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권현익
목사가 되기 위하여 신학에 입문하러 간 부자(父子)에게, 더 우수한 교육 전공자들이 교계와 목회 사회에 필요하다고 학장님은 권고하셨다. 돌아보니 그 제안은 저자의 인생길을 많이 다른 풍경으로 이끄신 하나님의 간섭이었다. 교육학, 심리학, 교육 평가와 같은 공부를 하면서는 과연 제대로 걸어가고 있는지 반복 자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돌이켜 보니 평택의 한광여고에서 교사와 상담자와 목사로 보냈던 4년 세월이 필자의 인생에 다시없을 꿈같은 시간이었다. 교사라는 인격이 인간 사회의 구조 안에서 갖는 중요성과 청(소)년들의 생장(生長)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가지고 간여한다는 놀라운 가치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도전의식으로 호기롭게 반응한 결정은 유학생이 많은 유럽의 선교 현장으로 필자를 이끌었다. 유럽에서의 청년 사역과 선교는 목적을 가지시고 부르신 하나님의 인도하심이었다.이곳에서 사역하면서 미술사, 유럽의 역사나 서구 기독교회사에 천착하게 되는 일이 어쩌면 프랑스의 사역지와 관련된 운명적으로 부여된 과제가 아니었을까… 지방의 유학생들을 만나면서 그 지역의 역사나 특별한 역사 장소를 방문하면서 갖게 된 궁금증,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확인 욕구, 나아가서는 멀고 먼 인연으로 보이던 우리와 우리의 삶, 우리의 영적 정체성에 관한 질문들이 차츰 필자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백팩을 둘러매고 찾아다니고, 그곳에서 오늘을 사는 주민들의 유전과 기억과 생각들을 듣고, 복사하고 사진 찍고 베껴 온 자료를 모아 확인하고 다시 확증하는 노력에 마음을 쏟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들이 오늘에 의미하는 것에 놀랄 뿐 아니라 우리와 필자 자신에게까지 연결되어 있음에 감격하는 일이 반복되어 가면서 이 일은 손에서 놓지 못하게 되었다. 한마디로 이 일에 중독된 것이다. 이것이 역사 공부와 교회사 연구의 한 방법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필자는 이렇게 교회사, 개신교회사, 개혁 교회 역사 연구의 길 안으로 들어서게 되었다. 그동안에도 조각조각 알게 되었던 것을 나누어 볼 참으로 신문들과 저널들에 이리저리 써 올렸었는데, 이번에는 그때 기고했던 글을 바탕으로 선조 개혁자들의 손에 잡히는 흔적과 자취들에 집중하여 묶어보려 하였다. 저자는 총신대학(B. A.)과 신대원(M. Div.)을 졸업하고, CCC 새생명 훈련원(NLTC) 과정을 마친 후 평택 한광여고에서 근무하였고 현재, 합동 총회 세계선교부(GMS) 프랑스 선교사로 섬기고 있다.
들어가는 글5
추천사(김남준, 박응규, 이광호, 이은택)11
서두 : 우리 신앙 선조들의 명칭과 그 번역의 문제
명칭 왜곡의 원인들26
편견이 섞인 명칭들의 역사적 오용27
로마 교회의 역사 조작 공식(inventive formula)28
우리말로 번역할 때 더욱 잊지 않아야 할 균형29
‘위그노’와 ‘발도 사람들’30
도입 : 재고(再考)의 절실한 필요
1. 발도, 알비, 카타르!!34
2. ‘발도인들’(Waldenses)과 개혁 신앙인들38
3. ‘알비인들’(Albigeois)과 개혁 신앙인들41
PART 1 : 참 교회와 거짓 교회
1. 다시 살펴보는 교회의 정의(定意)50
(1) 교회의 영속성과 순결성51
(2) 로마 교회의 교회론52
(3) 로마 교회의 교회론 반박53
2. 교회의 표지(標識)55
(1) 루카스가 제시한 ‘참 교회’의 기준55
(2) 벨직 신경(1561)이 보여 주는 ‘참 교회’ 기준57
