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 도시에서 한 달 살기’를 제안해 새로운 여행 트렌드를 이끌었던 <A Paris 아 파리>의 저자 최연정, 최지민이 이번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보낸 30일’을 책에 담았다. 이 책은 꽉 찬 하루가 보람찬 하루라고 강요받고 있는 우리에게 ‘삶의 여백’과 ‘게으른 시간’은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해준다.
그녀들의 시선으로 큐레이션 된 바르셀로나의 숨은 공간을 함께하는 재미도 쏠쏠하지만, 우리 삶의 축소판 같은 여행 스토리 속에서 ‘삶은 늘 변수의 연속이며 그것을 해결해가는 과정 과정에 더 큰 의미가 있다.’는 깨달음 또한 얻을 수 있다.
유명한 축구팀이 있어 ‘축구의 나라’라고만 기억되던 스페인은 최근 유명 여행 프로그램의 배경지가 되면서 높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핫한 잡지에도 자주 등장한다. 프랑스에 근접해 있어 프랑스와 비슷한 느낌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그들 특유의 문화가 묘하게 섞여 있는 매력적인 나라다. 사람들은 친절하고, 물가는 싸며, 우리 입맛에 맞는 맛있는 음식들이 넘쳐난다.
출판사 리뷰
내가 꿈꾸던 게으른 시간, 두 번째 이야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보낸 30일
라이프스타일 크리에이터의 바르셀로나
‘한 도시에서 한 달 살기’를 제안해 새로운 여행 트렌드를 이끌었던 <A Paris 아 파리>의 저자 최연정, 최지민이 이번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보낸 30일’을 책에 담았다.
그림 그리고 요리하는 언니 최연정, 사진 찍고 꽃 만지는 동생 최지민 저자는 SNS를 통해 감성 가득한 일상을 전하고, 사람들은 그녀들의 재능과 감각에 감탄한다. 책 속에 소개한 공간들을 따라가다 보면 크리에이티브한 사람들은 어떤 곳에서 놀고, 어떻게 쉬며, 무엇에서 영감을 얻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풀릴 것이다.
이 책은 꽉 찬 하루가 보람찬 하루라고 강요받고 있는 우리에게 ‘삶의 여백’과 ‘게으른 시간’은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해준다. 그녀들의 시선으로 큐레이션 된 바르셀로나의 숨은 공간을 함께하는 재미도 쏠쏠하지만, 우리 삶의 축소판 같은 여행 스토리 속에서 ‘삶은 늘 변수의 연속이며 그것을 해결해가는 과정 과정에 더 큰 의미가 있다.’는 깨달음 또한 얻을 수 있다.
‘남들처럼’이 아닌 ‘나다운’ 여행
여행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현지의 집을 빌려 내 집처럼 머무는 것이 흔하지 않은 일이었지만 이제는 꽤 많은 사람이 이런 콘셉트의 여행을 선호하게 되었다. 여행 정보가 특정인의 자산이었던 시절에는 전문가가 이끄는 여행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제는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나의 취향에 맞는 것만 취사, 선택하면 된다. 문제는 공유되는 정보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취향이 맞는 사람이 추천하는 곳이라면 더욱 신뢰가 갈 것 같다.
이 책은 꽃과 식물, 산책을 좋아하고 예술을 사랑하며 미식을 즐기는 크리에이터 자매가 자신만의 취향으로 고른 바르셀로나의 숨은 공간들을 소개한 책이다. 그녀들의 감각을 잠시도 가만있지 않게 한 ‘그곳’이 궁금했거나 바르셀로나의 현재를 제대로 느끼고 싶은 사람들이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왜 스페인 바르셀로나인가?
여자들의 로망이었던 ‘파리’ 전역이 관광지화되어 예전과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없다는 이야기가 자주 들린다. 그래서 요즘은 남프랑스나 스페인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유명한 축구팀이 있어 ‘축구의 나라’라고만 기억되던 스페인은 최근 유명 여행 프로그램의 배경지가 되면서 높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핫한 잡지에도 자주 등장한다. 프랑스에 근접해 있어 프랑스와 비슷한 느낌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그들 특유의 문화가 묘하게 섞여 있는 매력적인 나라다. 사람들은 친절하고, 물가는 싸며, 우리 입맛에 맞는 맛있는 음식들이 넘쳐난다.
바르셀로나 안에서도 서울의 성수동 분위기, 서울의 연남동 분위기 등 지역마다 느낌이 다르고 책에서 ‘도시 전체가 거대한 식물원’이라고 표현할 만큼 싱그러운 자연과 함께하는 곳이다.
