴里천전泉田우두촌牛頭村기린고현麒麟故縣금곡琴谷송정松亭하북점리下北占里선창촌仙倉村거성擧城사견촌四堅村광복동廣福洞가려주佳麗洲포내浦內구당龜塘고밀운古密雲정연亭淵

6) 황해도海西
석담石潭수회촌水回村채촌采村화천동花川洞주구舟邱

7) 평안도關西
회산檜山고향산古香山당촌唐村

8) 함경도關北
금수촌錦水村광포廣浦합포蛤浦

3. 살기 좋은 명당 품평名基品第
1) 강 근처 거주지論江居
2) 계곡 근처 거주지論溪居
3) 산골 거주지論山居
4) 호수 근처 거주지論湖居
5) 섬 거주지 論海居
6) 계곡·강·바다 근처의 거주지合論溪、江、海居

《상택지》 참고문헌 서목
색인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