3. 참 교회의 연원은 어디인가?58
(1)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한 로마 교회 역사관(歷史觀)58
(2)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론 역사관(歷史觀)62
PART 2 : 역사의 표면에 나타나는 초기 개혁 교회
역사의 표면에 나타나는 초기 개혁 교회
1. 중세의 영적 상황68
(1) 권력을 향한 해바라기68
(2) 교황권의 추락78
(3) 반성직자주의(Anti-Sacerdotal)의 확산82
(4) 성직자들의 타락상85
2. 개혁자들의 출현85
3. 있는 것은 보이는 것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다88
(1) 루터 이전에 당신의 교회는 어디에 있었는가?89
(2) 참 교회의 기준89
(3) 루터 이전의 참 교회91
PART 3 : 13세기에서 루터에 이르는 개혁 교회
1. 14세기 존 위클리프를 중심으로 한 개혁 교회97
(1) 로마 교회를 향한 개혁 요구99
(2) 위클리프 개혁 사상의 근원101
(3) 롤라드인들(Lollards)104
(4) 피카르디인들(Picardis)104
2. 14세기 보헤미아 개혁 교회107
(1) 동서 유럽의 문턱인 프라하107
(2) 얀 후스의 등장을 준비함109
(3) 후스 이전의 보헤미아 개혁자들115
3. 종교개혁자 얀 후스의 등장126
(1) 개혁자로서의 준비127
(2) 베들레헴 채플을 통한 후스의 영적 영향력129
(3) 대주교 즈비넥(Zbynk)의 지지132
(4) 민족주의의 발흥(勃興)134
(5) 대주교 즈비넥과의 갈등136
(6) 세 명의 교황 그리고 가속되는 교회의 타락139
(7) 리처드 위치(Richard Wyche)의 편지 한 통142
(8) 면벌부 판매로 발생한 순교146
(9) 후스의 망명150
(10) 보헤미아의 위클리프로 불린 얀 후스151
(11) 드레스덴 학파153
(12) 헝가리에서의 발도인들161
4. 후스 이후 루터 이전 유럽의 개혁자들163
(1) 루터의 등장을 준비한 100년의 시간163
(2) 예언 성취로서의 루터(Martin Luther)174
5. 종교개혁의 뿌리인 발도인들과 알비인들184
(1) 발도인들 개혁 교회184
(2) 알비인들 개혁 교회185
PART 4 : 거기 발도인들(Waldensien, Waldensian)이 있었다!
1. 루터 이전 개혁자들에 관한 관심188
(1) 마티아스 플라키우스의 선조 개혁자 연구188
(2) 프랑스 개혁 교회의 발도인들 연구190
(3) 선조 개혁자들의 존재 의미191
(4) 필립스 판 마르닉스(Filips van Marnix)의 풍자 그림192
(5) 대표적인 발도인들 연구자들194
2. 서유럽 종교개혁의 근원인 발도인들(Waldenses)206
(1) 흩어지는 하나님의 교회206
(2)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의 모습208
(3) ‘남은 자’들의 주요 활동 지역들213
(4) 발도인들의 기원222
(5) 유럽 개혁 교회의 중심이 된 피에몽 계곡230
(6) 발도인들의 사상적 근원이 되었던 개혁자들234
3. 핍박의 전형, ‘이단(異端) 알레르기’301
4. 발도인들이 아리우스파나 마니교 이단이 아닌 이유321
(1) 앎과 삶의 일치를 위한 노력321
(2) 발도인들의 신앙이 마니교와 무관하다는 증거들322
(3) 유아 세례에 관한 논쟁323
5. 16세기 종교개혁과 발도인들325
(1) 박해로 지도자 배출의 어려움 발생325
(2) 개혁자들과의 접촉 시도325
(3)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발도인들에 대한 언급326
(4) 샹포랑 회의(1532년 9월 12일)329
(5) 발도인들과 루터, 칼뱅과의 관계337
PART 5 : 거기에 바울인들(Pauliciens, Paulicians)이 있었다!