이 책의 책장을 넘기는 것만으로도 잠시 그곳으로 소환되는 느낌이 들고, 그녀들의 시선으로 큐레이션 된 공간들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영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매일 해 질 무렵이면 이 동네로 산책을 나섰다. 퇴근해서 장을 보거나 바삐 걸음을 옮기는 사람들, 삼삼오오 모여 맥주를 마시며 왁자지껄하게 이야기꽃을 피우는 그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것은 꽤나 흥미진진했다. 낯선 사람들 사이에서 낯선 곳을 돌아다니는 것만큼 여행에서 큰 즐거움이 또 있을까. 어쩌면 여행을 하는 가장 큰 이유일 테니 말이다
바르셀로나는 내려진 셔터를 보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운 도시다. 똑같은 셔터가 하나도 없다는 게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저마다의 개성과 스토리가 담겨 있다. 셔터 안에 어떤 스토리가 있을지 그림을 보고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한없이 즐겁다.
아름답다는 것과 병원은 절대 어울릴 수 없는 조합이 분명한데, 산파우 병원을 보는 순간 '이런 생각도 편견이었구나' 하고 웃었다.
병원은 아름다운 꽃 등의 자연을 모티브로 한 갖가지 화려한 타일과 조각으로 내부를 꾸몄는데, 곳곳에 있는 창을 통해 자연을 실내로 불러들여 조화를 이룬 것을 볼 수 있다. 지금의 바르셀로나를 있게 한 유명 건축가의 건물을 맘껏 감상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한 시간이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최연정
요리하는 언니 최연정어릴 때부터 먹는 것을 너무 좋아해서 TV의 요리 프로그램을 하나도 빠짐없이 보았다. 한 프로그램에서 여경옥 셰프를 보고 요리사가 되겠다는 꿈을 키웠다. 2005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 ‘르 꼬르동 블루’에서 프랑스 요리 과정을 수료했다. 유학에서 돌아와 가혹한 현실 속 주방에서 수련하다가 2012년 프렌치 가정식 레스토랑 ‘르 끌로le clos’의 오너 셰프가 되었다.2016년부터는 ‘아뜰리에 15구’를 열어 프랑스 가정식 요리를 가르치고 있다. Instagram @cuisiniere
지은이 : 최지민
언니와 함께 프랑스 가정식 레스토랑 ‘르끌로(Le clos)’를 운영했고, 지금은 프랑스 가정식 요리 클래스 ‘아뜰리에 십오구’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십오구(15e)’를 꾸려나가고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이런 일을 하고 있을 거라고는 전혀 상상조차 하지 못 했다. 국제학을 공부했고, 전공을 살려 세계 곳곳을 누비며 일하리라 생각했다. 르끌로에 합류한 후, 언니가 만든 요리를 멋진 사진으로 남기고 싶은 마음에 처음으로 카메라를 들었다. 사진이나 스타일링을 전 공하진 않았지만 타고난 재능과 야무진 눈썰미로 감각적인 사진을 찍 고 있다. 예전에는 전혀 관심 없던 꽃이 이젠 너무 좋고, 사진을 찍는 시간이 가장 행복하다. 이번 여행에서도 파리의 일상을 감각적인 사진으로 담아냈고 그동안 잡지와 광고에 스타일리스트로 참여했다. 두 자매가 함께 집필한 책으로는 《아 따블르 빠리》 《수프 한 그릇》이 있다.
목차
Prologue 4
day 1 설레는 여행의 시작 8
day 2 처음 경험한 시에스타 14
day 3 샛노란 아침 26
day 4 바르셀로나에서의 두 번째 집 38
day 5 적당히 기분 좋을 만큼의 뜨거움 52
day 6 우리만의 여행법 66
day 7 우리만의 보물 창고 74
day 8 느릿느릿 흘러가는 시간 86
day 9 초대 받은 날 100
day 10 병원 건물마저 아름다운 바르셀로나 108
day 11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시간 여행 116
day 12 시체스의 뜨거운 자유 128
day 13 낯선 주말의 여유 134
day 14 하나의 작품 같은 호안 미로 미술관 146
day 15 브루멜에서의 아침 162
day 16 자세히 봐야 예쁘다 170
day 17 바르셀로나에서의 세 번째 집 184
day 18 다시 바르셀로나에 갈 수밖에 없는 이유 194
day 19 한여름의 피크닉 204
day 20 두 번째시체스 212
day 21 아무런 계획도 목적도 없이 그냥 220
day 22 감각적인 공간을 온전히 누리는 기분 234
day 23 바르셀로나의 기분 좋은 햇살 244
day 24 달콤한 세상 속으로 250
day 25 도시 전체가 거대한 식물원이라니! 258
day 26 빈티지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가득한 곳 266
day 27 바삭하고 달달한 엔사이마다 하나 주세요 274
day 28 현지인들의 일상을 구경하다 284
day 29 기쁨과 아쉬움의 교차점에서 292
day 30 떠나는 날 302
Epilogue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