지금 우리는 왜, 어떻게 여기 서 있게 되었을까?344
혹독하게 박해당하는 사람들346
1. 로마 교회가 주도한 역사 공정(工程)350
(1) 누가 왜, 무엇을 위하여 이런 역사를 써 왔을까? 350
(2) 우리의 교회사 서술은 왜 이 지경이 되었는가?353
2. 바울인들의 형성 과정: 바울인들은 누구인가355
(1) 바울인들의 신앙적 신학적 교리적 정체성355
(2) ‘바울인들’ 명칭의 유래356
(3) 타락하는 비잔틴 제국의 국가 교회357
(4) 로마 제국의 박해와 제국 교회의 핍박359
(5) ‘바울인들’ 교회의 조직360
(6) 비잔틴 교회 및 기존 교회사에 알려진 바울인들의 정체 370
(7) 바울인들에 대한 학살의 역사378
(8) 바울인들의 주요 지도자들382
3. 바울인들은 개혁 교회의 선조인가?383
(1) 항상 존재하는 참 교회383
(2) 연구의 당위성과 한계점384
4. 바울인들의 『진리의 열쇠』(The Key of Truth) 요해(要解)386
(1) 『진리의 열쇠』 발견 과정387
(2) 코니베어의 공헌389
(3) 기존에 알려진 바울인들의 교리390
(4) 바울인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의 기준이 된 『진리의 열쇠』391
(5) 『진리의 열쇠』에서 드러난 양자 기독론392
(6) 아라랏 계곡의 사도적 교회들과의 교류398
(7) 『진리의 열쇠』를 통해 드러난 바울인들의 교리 401
5. 바울인들과 마니교 402
(1) 마니교의 등장과 세계적 종교로의 성장402
(2)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바울인들405
6. 보고밀인들(Bogomiles, Bogomils)406
(1) ‘보고밀인들’의 유래407
(2) ‘보고밀’의 어원408
(3) 보고밀인들의 주요 지도자들409
(4) 보고밀인들에 대한 적대자들의 비평411
(5) 기존에 알려진 보고밀인들의 신앙415
(6) 보고밀인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420
(7) 보스니아의 보고밀인들422
(8) 보스니아의 발도인들423
(9) 파타린인들이라 불리는 보스니아 보고밀인들 425
(10) 바울인들과 보고밀인들을 마니교 이단이라 평가하는 견해들 427
(11) 보고밀인들, 카타르인들과 위클리프의 일치되는 관점들429
7. 보고밀인들의 이동 경로가 갖는 의미431
PART 6 : 거기에 카타르인들(Cathars)이 있었다!
1. 랑그독 지역이 개혁주의 주 활동 지역이 된 배경437
(1) 개혁 운동의 온상지였던 랑그독437
(2) 팽창하는 개혁주의 운동440
2. 카타르인들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주장들443
(1) 카타르인들이 고대 마니교의 직접적 후예라는 주장443
(2) 카타르인들이 마니교 아닌 다른 이원론에서 유래했다는 주장 448
(3) 카타르인들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계보457
(4) 카타르인들이 이원론과 무관하다는 주장 461
(5) 카타르인들에 관한 현대 학자들의 관점461
(6) ‘카타르인들’에 관한 다양한 이름과 유래463
3. ‘카타르인들’에 관한 적절한 새 정의(定義)들467
(1) 좁은 의미로 쓰인 ‘카타르인들’467
(2) 넓은 의미로 쓰인 ‘카타르인들’467
(3) ‘카타르인들’의 어원에 담긴 비하478
4. 종교 토론회를 통한 카타르인들의 정체성 확인479
(1) 롱베르 회의(1165년)480
(2) 몽레알 회의(1206년) 481
(3) 토론회에 관한 로마 교회의 평가들486
PART 7 : 거기에 알비인들(Albigeois, Albigenses)이 있었다!
1. 알비인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492
(1) 알비인들에 관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전통적 견해494
(2) 모(Meaux) 주교 보쉬에의 개신교회 이단 몰이500
(3) 개혁 교회가 자신들의 영적 선조들로 확인, 이를 공표하다!504
(4) 프랑스 개혁 교회의 결정, 그리고 이에 반발한 의견들 511
(5) 발도인들 지도자 장 페이랑의 자기 선언!514
(6) 여러 가지 이름이 생겨난 배경516
(7) 알비 개혁 운동의 특징517
(8) 새로운 사료(史料)에 의해 밝혀지는 알비인들의 진실518
(9) 발도인들 지도자에 의해 변화되는 알비-카타르인들 524
(10) 파타린인들(Patarines)은 이원론적 카타르인들이었나?526
(11) 알비인들 교회와 개혁 교회 조직상의 유사점530
2. 13세기 종교개혁의 성공 비결들531
(1) 르네상스 시대의 도래 532
(2) 지적 능력과 삶의 모범을 두루 갖춘 지도자들의 배출534
(3) 말씀을 배운 대로 생활하는 신자들536
(4) 성경 중심의 신앙적 전통, 피에몽 골짜기에서537
(5) 박해 앞에 주저앉지 않고 피에몽 계곡으로 들어가는 알비인들538
3. 알비 십자군542
(1) 교황의 특사 살해 사건543
(2) 알비 십자군의 잔혹한 학살544
(3) 종교재판소(l’Inquisition) 설치549
(4) 몽타이유(Montaillou)의 알비-카타르인들550
(5) 알비의 생 세실(Sainte-Cile) 대성당 553
(6) 성모 숭배의 중심지인 도미니크 수도회555
4. 점(點)으로써 선(線)이 되다 556
(1) 새로운 후예의 출현558
(2) 13세기 종교개혁의 주요 의미인 교회 연합 운동559
5. 개신교회, 곧 저항하는 자들(Protestants)566
참고문헌572
인명색인583
지명색인586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